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끝나자 감염병 환자 급증…작년 코로나 외 감염 17.5%↑

질병청 '2023 감염병 신고 현황'…코로나 팬데믹 직전보다는 40% 적어

 코로나19 유행이 엔데믹(endemic·풍토병으로 굳어진 감염병)을 맞은 지난해 코로나19를 제외한 전체 감염병 환자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야외 활동이 늘어난 것이 원인으로 꼽히는데, 그래도 코로나19 발발 직전보다는 감염 환자 수가 40%나 적었다.

 27일 질병관리청이 발표한 '2023 감염병 신고 현황 연보'에 따르면 작년 전수감시 법정감염병(1~3급) 신고환자 수는 10만9천87명으로 2022년(9만2천831명)보다 17.5% 증가했다.

 수두, 유행선이하선염, 백일해, 성홍열 등 호흡기감염병이 주로 증가했다. 해외여행이 늘면서 모기를 매개로 감염되는 뎅기열, 말라리아 등도 늘었다. 반면 결핵, A형·C형 간염, 후천성면역결핌증(AIDS)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코로나19를 제외한 법정감염병으로 인해 세상을 떠난 사람의 수도 증가했다. 전년(1천456명)보다 10.2% 늘어난 1천604명으로 집계됐다.

 

 사망자가 가장 많았던 감염병은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목(CRE) 감염증(663명)이었고, 그 다음이 결핵(557명), AIDS(158명), 폐렴구균 감염증(80명), 줄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38명) 순이었다.

 코로나19를 제외한 법정 감염병 환자가 전년보다 늘어나긴 했지만, 코로나19 유행 이전과 비교하면 훨씬 적은 편이다.

 작년 환자 수는 2019년보다는 40.3% 적은 수준이다. 신고 환자 수는 2018년 19만5천641명, 2019년 18만2천570명이었던 것이 코로나19 발발로 급감했다가 조금씩 늘어나는 추세다.

 방역 당국은 모두 89종을 1~4급의 법정감염병으로 관리하고 있다.

 이 중 1~3급에 대해서는 의료기관 등의 신고를 통해 전수 감시를 하고 있고, 4급은 표본 감시 대상이다.

 작년 1~3급 감염병 66종 중 24종에 대한 신고는 1건도 없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성분명 처방 갈등 속에…의협 "'불법 대체조제' 약국 2곳 고발"
의약품의 '성분명 처방'을 둘러싸고 의사와 약사 사회가 대립하고 있는 가운데 대한의사협회가 "명백한 불법 대체조제가 확인됐다"며 약국 2곳을 고발하고 나섰다. 의협은 자체 운영해온 불법 대체조제 신고센터를 통해 접수된 사례들 가운데 약국 2곳에 대해 약사법 위반으로 서울경찰청에 고발장을 제출했다고 17일 밝혔다. 의협은 이 중 한 곳에선 의사가 처방한 의약품을 다른 의약품으로 대체조제하면서 환자와 의사에게 통보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약국은 의사가 처방한 타이레놀 1일 3회 복용량을 2회로 변경해 조제하고 타이레놀 8시간 서방정을 세토펜정으로 변경조제하면서 의사·환자에게 통보하지 않았다는 게 의협 주장이다. 현행 약사법은 처방전 의약품과 성분, 함량 및 제형이 같은 다른 의약품에 대해 의사 또는 치과의사의 사전 동의 하에 대체조제를 허용하고 있다. 박명하 의협 부회장은 "불법 대체조제는 환자 안전을 위협할 뿐 아니라, 국민의 신뢰를 근간으로 하는 보건의료질서를 무너뜨리는 행위"라며 "기본원칙을 무시한 사례가 반복되고 있어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번 고발은 최근 성분명 처방 허용을 두고 의사와 약사사회가 갈등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뤄졌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