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쏘임 사고 4건 중 1건 9월 발생…"벌침은 카드로 밀어내야"

추석 연휴 벌·뱀 주의…"예초기 사용 땐 안전장비 착용해야"

 벌에 쏘이는 사고 4건 중 1건 가까이는 9월에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 성묘 등 야외 활동이 잦은 추석 연휴를 앞두고 주의가 요구된다.

 12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 결과, 2019∼2023년 벌 쏘임 사고는 총 4천532건 발생해 111명이 입원하고, 15명이 사망했다.

 전체 사고의 71.2%가 7∼9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이 기간 입원 환자는 73명, 사망자는 12명이었다.

 월별로 나누면 야외 활동을 많이 하는 7∼8월에 47.7%, 벌초나 성묘, 추수, 단풍놀이 등이 증가하 는 9월에 23.5% 발생했다.

 평일보다는 주말(46.9%)에 발생 빈도가 높았고, 주간 시간(6∼18시, 78.5%)에 주로 벌에 쏘였다.

 5년간 벌에 쏘인 사람 중 남자는 2천921명(64.5%), 여자는 1천611명(35.5%)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2배 가까이 더 많이 벌에 쏘였다.

 연령별로는 50∼60대(47.8%)가 환자의 절반 가까이 차지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벌에 쏘이지 않으려면 어두운색보다는 밝은색 옷을 입는 것이 좋다.

 벌에 쏘였을 때는 손이나 핀셋이 아닌 신용카드 등으로 벌침을 밀어내서 제거해야 한다.

 통증이 지속되거나 과민 반응이 발생하면 신속하게 병원에 가서 진료받아야 한다.

 추석이 낀 9월에는 뱀에 물리는 사고도 종종 발생한다.

 2019∼2023년 뱀에 물린 사고는 모두 808건 발생했다.

 월별로는 9월이 21.9%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8월(17.8%)과 7월(17.2%)이 뒤를 이었다.

 뱀에 물린 경우 62.0%의 비율로 입원하는 만큼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밭일, 도로 제초 작업 같은 업무 중 뱀에 물린 경우가 28.6%로 가장 많았다.

 질병청 관계자는 "10월까지는 뱀에 물리는 사고가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호수나 저수지, 산 등에서의 야외 활동 시 주의해야 한다"며 "뱀은 사람을 피하는 습성이 있으므로 뱀을 잡으려고 하지 말고 안전한 장소로 대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뱀에 물린 경우 물린 부위가 심장 높이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처 부위를 입으로 빨거나 건드리지 말고 병원에 가야 한다.

 특히 술이나 카페인 음료는 뱀 독을 빨리 퍼지게 할 수 있으므로 마시지 않아야 한다.

 이 밖에 추석을 앞두고는 벌초 작업 중 예초기 사고가 자주 발생해서 주의해야 한다.

 2019∼2023년 예초기 사용에 따른 손상 사고는 1천295건 발생했다. 지난해에는 예초기 사고로 1명이 목숨을 잃기도 했다.

 환자의 91.4%가 남자였다.

 예초기 사고의 종류를 보면 날아오는 돌에 맞는 등의 둔상이 34.4%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로 이물질이 눈에 들어가는 등의 이물질에 따른 손상이 26.6%, 작동 중 기계에 의한 손상이 22.1%였다.

 손상 부위로는 얼굴·머리가 66.0%로 가장 많았다.

 질병청 관계자는 "숙련된 전문 작업자라 하더라도 안전모와 안면 보호구, 장갑, 안전화 등 보호장비를 반드시 착용해야 한다"며 "예초기 사용 중 이물질이나 나무 파편 등이 눈에 들어가거나 신체에 박힌 경우 각막이나 혈관에 추가 손상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제거하지 말고 병원에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정자 기부했다가 생물학적 자녀가 50명…"일주일에 한명씩 새로 연락와"
난임부부를 도우려고 정자를 기증했다가 의료기관의 규칙 위반으로 생물학적 자녀를 50명이나 두게 된 사례가 나타났다. 주인공인 이 네덜란드 남성은 자국뿐만 아니라 유럽 전역에서 거의 매주 '새 자녀'의 연락을 받고 있다. 영국 일간 더타임스는 최근 일요판 선데이타임스에 정자를 기증했다가 상상하지 못한 현실을 마주한 네덜란드 남성 니코 카위트(63)의 이야기를 소개했다. 평생을 독신으로 살아 온 카위트는 30대 후반이었던 1998∼2000년 네덜란드 난임병원에 정자를 50여회 기증했다. 난임부부가 증가하던 시기였기에 다른 가족을 돕는다는 취지로 기증했고, 일부 정자는 과학 연구와 배아 기증에도 쓰였다. 독실한 기독교인인 카위트는 생명을 위해 기부했다면서 "다만 (기증된 정자로 아이를 낳은) 부모들이 그 사실이 알려지길 원하지 않았고, 자신들의 아이로 키우고 싶어 했기 때문에 모든 것이 조용히 진행됐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10년 전인 2004년에 병원으로부터 자신이 생물학적 자녀를 30여명이나 뒀다는 충격적인 소식을 듣게 됐다. 이는 단일 기증자를 통해 태어날 수 있는 아이의 수를 25명으로 제한하고 있는 네덜란드 규칙을 위반한 것이다. 카위트는 병원들이 당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폭우 침수 심각 지역, 외상·만성 호흡기질환 병원 이용 급증
기후 변화로 장마와 태풍 등에 따른 폭우 피해가 갈수록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침수가 심각했던 서울 지역 주민들의 외상이나 만성 호흡기 질환으로 인한 병원 이용이 비침수 지역보다 크게 늘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충남대 의과대학 한창우 교수팀은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 연구개발실과 함께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해 침수 피해 지역 주민들의 의료 이용 변화를 분석했다. 서울시에서 제공하는 침수흔적도를 바탕으로 2022년 8월 8∼9일 기록적인 폭우 후 침수 피해가 컸던 영등포·동작·관악·서초구를 세부 지역별로 심각 침수 지역, 경미 침수 지역, 비침수 지역으로 구분했다. 이후 각 지역 주민의 거주지 침수 전후 의료 이용 정보를 일반화 합성대조군 분석법으로 비교해 갑작스러운 폭우에 따른 홍수가 의료 이용에 미친 영향을 평가했다. 그 결과, 폭우 후 2주간 심각 침수 지역 주민들의 외상으로 인한 병원 이용이 비침수 지역보다 평균 56.2건, 만성 호흡기 질환으로 인한 병원 방문 역시 평균 14.1건 각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임신 및 출산과 관련한 의료서비스 이용은 평균 5.3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팀은 재난 상황에서 주민들이 갑작스럽게 발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