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쏘임 사고 4건 중 1건 9월 발생…"벌침은 카드로 밀어내야"

추석 연휴 벌·뱀 주의…"예초기 사용 땐 안전장비 착용해야"

 벌에 쏘이는 사고 4건 중 1건 가까이는 9월에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 성묘 등 야외 활동이 잦은 추석 연휴를 앞두고 주의가 요구된다.

 12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 결과, 2019∼2023년 벌 쏘임 사고는 총 4천532건 발생해 111명이 입원하고, 15명이 사망했다.

 전체 사고의 71.2%가 7∼9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이 기간 입원 환자는 73명, 사망자는 12명이었다.

 월별로 나누면 야외 활동을 많이 하는 7∼8월에 47.7%, 벌초나 성묘, 추수, 단풍놀이 등이 증가하 는 9월에 23.5% 발생했다.

 평일보다는 주말(46.9%)에 발생 빈도가 높았고, 주간 시간(6∼18시, 78.5%)에 주로 벌에 쏘였다.

 5년간 벌에 쏘인 사람 중 남자는 2천921명(64.5%), 여자는 1천611명(35.5%)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2배 가까이 더 많이 벌에 쏘였다.

 연령별로는 50∼60대(47.8%)가 환자의 절반 가까이 차지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벌에 쏘이지 않으려면 어두운색보다는 밝은색 옷을 입는 것이 좋다.

 벌에 쏘였을 때는 손이나 핀셋이 아닌 신용카드 등으로 벌침을 밀어내서 제거해야 한다.

 통증이 지속되거나 과민 반응이 발생하면 신속하게 병원에 가서 진료받아야 한다.

 추석이 낀 9월에는 뱀에 물리는 사고도 종종 발생한다.

 2019∼2023년 뱀에 물린 사고는 모두 808건 발생했다.

 월별로는 9월이 21.9%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8월(17.8%)과 7월(17.2%)이 뒤를 이었다.

 뱀에 물린 경우 62.0%의 비율로 입원하는 만큼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밭일, 도로 제초 작업 같은 업무 중 뱀에 물린 경우가 28.6%로 가장 많았다.

 질병청 관계자는 "10월까지는 뱀에 물리는 사고가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호수나 저수지, 산 등에서의 야외 활동 시 주의해야 한다"며 "뱀은 사람을 피하는 습성이 있으므로 뱀을 잡으려고 하지 말고 안전한 장소로 대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뱀에 물린 경우 물린 부위가 심장 높이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처 부위를 입으로 빨거나 건드리지 말고 병원에 가야 한다.

 특히 술이나 카페인 음료는 뱀 독을 빨리 퍼지게 할 수 있으므로 마시지 않아야 한다.

 이 밖에 추석을 앞두고는 벌초 작업 중 예초기 사고가 자주 발생해서 주의해야 한다.

 2019∼2023년 예초기 사용에 따른 손상 사고는 1천295건 발생했다. 지난해에는 예초기 사고로 1명이 목숨을 잃기도 했다.

 환자의 91.4%가 남자였다.

 예초기 사고의 종류를 보면 날아오는 돌에 맞는 등의 둔상이 34.4%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로 이물질이 눈에 들어가는 등의 이물질에 따른 손상이 26.6%, 작동 중 기계에 의한 손상이 22.1%였다.

 손상 부위로는 얼굴·머리가 66.0%로 가장 많았다.

 질병청 관계자는 "숙련된 전문 작업자라 하더라도 안전모와 안면 보호구, 장갑, 안전화 등 보호장비를 반드시 착용해야 한다"며 "예초기 사용 중 이물질이나 나무 파편 등이 눈에 들어가거나 신체에 박힌 경우 각막이나 혈관에 추가 손상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제거하지 말고 병원에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껌 씹기와 전기자극치료 병행, 노인 음식물 삼킴 능력 향상
껌 씹기 운동과 전기자극치료를 병행하면 구강 근력을 높일 수 있어 음식물 삼킴에 어려움을 겪는 노인들에게 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조선대에 따르면 이 대학 작업치료학과 최종배 교수 연구팀은 최근 전기자극치료와 껌 씹기 운동의 병행이 고령층의 삼킴 능력과 구강 건강 개선에 실질적인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는 내용의 새로운 재활 치료법을 제시했다. 고령층은 근육량 감소로 씹는 힘과 침 분비 기능이 저하되는 '근감소성 삼킴장애'를 겪는 경우가 많다. 이로인해 식사와 삼킴이 어려워지고 건강이 악화하지만, 일상 속 껌 씹기 운동만으로는 개선 효과를 얻기 힘들다. 연구팀은 '전기자극치료와 껌 씹기 운동을 결합한 재활치료법'을 개발하고, 65세 이상 노인 40명을 대상으로 껌 씹기 운동만 시행한 그룹과 저작근(씹는 근육)에 전기자극치료를 병행한 그룹을 비교했다. 4주간의 연구 결과 전기자극치료를 병행한 그룹은 씹는 힘, 저작근 두께, 구강 점막의 수분도가 모두 증가했다. 단순 껌 씹기 운동만 실시한 그룹보다 개선 효과가 확연히 높았으며, 연구팀은 전기자극이 근육을 더욱 효과적으로 활성화해 저작근 강화와 침샘 기능을 촉진한 결과로 분석했다. 연구팀은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