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암 세포 증식·전이 억제하는 미세조류 발굴

 '클로렐라 소로키니아나'라는 담수 미세조류가 간암 세포 성장과 전이를 막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김진우 선문대 식품과학부 교수 연구진과 진행한 '담수 미세조류 계통분류 및 유용 정보 확인' 연구를 통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5일 밝혔다.

 연구진에 따르면 클로렐라 소로키니아나 추출물을 간암 세포(Hep3B)에 처리했을 때 활성도가 떨어졌다. 이 추출물은 정상세포(HDF) 활성은 방해하지 않았다.

 클로렐라 소로키니아나 추출물은 간암 세포 성장에 관여하는 암 표적 유전자(Bcl-2, VEGF) 발현을 억제했다. 반면 암세포 사멸 유전자(AMPK-α, Bax, caspase-3) 발현은 촉진했다.

 연구진은 "클로렐라 소로키니아나 추출물이 간암 세포 증식과 전이를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등 항암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됐다"라면서 "간암 예방과 치료를 위한 천연추출물 소재 개발 길 이 열렸다"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작년 12월 특허로 출원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장내 미생물 이용해 악성 뇌종양 면역치료 효과 높인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장내 미생물과 그 대사산물을 이용해 면역항암제가 듣지 않는 교모세포종의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해 냈다고 6일 밝혔다. 교모세포종은 가장 공격적이고 예후가 나쁜 대표적 악성 뇌종양이다. 암세포를 직접 공격하지 않고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돕는 면역항암제가 최근들어 주목받고 있지만, 면역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교모세포종에는 치료 효과가 제한적이다. 생명과학과 이흥규 교수 연구팀은 장내 미생물 생태계의 변화에 주목해 교모세포종의 면역치료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전략을 제시했다. 연구팀은 교모세포종이 진행되면서 장내 중요한 아미노산인 '트립토판'의 농도가 급격히 감소하며, 이는 곧 장내 미생물 생태계 변화로 이어진다는 점을 확인했다. 트립토판을 보충해 장내 미생물 다양성을 회복시키면, 숙주에게 이로운 유익균인 '던카니엘라 두보시'(Duncaniella dubosii)가 면역세포인 'CD8 T세포'(암세포를 공격해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면역세포)를 활성화하는 역할을 하며, CD8 T세포를 종양 조직으로 유도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실제 교모세포종을 유발한 생쥐 모델에 트립토판을 보충한 결과, 두보시 균주가 CD8 T세포가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