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압약 카르베딜롤, 소아암 항암치료 부작용인 심부전 막는 데 효과"

 베타 차단제 계열의 혈압약인 카르베딜롤이 소아암 항암치료의 부작용인 심부전을 막는 데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심부전은 심장의 구조 또는 기능 이상으로 혈액을 온몸에 펌프질해 내보내는 심장 좌심실 기능에 문제가 발생, 체내의 모든 기관과 조직에 대한 혈액 공급이 부족해지는 질환이다.

 호흡곤란, 피로, 하지 부종 등의 증상으로 일상생활에 제한을 받고 삶의 질이 떨어진다.

 카르베딜롤은 고혈압과 심부전 치료에 사용되는 베타 차단제로 1995년 미국 FDA의 승인을 받았다.

 미국 시티 오브 호프(City of Hope) 소아암 센터의 사로 아르메니안 박사 연구팀이 항암제 안트라사이클린 치료를 받은 미국과 캐나다의 소아암 생존자 182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임상시험에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최근 보도했다.

 그 결과 심장근육 감소와 심방 확장이 줄어들지는 않았지만 심장 건강 악화의 조기 생물지표인 좌심실 벽의 긴장도가 크게 개선됐다.

 이와 함께 위약이 투여된 대조군에서는 6명이 심장 기능이 임상적으로 상당히 저하됐지만 카르데딜롤 그룹에서는 2명에 그쳤다.

 항암 치료 부작용으로 인한 심부전은 시간이 가면서 서서히 증세가 나타난다. 심부전으로 심장 기능이 떨어진 후에는 되돌릴 길이 없기 때문에 심장 기능에 문제가 시작되기 전에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이 연구 결과는 영국의 '랜싯 종양학'(Lancet Oncology)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엠폭스 국제 보건비상사태 선포에 질병청 "검역·감시 강화"
세계보건기구(WHO)가 엠폭스에 대해 국제공중보건위기상황(PHEIC)을 다시 선포하자 우리 방역당국도 검역과 발생 감시를 강화하기로 했다. 질병관리청은 지난 16일 의료계와 학계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엠폭스 위험평가 회의를 열고 엠폭스 국내 유입 가능성과 대응 방안 등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앞서 WHO는 최근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엠폭스가 다시 급증하고,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가 확산하는 상황을 고려해 지난 14일(현지시간) 엠폭스에 대해 PHEIC을 선언했다. 지난해 5월 PHEIC을 해제한 지 1년 3개월 만이다. 이날 회의에서 정부와 전문가들은 국내 엠폭스 상황이 현재 방역체계에서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고 평가하고, 지난 5월 해제한 엠폭스 위기경보의 재발령 없이 검역과 국내 감시를 강화해 대응하기로 했다. 주요 국가 직항편 게이트에서 검역을 실시하고 역학조사관과 공중보건의를 현장 배치한다. 또 홍보를 늘려 유증상자의 신고를 유도하고 이들이 신속하게 진단받도록 할 방침이다. 질병청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9일까지 국내에선 총 10명의 엠폭스 확진자가 나왔다. 지난해 151명과 비교하면 크게 줄었다. 올해 환자들은 모두 20∼40대 남성으로 국내 감염이 9명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