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86개 해수욕장 모두 개장…"피서는 파도 넘실대는 동해로"

고성·양양 마지막 개장, 총 86개소…최장 8월 25일까지 운영
개장 후 피서객 27.6% 증가…지역별 차별화 집중·안전관리 강화

  강원 고성과 양양지역 해수욕장이 12일 개장함에 따라 강원 동해안 6개 시군 해수욕장 86개소가 모두 개장하고 일제히 피서객 맞이에 나섰다.

 가진과 봉수대 등 고성지역 27개 해수욕장과 낙산 등 양양지역 20개 해수욕장이 이날 마지막으로 개장하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

 동해안 해수욕장은 지난달 22일 고성 아야진해수욕장이 임시 개장하고 같은 달 29일 강릉 경포해수욕장을 시작으로 속초와 동해, 삼척지역 해수욕장이 연이어 개장했다.

 동해안 해수욕장은 8월 25일 폐장하는 속초와 양양지역 일부 해수욕장을 제외하고는 8월 18일까지 운영된다.

 동해안 시군은 해수욕장 안전요원 599명을 배치하고, 해수욕장 안전시설 개·보수와 구명장비를 갖추는 등 해수욕장 안전에 온 힘을 쏟고 있다.

 특히, 경포와 속초해수욕장의 방사능 검사를 매주 실시하고 피서객이 많이 찾는 경포와 망상, 속초, 낙산 등 4개 해수욕장은 실시간 이안류 감시 시스템을 운영한다.

 또한, 동해 망상, 속초, 삼척 등 8개 해수욕장에는 상어 방지 그물망을 설치해 출몰이 잦아진 상어와 해파리 등과 같은 유해 생물 출몰 시 물놀이 구역으로 들어올 수 없도록 조치하고, 나머지 해수욕장도 상어퇴치기, 상어 피해 예방 안내판 등을 설치한다.

 도와 시군은 피서객들이 다양한 볼거리와 체험을 경험할 수 있도록 시군별 특색 있고 차별화된 해수욕장을 운영한다.

 강원특별자치도 관계자는 "올여름 날씨가 무더울 것으로 관측돼 동해안 해수욕장에 많은 인파가 몰릴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해수욕장 안전 관리를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건강정보이해력, 연령·소득 따라 격차…70대 36%만 '적절' 수준
우리 국민이 건강정보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이 연령, 소득·교육수준 등에 따라 격차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2023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성인 5천906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성인의 60.4%가 '적절' 수준의 건강정보이해능력을 가졌다. 건강정보이해능력은 '건강과 관련된 의사결정을 하는 데 필요한 건강정보 또는 서비스를 찾고 이해하며 활용하는 능력'으로, 질병청은 2022년 측정도구를 개발해 2023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처음으로 포함시켰다. 조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질병예방, 건강증진, 건강관리, 자원활용 등 4개 영역의 10개 문항으로, 40점 만점에 30점 이상인 경우에 '적절' 수준으로 평가했다. 분석 결과 의사, 약사의 설명이나 환자용 교육자료를 이해하는 건강관리 영역에서 가장 높은 이해도를 보인 반면, 질병예방이나 얻은 정보를 판단하고 활용하는 자원활용 영역의 이해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질병청은 설명했다. 인구사회학적 특성별로도 격차가 있었다. 연령이 낮을수록 이해능력 수준이 높아 20대 중엔 70.5%가 적절 수준의 이해력을 갖췄지만, 70세 이상에선 그 비율이 절반인 36.0%에 그쳤다. 소득과 교육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