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콩가루 먹여 땅콩알레르기 치료…호주, 경구 면역요법 첫 도입

호주 출생아 3%, 12개월 내 땅콩알레르기 반응…가루양 조금씩 늘려 면역 유도

 호주 정부가 아이들의 땅콩 알레르기를 치료하기 위해 땅콩 가루를 조금씩 먹여 면역력을 키우는 방법을 공식 채택했다.

 1일(현지시간) 호주 SBS 방송 등에 따르면 전날 호주 국립 알레르기 센터는 공립 병원에서 땅콩 알레르기가 있는 아이들을 대상으로 경구 면역 요법 프로그램을 도입한다고 밝혔다.

 호주 정부에 따르면 호주 출생자 3%는 생후 12개월 내 땅콩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나고, 이들 중 20%만이 10대가 됐을 때 알레르기 반응이 없어진다.

 하지만 호주 정부가 도입한 경구 면역 요법은 2년 동안 땅콩 가루를 조금씩 먹이고 점점 양을 늘리면서 땅콩에 면역이 생기도록 하는 치료법이다.

 임상 시험이나 일부 전문 알레르기 센터에서만 사용하는 방식으로 정부 차원에서 경구 면역 요법을 채택한 나라는 호주가 처음이다.

 국립 알레르기 센터 경구 면역치료 책임자 커스틴 페렛은 "궁극적으로 우리는 더 많은 어린이가 목숨을 위협하는 땅콩 알레르기 없이 지낼 수 있도록 하려 한다"며 "호주에서 땅콩 알레르기 질환의 궤도를 바꾸고 싶다"고 말했다.

 아들이 9개월째 이 치료를 받고 있다는 커스틴 채트윈씨는 땅콩에 대한 반응이 갈수록 좋아지고 있다며 "땅콩 알레르기가 있는 아이를 둔 가족은 땅콩으로부터 자녀를 보호하기 위해 필사적"이라고 말했다.

 호주는 전체 인구의 20%가 각종 알레르기 질환을 앓고 있어 '알레르기의 수도'라는 오명을 갖고 있다.

 호주 정부는 각종 알레르기 질환자가 계속해서 늘어나 2050년에는 호주인 770만명이 알레르기 질환을 앓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정 갈등, 무너진 지역·필수공공의료 회복에 전화위복 되길"
1년 넘게 이어진 의정 갈등이 해결 기미가 보이고 새 정부의 공약인 공공의대 신설과 지역의사제 도입 논의가 활발해지면서 지역 공공의료계도 힘을 보태고 나섰다. 25년간 공공의료에 헌신하다가 지난 4월부터 영월의료원의 응급의사로 일하고 있는 조승연(62) 전 인천의료원장과 조 전 원장을 시골로 불러들인 서영준(68) 영월의료원장은 한목소리로 "보건의료 체계에서의 공공성 회복"을 강조했다. 의사와 보건 행정가로 대한민국 공공의료를 이끌어온 두 전문가가 근무 중인 영월의료원에서 만나 의정 갈등 문제와 지역·필수·공공의료 분야의 만성적인 전문인력 부족 문제에 대한 의견을 들어봤다. 먼저 의정 갈등에 대해 "다시는 있어서는 안 될 불행한 사건이었다"고 언급한 조 전 원장은 "사태의 근본 원인은 국민을 위한 의료체계를 고민하지 않고 방치한 정부의 책임이 가장 크고, 그다음은 전문가성을 잃고 직역의 안위를 추구해온 의사들에게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역 필수 의료의 붕괴는 공공성을 잃고 사익 추구를 무한 허용해온 결과다. 당연히 돈 안 되고 힘든 지역과 필수 분야는 외면받을 수밖에 없었다"며 "문제의 답은 보건의료 체계에서 공공성의 회복"이라고 강조했다. 지역 공공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