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 안 듣는 헬리코박터균 빛으로 공격…실험 쥐에서 98.7% 제균"

가톨릭대·서울아산병원 연구팀 , 레이저 빛 흡수해 사멸

  내성 없이 헬리코박터 균을 효과적으로 사멸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

 한국연구재단은 가톨릭대 바이오메디컬화학공학과 나건 교수 연구팀이 서울아산병원 안지용 교수와 공동으로 헬리코박터균을 표적하는 멀티 리간드(중심 원자에 결합해 화합물을 만드는 분자나 이온) 구조의 광감각제(레이저 빛을 흡수해 주변의 산소를 세균을 죽이는 활성산소로 바꾸는 물질)를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헬리코박터균은 위장에 사는 세균으로 위암과 위 내 염증성 질환의 주요 원인이 된다.

 세계 인구의 절반이 이 균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균자의 대부분은 평생 별다른 증상 없이 살아가지만 소화성 궤양, 조기위암, 위의 림프종이 있는 경우 항생제 치료가 필요한데,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헬리코박터균이 증가하면서 제균율이 81.8%로 과거에 비해 점차 감소하고 있다.

 헬리코박터균 외막의 특정 단백질을 인식해 표적할 수 있는 광감각제를 개발, 활성산소를 생성해 헬리코박터균의 외막 구조를 무너뜨려 제균하는 방식이다.

 실험 쥐 모델에 적용한 결과 대조군 대비 평균 98.7%의 제균 효과를 보였으며, 위 점액층과 정전기적 인력으로 부착돼 위 내에서 장시간 체류하는 모습이 확인됐다.

 나건 교수는 "광역학치료제는 항생제와 달리 내성 없이 헬리코박터균을 효과적으로 제균할 수 있어 의약품 내성으로 인해 치료에 어려움을 겪는 다양한 질병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비마약성 진통제 시대 개막…비보존, 국산신약 어나프라주 출시
비보존제약이 제38호 국산신약으로 개발한 비마약성 진통제 '어나프라주'를 국내 출시했다. 비보존제약은 지난 10일 그랜드 하얏트 서울에서 어나프라주의 본격적인 출시를 기념하기 위한 출정식을 성황리에 마쳤다고 밝혔다. 행사는 캘리그라피 퍼포먼스를 시작으로 장부환 비보존제약 대표이사의 환영사, 개발자인 이두현 비보존그룹 회장의 감사 인사, 신약 비전 선포식, 어나프라주 출정식 순서로 진행됐다. 어나프라주는 수술 후 중등도에서 중증의 급성통증 조절에 사용하는 비마약성 진통 주사제로, 지난해 12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품목 허가를 받았다. 마약성 진통제의 오·남용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며 어나프라주는 부작용이 적은 통증 치료제로 주목받고 있다. 전영태 대한마취통증의학회장은 축사를 통해 "마약성 진통제를 대체할 수 있는 효과적인 진통제가 절실한 상황에 어나프라주의 국내 출시는 매우 반가운 일"이라며 "학회도 앞으로 어나프라주가 더 많은 환자에게 도움이 되고 국내외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응원하겠다"고 말했다. 노연홍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은 "비마약성 진통제 신약 개발은 수많은 글로벌 빅파마들조차도 넘기 어려운 도전 과제로 여겨졌으나 비보존제약이 독자적인 기술력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