질병청, 시설 내 감염병 공기전파 위험평가 프로그램 개발

 질병관리청은 한국건설기술연구원과 호흡기 감염병 공기전파 위험도 평가프로그램(K-VENT)을 공동 개발하고 일반에 공개했다고 27일 밝혔다.

 K-VENT는 일반인용(K-VENT 2.1)과 역학조사관을 위한 전문가용(K-VENT 3.0) 두 가지로 개발됐다.

 일반인용은 시설관리자가 창문 형태와 크기, 온도, 사람의 활동 특성, 마스크 착용 여부 등 내용을 입력만 하면 공기감염 위험도 등을 산출할 수 있도록 개발했다. 일반인용은 질병청 홈페이지 '공지사항'에서 확인할 수 있다.

 질병청은 K-VENT를 활용해 시설관리자가 호흡기 감염병의 공기전파 위험도를 평가하고 감염병 예방을 위한 권고사항을 적용함으로써 시설 내 환기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질병청은 내년에 요양병원 등 감염 취약시설에 대한 환기 위험도 평가 시범사업을 하고, K-VENT를 활용하고자 하는 다른 국가에도 제공할 예정이다.

건물정보 입력화면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말기 암 환자라면 어떤 결정을?'…성인 8%만 "연명의료 지속"
자신이 치료가 불가능한 말기 암 환자라면 어떤 선택을 할 것이냐는 질문에 성인 8%만이 '연명의료 지속'을 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는 연명의료 중단 결정이나 안락사, 의사조력자살을 원했다.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에 따르면 성누가병원 김수정·신명섭 연구팀과 서울대 허대석 명예교수가 지난해 6월 전국 성인 1천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논문을 대한의학회지(JKMS) 최신호에 실었다. '본인이 말기 암 환자라면 어떤 결정을 택하겠는가'라는 질문에 응답자 중 41.3%가 '연명의료 결정'을 택했다. 연명의료 결정은 무의미한 생명 연장만을 목적으로 하는 의료행위를 시작하지 않거나 중단하는 결정을 뜻한다. 인위적으로 생명을 단축하지도 연장하지도 않고, 자연스럽게 죽음에 이르겠다는 것이다. '안락사'를 택하겠다는 응답자가 35.5%, '의사조력자살'이 15.4%로 뒤를 이었다. 안락사와 의사조력자살은 모두 의사가 환자의 요청에 따라 죽음을 유도하는 약물을 처방하는 것인데, 안락사는 의사가 직접 약물을 투여하고, 의사조력자살은 환자 스스로 처방받은 약물을 복용한다는 차이가 있다. 연명의료를 지속하겠다는 응답은 7.8%에 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