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 전후 우울증, 극단적 선택 위험 높여…조기 치료 필요"

국제연구팀 "주산기 우울증 진단 임산부 자살 위험 6배 높아"

 출산 전후 우울증 진단을 받은 임산부는 1년 안에 극단적 선택을 할 위험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치명적 결과를 막으려면 우울증 고위험군에 대한 조기 발견과 치료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중국 상하이 퉁지대 칭선 교수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12일 의학 저널 '브리티시 메디컬 저널'(BMJ)에서 스웨덴 국가등록 데이터를 이용해 주산기 우울증 진단과 사망 간 관계를 18년간 추적 조사한 결과 우울증 진단을 받은 여성의 진단 후 1년간 자살 위험이 우울증 없는 여성의 6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드러나 주산기 우울증과 자살 위험 연관성은 가족 요인이나 기존 정신 질환 등으로는 설명이 안 된다며 임산부 본인은 물론 가족, 의료전문가 모두 이런 심각한 위험을 인식해야 한다고 말했다.

 출산 전후 임산부가 겪는 주산기 우울증은 매우 흔한 질환 중 하나로 최대 20%의 임산부에게 영향을 미치지만, 사망 위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또 가족 요인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주산기 우울증을 겪은 2만4천473명을 같은 기간 우울증을 겪지 않고 출산한 이들의 자매 24만6천113명과 비교했다.

 그 결과 18년간 주산기 우울증 진단을 받은 여성 중 사망자는 522명(1천인 년당 0.82명. 1인년은 1명을 1년 관찰한 값)이었고, 우울증을 겪지 않은 여성은 1천568명(1천인 년당 0.26명)이 숨진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증 진단을 받은 여성은 그렇지 않은 여성보다 사망 확률이 전반적으로 2배 이상 높았다. 이는 자매간 사망률이나 기존 정신질환이 있는 여성과 없는 여성의 사망률을 비교했을 때도 비슷했다.

 주산기 우울증과 관련된 사망 위험은 진단 후 첫해에 가장 높았다가 점차 감소했지만, 추적 기간 18년 내내 우울증이 없는 여성보다 높았다.

 주산기 우울증 관련 사망 위험 증가는 자연적 요인에 의한 것(1천인 년당 0.36명)보다 비자연적 요인에 의한 것(1천인 년당 0.46명)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은 1천인 년당 0.23명으로 많지는 않았지만, 우울증을 겪은 여성이 자살할 위험은 그렇지 않은 여성보다 6.34배 높았고, 사고로 사망할 위험도 3배 높았다.

 연구팀은 관찰연구인 이 연구는 우울증 전문 치료를 받은 여성만 포함한 점과 일부 자살이 사고로 잘못 분류됐을 가능성, 알려지지 않았거나 측정되지 않은 요인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 등의 한계가 있다고 밝혔다.

 그럼에도 "임산부와 그 가족, 의료전문가는 정신과 병력과 관계 없이 주산기 우울증의 심각한 위험을 인식해야 한다"며 "치명적 결과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주산기 우울증 고위험군을 조기에 발견해 치료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출처 : BMJ, Qing Shen et al., 'Perinatal depression and risk of mortality: nationwide, register based study in Sweden', https://www.bmj.com/content/384/bmj-2023-075462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질병청 "新 탄저백신, 기존 독소·부작용 없애…올해 비축 시작"
질병관리청은 국내 개발 신규 탄저 백신이 기존 백신과 달리 독소를 포함하지 않아 안전성이 입증됐다며, 올해 내로 생산과 비축을 시작할 것이라고 14일 밝혔다. 질병청은 ㈜녹십자와 협력해 국내 기술로 세계 최초의 유전자 재조합 단백질 방식 흡착 탄저 백신(배리트락스주)을 개발했고 해당 품목은 지난 8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를 받았다. 정윤석 질병청 고위험병원체분석과장은 이날 기자단 대상 브리핑에서 신규 백신에 대해 "기존 백신과 가장 큰 차이점은 백신 주원료인 탄저균의 방어 항원 생산 방식"이라며 "기존에는 탄저균 배양액을 정제하다 보니 미량의 독소가 포함돼 부작용 가능성이 있었지만, 이번에는 독소를 생산하지 않는 균주를 사용, 방어 항원만을 순수하게 만들어냈다"고 설명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이렇게 탄저균의 방어 항원 단백질을 유전자 재조합 기술로 제조, 의약품으로 상용화한 사례는 세계 최초다. 흡입 탄저의 경우 치명률이 97%에 달하는 탄저병은 법정 제1급 감염병으로, 그 균은 생물테러에 악용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김갑정 질병청 진단분석국장은 "1997년 기초 연구에 착수해 30년 가까이 준비한 노력이 결실을 보았다"며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주말에 몰아서 하는 운동, 건강증진 효과는?…"운동량 충분하면 OK"
운동을 매일 하지 않고 주말에 몰아서 하더라도 당뇨병 유병률이 낮아지는 등 건강 증진 효과는 유사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경희의료원 디지털헬스센터 연동건 교수 연구팀은 질병관리청의 지역사회건강조사(2009∼2022년) 데이터를 토대로 성인 242만8천448만명의 당뇨병과 신체활동의 연관성을 분석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운동량만 충분하다면 운동 빈도 자체는 큰 영향이 없다는 걸 확인한 것으로, 평일에 규칙적으로 하든 주말에 집중적으로 하든 적절한 운동량만 지킨다면 당뇨병 유병률 감소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의미다. 연구 결과 세계보건기구(WHO)가 권고하는 '일주일에 75∼150분 중강도 또는 75분 이상의 고강도 운동'을 하는 집단의 당뇨병 유병률은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집단에 비해 16%가량 낮았다. 다만 이 수준까지 운동량이 증가하면 당뇨병 유병률이 떨어지지만, 그 이상으로 운동한다고 해서 추가적인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중강도 운동과 고강도 운동을 WHO 권고량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병행하는 게 당뇨병 유병률 감소와 가장 크게 연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주말에 운동을 집중적으로 몰아서 하는 집단과 평일에 규칙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