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 전후 우울증, 극단적 선택 위험 높여…조기 치료 필요"

국제연구팀 "주산기 우울증 진단 임산부 자살 위험 6배 높아"

 출산 전후 우울증 진단을 받은 임산부는 1년 안에 극단적 선택을 할 위험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치명적 결과를 막으려면 우울증 고위험군에 대한 조기 발견과 치료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중국 상하이 퉁지대 칭선 교수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12일 의학 저널 '브리티시 메디컬 저널'(BMJ)에서 스웨덴 국가등록 데이터를 이용해 주산기 우울증 진단과 사망 간 관계를 18년간 추적 조사한 결과 우울증 진단을 받은 여성의 진단 후 1년간 자살 위험이 우울증 없는 여성의 6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드러나 주산기 우울증과 자살 위험 연관성은 가족 요인이나 기존 정신 질환 등으로는 설명이 안 된다며 임산부 본인은 물론 가족, 의료전문가 모두 이런 심각한 위험을 인식해야 한다고 말했다.

 출산 전후 임산부가 겪는 주산기 우울증은 매우 흔한 질환 중 하나로 최대 20%의 임산부에게 영향을 미치지만, 사망 위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또 가족 요인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주산기 우울증을 겪은 2만4천473명을 같은 기간 우울증을 겪지 않고 출산한 이들의 자매 24만6천113명과 비교했다.

 그 결과 18년간 주산기 우울증 진단을 받은 여성 중 사망자는 522명(1천인 년당 0.82명. 1인년은 1명을 1년 관찰한 값)이었고, 우울증을 겪지 않은 여성은 1천568명(1천인 년당 0.26명)이 숨진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증 진단을 받은 여성은 그렇지 않은 여성보다 사망 확률이 전반적으로 2배 이상 높았다. 이는 자매간 사망률이나 기존 정신질환이 있는 여성과 없는 여성의 사망률을 비교했을 때도 비슷했다.

 주산기 우울증과 관련된 사망 위험은 진단 후 첫해에 가장 높았다가 점차 감소했지만, 추적 기간 18년 내내 우울증이 없는 여성보다 높았다.

 주산기 우울증 관련 사망 위험 증가는 자연적 요인에 의한 것(1천인 년당 0.36명)보다 비자연적 요인에 의한 것(1천인 년당 0.46명)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은 1천인 년당 0.23명으로 많지는 않았지만, 우울증을 겪은 여성이 자살할 위험은 그렇지 않은 여성보다 6.34배 높았고, 사고로 사망할 위험도 3배 높았다.

 연구팀은 관찰연구인 이 연구는 우울증 전문 치료를 받은 여성만 포함한 점과 일부 자살이 사고로 잘못 분류됐을 가능성, 알려지지 않았거나 측정되지 않은 요인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 등의 한계가 있다고 밝혔다.

 그럼에도 "임산부와 그 가족, 의료전문가는 정신과 병력과 관계 없이 주산기 우울증의 심각한 위험을 인식해야 한다"며 "치명적 결과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주산기 우울증 고위험군을 조기에 발견해 치료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출처 : BMJ, Qing Shen et al., 'Perinatal depression and risk of mortality: nationwide, register based study in Sweden', https://www.bmj.com/content/384/bmj-2023-075462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100조 돌파 건강보험 진료비…급증 주범은 '고령화'아닌 '공급'
2022년 사상 처음으로 100조 원을 돌파한 건강보험 진료비. 가파른 고령화와 맞물려 재정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진료비 급증의 핵심 원인이 단순히 인구 고령화나 소득 증가뿐만 아니라, 의료기관과 병상수 같은 '공급 요인'에 있다는 심층 분석 결과가 나왔다. 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연구원의 '건강보험 진료비 영역별 지출 요인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0년부터 2022년까지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총진료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인은 가입자 수, 고령화율과 더불어 '요양기관 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환자의 수요 증가와 함께 의료 서비스의 공급 자체가 비용 증가를 견인하는 강력한 동력임을 시사한다. 특히 이번 연구는 진료 형태를 입원과 외래로 나누어 지출 증가의 구조를 세밀하게 들여다봤다. 분석 결과, 입원 진료비의 경우 인구 천 명당 병상수가 1% 증가할 때 진료비가 약 0.21%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나, 병상 공급이 비용 증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병상은 일단 만들어지면 이내 채워지게 된다"는 의료 경제학의 법칙을 실증적으로 보여주는 결과다. 반면, 외래 진료비는 공급 요인의 영향력이 더욱 컸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타고난 무릎 모양으로 부상에 더 취약한 청소년 선별 가능"
청소년들이 운동하다가 무릎이 다쳤을 때 전방십자인대가 파열될지, 경골극(脛骨棘)이 골절될지는 타고난 무릎 모양에 따라 달라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 소아정형외과 신창호 교수와 미국 필라델피아 어린이병원 및 경골극 연구팀은 2009년 3월∼2023년 4월 내원한 18세 미만 환자 159명을 연구해 이런 결론을 도출했다. 연구팀은 이들을 각 53명씩 전방십자인대 파열군, 경골극 골절군, 정상군으로 나누고, 3차원 영상을 바탕으로 14개 해부학적 지표를 분석했다. 그 결과, 무릎이 손상된 두 비교군은 정상군보다 경골(정강뼈) 바깥쪽 관절면 경사가 유의미하게 가팔랐다. 또 이 부위의 경사가 가파를수록 전방십자인대 파열과 경골극 골절 위험이 각각 1.42배, 1.33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전방십자인대 파열이나 경골극 골절 모두 도약 후 착지할 때, 혹은 급정지하거나 급히 방향을 전 환할 때 발생한다. 전방십자인대 파열은 말 그대로 인대가 '뚝' 하는 소리를 내며 찢어지는 부상이다. 경골극 골절은 전방십자인대가 인대에 붙은 무릎뼈(경골극)를 잡아당겨 떨어져 나가는 부상이다. 경골 바깥쪽 관절면 경사가 심할수록 무릎에 무게가 실릴 때 대퇴골(허벅지뼈)이 바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