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레이·CT 너무 많이 찍나…한해 의료방사선 검사, 선진국의 7배

작년 국민 1인당 의료방사선 검사 7.7건…선진국은 1건 안팎
4건중 3건 X레이 촬영이지만, 피폭선량 67%는 'CT'…"CT, 적정 사용 필요성

 지난해 한국인은 엑스(X)레이나 컴퓨터단층촬영(CT) 등 의료방사선 검사를 한사람당 평균 7.7건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선진국의 7배 수준에 달해 적정한 수준의 검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질병관리청이 발표한 '2023년 국민 의료방사선 이용 현황'에 따르면 작년 전 국민의 의료방사선 검사 건수는 3억9천800만여건이었고, 전체 피폭선량은 16만2천106 맨·시버트(man·Sv)였다.

 맨·시버트는 한 집단의 개인 피폭방사선량의 총합에 쓰이는 단위다.

 작년 1인당 검사 건수는 전년 6.8건보다 13.2%(0.9건) 증가했다. 2020년 5.9건이었던 것이 2021년 6.4건, 2022년 6.8건, 지난해 7.7건으로 빠르게 늘고 있다.

 검사 건수는 세계 평균보다 훨씬 많았다.

 과거 자료이긴 하지만 1인당 의료방사선 검사 건수는 스위스(2018년)와 미국(2016년)이 각각 1.1건, 유럽연합 36개국(2014년)이 0.5건이었다.

 한국은 1인당 피폭선량 역시 2020년 2.46mSV, 2021년 2.64mSV, 2022년 2.75mSV, 2023년 3.13mSV로 증가 추세다.

 질병청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방부(군 의료기관), 대한결핵협회(결핵검진기관), 교육부(학생검진기관) 등으로부터 검사 건수 등 자료를 수집해 이용 현황을 집계했다.

 전체 의료방사선 검사를 검사 종류별로 보면 일반촬영(X레이촬영)이 77.2%(국민 1인당 6.0건)로 가장 많았고, 치과촬영(4.0%), 유방촬영(5.4%), CT(4.0%) 순이었다.

 피폭선량은 CT가 67.3%(국민 1인당 2.11mSV)로 비중이 가장 컸고, 그다음이 일반촬영(26.5%), 혈관촬영(2.3%), 투시촬영(1.9%), 유방촬영(1.3%) 순서였다.

 질병청은 CT가 영상의학검사 중 검사건당 피폭선량이 가장 많다는 점을 고려할 때 적정 사용의 필요성이 가장 높다고 설명했다.

 의료기관 종별로는 전체 검사의 40.7%가 의원에서 실시됐고, 종합병원은 28.4%, 병원 17.8%였다.

 피폭선량을 기준으로 하면 종합병원이 68.7%를 차지해 의원(17.3%), 병원(12.6%)보다 많았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인구 고령화와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의료방사선 검사 이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의료기관에 지침과 진단 참고 수준을 제공해 의료방사선이 안전하고 적정하게 사용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껌 씹기와 전기자극치료 병행, 노인 음식물 삼킴 능력 향상
껌 씹기 운동과 전기자극치료를 병행하면 구강 근력을 높일 수 있어 음식물 삼킴에 어려움을 겪는 노인들에게 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조선대에 따르면 이 대학 작업치료학과 최종배 교수 연구팀은 최근 전기자극치료와 껌 씹기 운동의 병행이 고령층의 삼킴 능력과 구강 건강 개선에 실질적인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는 내용의 새로운 재활 치료법을 제시했다. 고령층은 근육량 감소로 씹는 힘과 침 분비 기능이 저하되는 '근감소성 삼킴장애'를 겪는 경우가 많다. 이로인해 식사와 삼킴이 어려워지고 건강이 악화하지만, 일상 속 껌 씹기 운동만으로는 개선 효과를 얻기 힘들다. 연구팀은 '전기자극치료와 껌 씹기 운동을 결합한 재활치료법'을 개발하고, 65세 이상 노인 40명을 대상으로 껌 씹기 운동만 시행한 그룹과 저작근(씹는 근육)에 전기자극치료를 병행한 그룹을 비교했다. 4주간의 연구 결과 전기자극치료를 병행한 그룹은 씹는 힘, 저작근 두께, 구강 점막의 수분도가 모두 증가했다. 단순 껌 씹기 운동만 실시한 그룹보다 개선 효과가 확연히 높았으며, 연구팀은 전기자극이 근육을 더욱 효과적으로 활성화해 저작근 강화와 침샘 기능을 촉진한 결과로 분석했다. 연구팀은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