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색종' 항암제 내성 원리 찾았다…새 치료제 개발 기대

KIST, 흑색종의 BRAF 항암제 내성 원리로 '폴리아민 합성' 제시

  국내 연구팀이 악성 피부암인 흑색종이 항암제에 내성을 갖는 원리를 밝히고 이를 토대로 새로운 항암제 개발 전략을 제시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의약소재연구센터 김택훈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발암 유전자인 'BRAF' 억제 항암제에 내성을 가진 흑색종이 세포 증식을 촉진하는 '폴리아민' 합성을 늘려 증식하는 내성 원리를 확인하고, 폴리아민 합성을 조절하면 내성이 줄어드는 것을 세포 연구에서 확인했다고 최근  밝혔다.

 흑색종은 피부 속 세포를 만드는 멜라닌 세포가 일으키는 암으로 전이나 재발이 쉽게 발생하는 암이다.

 현재 임상 연구에서 BRAF를 억제하는 표적 항암제인 베무라페닙, 코비메티닙 등이 주로 쓰이고 있지만, 약물에 대한 내성이 빠르게 발생해 치료 효과가 높지 않았다.

 폴리아민은 주로 암세포에서 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는데, 항암제 내성 흑색종에서도 폴리아민이 미토콘드리아 단백질 활성을 높여 내성 암세포를 증식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BRAF 항암제에 내성을 가진 세포주 모델에 대해 유전자 가위를 활용한 분석을 수행한 결과 폴리아민 합성에 필수적 역할을 하는 유전자인 'AMD1'을 발굴했다.

 이 유전자를 조절한 결과 폴리아민 합성이 억제되면서 BRAF 항암제에 대한 내성도 줄었고, 그 결과 흑색종이 사멸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폴리아민 생합성이 BRAF 항암제 내성을 유발하는 원인임을 밝힘으로써 폴리아민 대사를 조절하는 새로운 항암제 개발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했다.

 김 선임연구원은 "대사항암제 개발을 위해 BRAF 돌연변이가 자주 나타나는 대장암, 갑상샘암 등에서 폴리아민 대사 조절을 통한 항암 효과 검증을 수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지난 7월 국제학술지 '분자 암'(Molecular Cancer)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료급여 정액제→정률제 전환… 취약계층 건강권 침해 우려"
의료급여 수급자의 본인부담액을 정액제에서 정률제로 전환하는 것은 취약계층의 건강권을 침해할 소지가 있다는 국가인권위원회 판단이 나왔다. 인권위는 의료급여 정률제 등의 내용을 담은 의료급여법 시행령·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을 재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표명했다고 최근 밝혔다. 의료급여란 생활유지 능력이 없거나 생활이 어려운 저소득 국민의 의료비를 국가가 지원하는 것을 말한다. 기존 의료급여 수급자의 본인부담금은 외래진료 건당 1천∼2천원 수준이다. 이와 관련해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난달 15일까지 입법예고한 개정안에는 본인 부담을 진료비의 4∼8% 수준으로 책정하는 정률제와 외래진료 횟수 연 365회 초과 시 본인 부담률을 30%까지 늘리는 본인부담 차등제 등 내용이 담겼다. 인권위는 정률제가 시행되면 진료 건당 최대 2만원까지 수급자의 본인부담금이 늘어날 것이라고 우려했다. 또 횟수를 지정한 본인부담 차등제는 수급권자의 특성과 건강 상태, 질병의 복합적 성격을 간과한 것으로 의료기관 이용이 시급한 수급권자의 건강권을 침해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인권위는 해당 개정안이 수급자들의 경제적·사회적 상황 등을 고려하지 않고 의료비 절감에만 초점을 뒀다면서 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산림과학원 "보리밥나무, 탈모 예방에 효과…특허 등록"
국내 자생식물인 보리밥나무가 모발 성장·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모유두세포를 강화해 탈모 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상록 활엽 덩굴나무인 보리밥나무는 해안 지대에서 잘 자라며, 작은 가지에 은백색과 연한 갈색의 비늘털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한방에서는 '동조'(冬棗)라는 한약재로 불리며 천식·기침·가래·당뇨 등 증상에 약재로 활용돼 왔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2022년부터 모발 건강에 도움을 주는 산림바이오자원 발굴을 위해 170여종의 산림자원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보리밥나무가 모유두세포를 강화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 세포 실험에서 보리밥나무 추출물을 10㎍(마이크로그램·100만분의 1g)/㎖ 농도로 처리했을 때 모유두세포 활성이 150%, 30㎍/㎖에서는 17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유두세포와 관련된 바이오마커(체내 변화를 알아낼 수 있는 지표) 역시 보리밥나무 처리 농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피부 안전성 평가에서 무자극 등급을 받아 원료의 안전성을 확보했으며, 보리밥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앰플 시제품을 제작해 활용성과 안정성까지 검토했다고 산림과학원은 전했다. 해당 연구 결과에 대한 특허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