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레이·CT 너무 많이 찍나…한해 의료방사선 검사, 선진국의 7배

작년 국민 1인당 의료방사선 검사 7.7건…선진국은 1건 안팎
4건중 3건 X레이 촬영이지만, 피폭선량 67%는 'CT'…"CT, 적정 사용 필요성

 지난해 한국인은 엑스(X)레이나 컴퓨터단층촬영(CT) 등 의료방사선 검사를 한사람당 평균 7.7건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선진국의 7배 수준에 달해 적정한 수준의 검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질병관리청이 발표한 '2023년 국민 의료방사선 이용 현황'에 따르면 작년 전 국민의 의료방사선 검사 건수는 3억9천800만여건이었고, 전체 피폭선량은 16만2천106 맨·시버트(man·Sv)였다.

 맨·시버트는 한 집단의 개인 피폭방사선량의 총합에 쓰이는 단위다.

 작년 1인당 검사 건수는 전년 6.8건보다 13.2%(0.9건) 증가했다. 2020년 5.9건이었던 것이 2021년 6.4건, 2022년 6.8건, 지난해 7.7건으로 빠르게 늘고 있다.

 검사 건수는 세계 평균보다 훨씬 많았다.

 과거 자료이긴 하지만 1인당 의료방사선 검사 건수는 스위스(2018년)와 미국(2016년)이 각각 1.1건, 유럽연합 36개국(2014년)이 0.5건이었다.

 한국은 1인당 피폭선량 역시 2020년 2.46mSV, 2021년 2.64mSV, 2022년 2.75mSV, 2023년 3.13mSV로 증가 추세다.

 질병청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방부(군 의료기관), 대한결핵협회(결핵검진기관), 교육부(학생검진기관) 등으로부터 검사 건수 등 자료를 수집해 이용 현황을 집계했다.

 전체 의료방사선 검사를 검사 종류별로 보면 일반촬영(X레이촬영)이 77.2%(국민 1인당 6.0건)로 가장 많았고, 치과촬영(4.0%), 유방촬영(5.4%), CT(4.0%) 순이었다.

 피폭선량은 CT가 67.3%(국민 1인당 2.11mSV)로 비중이 가장 컸고, 그다음이 일반촬영(26.5%), 혈관촬영(2.3%), 투시촬영(1.9%), 유방촬영(1.3%) 순서였다.

 질병청은 CT가 영상의학검사 중 검사건당 피폭선량이 가장 많다는 점을 고려할 때 적정 사용의 필요성이 가장 높다고 설명했다.

 의료기관 종별로는 전체 검사의 40.7%가 의원에서 실시됐고, 종합병원은 28.4%, 병원 17.8%였다.

 피폭선량을 기준으로 하면 종합병원이 68.7%를 차지해 의원(17.3%), 병원(12.6%)보다 많았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인구 고령화와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의료방사선 검사 이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의료기관에 지침과 진단 참고 수준을 제공해 의료방사선이 안전하고 적정하게 사용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비마약성 진통제 시대 개막…비보존, 국산신약 어나프라주 출시
비보존제약이 제38호 국산신약으로 개발한 비마약성 진통제 '어나프라주'를 국내 출시했다. 비보존제약은 지난 10일 그랜드 하얏트 서울에서 어나프라주의 본격적인 출시를 기념하기 위한 출정식을 성황리에 마쳤다고 밝혔다. 행사는 캘리그라피 퍼포먼스를 시작으로 장부환 비보존제약 대표이사의 환영사, 개발자인 이두현 비보존그룹 회장의 감사 인사, 신약 비전 선포식, 어나프라주 출정식 순서로 진행됐다. 어나프라주는 수술 후 중등도에서 중증의 급성통증 조절에 사용하는 비마약성 진통 주사제로, 지난해 12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품목 허가를 받았다. 마약성 진통제의 오·남용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며 어나프라주는 부작용이 적은 통증 치료제로 주목받고 있다. 전영태 대한마취통증의학회장은 축사를 통해 "마약성 진통제를 대체할 수 있는 효과적인 진통제가 절실한 상황에 어나프라주의 국내 출시는 매우 반가운 일"이라며 "학회도 앞으로 어나프라주가 더 많은 환자에게 도움이 되고 국내외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응원하겠다"고 말했다. 노연홍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은 "비마약성 진통제 신약 개발은 수많은 글로벌 빅파마들조차도 넘기 어려운 도전 과제로 여겨졌으나 비보존제약이 독자적인 기술력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