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박테리아 'CRE 감염증' 조심"…대구서 발생신고 23.8% 증가

 대구시는 올해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목(CRE) 감염증' 발생 신고가 지난해보다 23.8% 증가했다고 5일 밝혔다.

 대구시에 따르면 올해 CRE 감염증 발생 신고 건수는 지난달 26일 기준 1천933건으로 작년 같은 기간 1천561건보다 372건이 늘었다.

 CRE 감염증은 중증 감염 치료제인 카바페넴계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장내세균목 균종에 의한 감염 질환이다.

 이 감염증은 최근 국내외에서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추세다.

 특히 연령이 증가할수록 발생 비율이 높고 2017년 이후 전국 누적 신고건 중 70세 이상이 전체 신고의 63.4%를 차지한다.

 시 관계자는 "CRE 감염증 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항균제의 종류가 제한적"이라며 "의료기관 내 감염 확산 방지를 위해 감염관리 원칙을 준수하고, 항생제 사용 최소화 및 올바른 항생제 복용법을 지켜야 한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허리시술후 사망' 원인은 황색포도알균?…"흔하지만 위험한 균"
강원도 강릉의 한 의료기관에서 허리통증 완화 시술을 받은 환자 여러 명이 이상 증상을 보인 사실이 알려지면서 의료기관 감염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강원도에 따르면 해당 의료기관에서 통증 완화 신경차단술 등 허리시술을 받은 후 8명이 최근 극심한 통증과 두통, 의식 저하, 발열 등의 증상을 보였고, 이 중 1명은 사망했다. 아직 역학조사가 끝나지 않아 시술과의 역학적 인과관계가 확인되진 않았지만, 이상증상 환자 대부분의 혈액이나 뇌척수액에서, 그리고 해당 의료기관 종사자 등에서도 발견된 '황색포도알균'이 이상 증상을 일으켰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포도송이 모양의 황색포도알균(Staphylococcus aureus)은 사실 자연계에 흔히 존재하는 세균 중 하나다. 건강한 사람의 코안이나 겨드랑이 등에도 정상적으로 존재한다. 그러나 감염되면 이상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황색포도알균이 만들어내는 독소가 식중독을 유발하기도 하며, 침습적인 시술 과정 등에서 의료 감염도 드물지 않게 발생한다. 병독성이 강한 편이라 중증 감염으로 이어질 위험성도 있다. 황색포도알균은 메티실린 항생제에 효과를 보이는지에 따라 MSSA(메티실린 감수성 황색포도알균)와 MRSA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