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 안 듣는 헬리코박터균 빛으로 공격…실험 쥐에서 98.7% 제균"

가톨릭대·서울아산병원 연구팀 , 레이저 빛 흡수해 사멸

  내성 없이 헬리코박터 균을 효과적으로 사멸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

 한국연구재단은 가톨릭대 바이오메디컬화학공학과 나건 교수 연구팀이 서울아산병원 안지용 교수와 공동으로 헬리코박터균을 표적하는 멀티 리간드(중심 원자에 결합해 화합물을 만드는 분자나 이온) 구조의 광감각제(레이저 빛을 흡수해 주변의 산소를 세균을 죽이는 활성산소로 바꾸는 물질)를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헬리코박터균은 위장에 사는 세균으로 위암과 위 내 염증성 질환의 주요 원인이 된다.

 세계 인구의 절반이 이 균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균자의 대부분은 평생 별다른 증상 없이 살아가지만 소화성 궤양, 조기위암, 위의 림프종이 있는 경우 항생제 치료가 필요한데,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헬리코박터균이 증가하면서 제균율이 81.8%로 과거에 비해 점차 감소하고 있다.

 헬리코박터균 외막의 특정 단백질을 인식해 표적할 수 있는 광감각제를 개발, 활성산소를 생성해 헬리코박터균의 외막 구조를 무너뜨려 제균하는 방식이다.

 실험 쥐 모델에 적용한 결과 대조군 대비 평균 98.7%의 제균 효과를 보였으며, 위 점액층과 정전기적 인력으로 부착돼 위 내에서 장시간 체류하는 모습이 확인됐다.

 나건 교수는 "광역학치료제는 항생제와 달리 내성 없이 헬리코박터균을 효과적으로 제균할 수 있어 의약품 내성으로 인해 치료에 어려움을 겪는 다양한 질병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결정 과정 세포 수준서 규명…생쥐 전체 뇌 활동지도 완성"
특정 의사결정을 할 때 뇌세포 하나하나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보여주는 생쥐의 전체 뇌 활동 지도가 처음으로 완성됐다. 분석 결과 뇌가 정보를 단계적으로 처리한다는 전통적인 위계적 관점과 달리 의사결정이 특정 영역에 국한되지 않고 뇌 여러 영역에 분산돼 동시에 정교하게 조율된 방식으로 이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과 유럽의 대학과 연구기관 12곳으로 구성된 국제 뇌 연구소(IBL) 연구팀은 최근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에 발표한 2편의 논문에서 생쥐가 의사결정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탐침으로 뉴런 활동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전체 뇌 활동 지도를 만들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IBL 공동 창립자인 스위스 제네바대 알렉상드르 푸제 교수는 "의사결정 과정에서 일어나는 단일 뉴런 활동을 뇌 전체 차원에서 지도화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50만개가 넘는 뉴런의 활동을 기록한 이 지도는 생쥐 뇌 279개 영역, 뇌 전체 용적의 95%가 담긴 방대한 규모"라고 말했다. 2017년 공식 출범한 IBL은 여러 연구실에서 동일한 도구와 데이터 처리 과정을 공유하는 새로운 협업 모델을 도입해 데이터 재현성을 확보했다. IBL 12개 연구실은 최신 전극 장치인 '뉴로픽셀 탐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