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앞두고 '벌 쏘임' 급증…냅다 뛰면 될까

 무더위가 이어지는 요즘 전국적으로 벌 쏘임 사고가 자주 발생하고 있습니다.

 추석을 맞아 벌초나 성묘를 가시는 분들 각별히 조심해야 하는데요.

 자칫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는 벌 쏘임 사고를 예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 시기에 사람들의 야외활동이 늘어나면서 쏘일 위험도 커지는 거죠.

 올해는 특히 폭염이 길게 이어지면서 벌 개체 수도 많이 늘어났는데요.

 최문보 경북대 농업과학기술연구소 교수는 "기온이 올라가면서 유충의 성장 속도가 조금씩 빨라지는 경향을 보인다"면서 "올해는 날씨가 굉장히 덥기 때문에 말벌들이 외부 활동이 많아지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벌 쏘임을 예방하려면 어두운 계열의 옷보다는 밝은색 긴소매 옷으로 팔과 다리의 노출을 최소화하는 게 좋습니다.

 또 벌을 자극할 수 있는 향수나 화장품, 스프레이 사용도 자제해야 합니다.

 벌이 공격하려고 한다면 벌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대처해야 하는데요.

 꿀벌의 경우 땅에 엎드리거나 가만히 있으면 공격을 피할 수 있지만, 이런 자세가 말벌의 공격엔 오히려 취약한 상태가 된다고 합니다.

 최문보 교수는 "말벌들이 공격하기 전 경계비행을 할 때는 가만히 머리를 숙이고 뒤로 빠지면 된다.

 만약 벌집을 건드렸거나 쏘였을 때는 한두 방 더 쏘이더라도 집단 공격을 피하기 위해 20∼30m 이상 벌집으로부터 빨리 멀어지는 게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벌집을 발견했을 때는 직접 따거나 건드리지 말고 벌 전문가 또는 소방서에 연락해 벌집을 제거하는 게 안전하다"고 조언했습니다.

 벌에 쏘이면 보통 피부가 붉게 부어오르면서 통증이 나타나는데요. 가려움증이나 부종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이한유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벌침이 피부 깊숙이 들어가서 아나필락시스라고 하는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나게 되면 혈압이 떨어지면서 어지럼증이 나타날 수 있고, 구역과 구토, 복통 증상도 나타날 수 있다"면서 "아주 심할 때는 실신하고, 사망에도 이를 수가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벌에 쏘인 부위는 냉찜질로 통증을 줄일 수 있는데요.

 약국에서 판매하는 연고, 복용 약을 쓰면 통증이나 가려움을 가라앉힐 수도 있습니다.

 꿀벌에 쏘인 경우엔 신용카드 등으로 벌침을 제거해주는 것이 좋은데요. 하지만 억지로 제거하려고 하면 염증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이한유 교수는 "말벌 같은 경우 독침이 없을 확률이 훨씬 높은데 증상이 나타났을 때는 119를 통해 응급실로 가는 게 좋다"라며 "도저히 혼자서 병원에 가기 힘들다고 했을 때는 많이 움직이면 혈압이 떨어지기 때문에 시원한 그늘에서 구급대원을 기다리는 게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푹푹 찌는 더위에 혈당 오를라…만성질환자 건강관리 '요주의'
건강한 사람도 혀를 내두를 만한 후텁지근한 날씨가 연일 이어지면서, 평소 고혈압이나 당뇨병 등을 앓는 만성질환자들의 건강 관리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폭염으로 인한 탈수는 혈당 수치를 높이고 혈전 발생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갈증이 나지 않더라도 적절한 수분 섭취를 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의료계에 따르면 무더위로 인한 스트레스 증가는 혈압을 상승시키고 심장박동수를 증가시키며 혈당 수치도 높인다. 요즘처럼 푹푹 찌는 혹서기에 면역력이 약한 노약자는 가급적 야외 활동을 삼가며 더욱더 건강 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하는 이유다. 심혈관 질환자, 고혈압·당뇨병 등을 앓는 경우 폭염에 장시간 노출 시 온열질환이 발생할 위험은 물론이고 평소 갖고 있던 만성질환이 악화하는 경우가 많다. 이 중 당뇨병 환자는 무더위로 인해 땀으로 배출되는 수분량이 많아지면 체내 혈당 수치가 높아지면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당뇨병을 오래 앓았다면 자율신경계 기능 이상으로 체온 조절 기능이 떨어지면서 온열질환에 더 취약해지기도 한다. 심뇌혈관질환자 역시 땀 배출로 체내 수분이 감소하면 떨어진 혈압을 회복하기 위해 심박동수, 호흡수가 증가해 심장에 부담이 늘어난다. 강희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