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직전공의 35% 의료기관 재취업했지만…상급종합병원엔 1.7%뿐

필수의료 대신 일반의·내과·피부과 등 취업…개원 전공의 '6명'

 의대 증원에 반대하며 사직한 전공의의 34.5%가 의료기관에 재취업했지만, 정작 이들이 수련받던 상급종합병원으로 돌아온 사직 전공의는 극소수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윤 의원이 최근 보건복지부에서 받은 '사직전공의 재취업 현황' 자료에 따르면 9월 19일 기준 사직 또는 임용포기 레지던트 9천16명의 34.5%(3천114명)가 의료기관에 재취업해 의사로 일하고 있다.

 종별로 보면 의원에 취업한 사직 레지던트는 1천719명으로, 전체 재취업자의 55.2%에 달해 가장 많다.

 진료과목별로 보면 일반의 의원에 취업한 사직 레지던트가 587명(34.1%)으로 가장 많았다.

 내과 219명, 정형외과 172명, 이비인후과 148명, 안과 127명, 피부과 126명 등 순으로 뒤를 이었다.

 이는 산부인과, 흉부외과, 신경외과, 소아청소년과 등 필수의료과 레지던트 사직률이 높았던 것과 대조적이다.

 진료과목이 산부인과인 의원에 취직한 사직 레지던트는 48명이었다. 신경외과는 32명, 소아청소년과 22명, 심장혈관흉부외과는 4명에 불과했다.

 병원급 의료기관에 취업한 사직 레지던트는 829명으로, 전체 재취업자의 26.6%였다.

 그러나 이 중 236명은 요양병원에, 29명은 한방병원에 취업해 중증환자를 진료하는 병원에서 일한다고 보기 어렵다.

 대표적인 전공의 수련병원인 상급종합병원에 재취업한 사직 레지던트는 52명으로 전체 재취업자의 1.7%에 불과했다.

 종합병원에 재취업한 사직 레지던트는 514명(16.5%)이다.

 사직 후 개원한 전공의도 6명 있었다. 1명은 요양병원, 나머지 5명은 의원을 차렸다.

 김윤 의원은 "현 사태의 심각성을 정확히 직시하고, 수련병원을 이탈한 전공의들이 전문의 자격을 취득해 중환자·응급환자·희귀질환 등 필수의료 분야와 지역사회 일차의료 분야에서 수련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앞서 대통령실이 사직 전공의 다수가 이미 의료현장에 돌아왔다며, 이는 수련을 이어가고 싶어 하는 것이라고 한 발언을 비판한 것이다.

 장상윤 대통령실 사회수석비서관은 지난 19일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현재 출근 중인 레지던트는 1천여명이고, 전공의를 사직하고 신규 취업한 전공의를 포함하면 전체 레지던트의 40%가 의료 현장에 이미 돌아와 있는 것"이라며 "전공의가 의사라는 직업을 포기한 게 아니라 수련환경과 의료체계가 제대로 변화한다면 복귀해 수련을 이어가고 싶어 한다는 방증"이라고 말한 바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말기 암 환자라면 어떤 결정을?'…성인 8%만 "연명의료 지속"
자신이 치료가 불가능한 말기 암 환자라면 어떤 선택을 할 것이냐는 질문에 성인 8%만이 '연명의료 지속'을 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는 연명의료 중단 결정이나 안락사, 의사조력자살을 원했다.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에 따르면 성누가병원 김수정·신명섭 연구팀과 서울대 허대석 명예교수가 지난해 6월 전국 성인 1천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논문을 대한의학회지(JKMS) 최신호에 실었다. '본인이 말기 암 환자라면 어떤 결정을 택하겠는가'라는 질문에 응답자 중 41.3%가 '연명의료 결정'을 택했다. 연명의료 결정은 무의미한 생명 연장만을 목적으로 하는 의료행위를 시작하지 않거나 중단하는 결정을 뜻한다. 인위적으로 생명을 단축하지도 연장하지도 않고, 자연스럽게 죽음에 이르겠다는 것이다. '안락사'를 택하겠다는 응답자가 35.5%, '의사조력자살'이 15.4%로 뒤를 이었다. 안락사와 의사조력자살은 모두 의사가 환자의 요청에 따라 죽음을 유도하는 약물을 처방하는 것인데, 안락사는 의사가 직접 약물을 투여하고, 의사조력자살은 환자 스스로 처방받은 약물을 복용한다는 차이가 있다. 연명의료를 지속하겠다는 응답은 7.8%에 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