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25일 조간)

▲ 경향신문 = 사도광산 추도식 불참 사태, 대일 굴욕외교의 예고된 '참사'

'반쪽 합의' COP29, 부산 플라스틱 감축 회의는 성과 내야

오세훈까지 연루된 '명태균 의혹', 이래도 특검 안 하나

▲ 동아일보 = "美와 갈 데까지 가봐"… 김정은의 뻔한 '도발 후 협상' 카드

사도광산 추도식 파행… 번번이 무시당하는 우리의 선의

한 방산비리 군무원의 철저한 패가망신 사례

▲ 서울신문 = 양극화 해소 위한 재정확대… '헛돈' 쓰지 않는지 단속부터

사도광산 추도식 파행… 日 무성의, 韓 무기력 '합작품'

호미 대신 가래로 막겠다는 韓 대표의 '당 게시판' 대응

▲ 세계일보 = 韓 유족 빠진 日 사도광산 '반쪽' 추도식, 우리 외교부 뭘 했나

與 당원 게시판 논란에 침묵해 리더십 위기 자초한 한동훈

수능도 끝났는데 "내년 의대 모집 중지하라"는 의협 비대위

▲ 아시아투데이 = 오늘 李 '위증교사' 선고, 법치의 엄중함 보여주길

北, 7차 핵실험 준비… 떠오르는 자체 핵무장 방안

▲ 조선일보 = "건전 재정" 강조하다 하루아침에 "적극적 재정" 외친다니

사도 광산 공동 추도 무산, 日本이 양국 협력 해치고 있다

이재명 일극 체제 뻔한데 당과 다른 목소리, 벌써 몇 번째인가

▲ 중앙일보 = 안일한 대응으로 일본에 또 뒤통수 맞은 외교부

코인 과열 심각한 마당에 또 과세 유예 추진하나

▲ 한겨레 = 사도광산 추도식 파국, '굴욕 외교'의 쓰린 결과다

의혹만 더 키운 관저 '유령 건물' 해명

상법 개정 '공포마케팅'에 밀려선 안 된다

▲ 한국일보 = 사도광산 약속 어긴 일본, 뒤통수 예고에도 당한 정부

추경도, 상법도… 혼선 부르는 중구난방 정책 메시지

여당 '채 상병 국정조사' 거부, 진상 규명 말자는 건가

▲ 글로벌이코노믹 = 한국 경제 옥죄는 주요국 저성장 경고

해외 증시 투자 붐…불안한 외환 수급

▲ 대한경제 = 정기국회 막바지, 경제살리기 법안 처리에 속도 내라

건축사 자격시험 개편 앞두고 인력난 해소책도 강구해야

▲ 디지털타임스 = 뒤통수 맞은 사도광산 외교… 日 무성의에 강력 대응해야

청년 신규채용 '역대 최저'… 규제 혁파로 일자리 돌파구 열라

▲ 매일경제 = 내우외환 한국경제③ 수출로 먹고사는 나라, 내년이 더 걱정이다

대왕고래 시추, 발목잡기보다 차분히 결과 지켜봐야

진정성 없는 日 사도광산 추도식, 한일관계 찬물 끼얹나

▲ 브릿지경제 = 토큰증권 발행(STO) 법제화 더 미룰 시간 없다

▲ 서울경제 = 기술 초격차 확보하려면 '주 52시간 예외' 입법부터 서둘러라

韓, 당원게시판 논란 진실 밝히고 자신에도 쇄신 잣대 적용해야

巨野 '방탄' 위한 사법부 겁박 멈추고 민생 살리기 주력하라

▲ 이데일리 = 기업 옥죄는 상법 개정… 민주, '먹사니즘' 내걸 자격 있나

대학생 75%에 국가장학금, 표심 노린 선심 지나치다

▲ 이투데이 = 서민 급전창구 위험신호에 경각심 가져야

▲ 전자신문 = 의정갈등 해법 찾기 서둘러야

▲ 파이낸셜뉴스 = 반도체 52시간 예외 삭제, 기업 옥죄어 얻는 게 뭔가

투기 걱정 앞서 가상자산 제도 안정화가 먼저다

▲ 한국경제 = '1유로=1달러' 붕괴 위기, 혁신 외면한 EU의 굴욕

신재생 믿다 전기료 10배 뛴 유럽,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금융위 "상법 개정 아닌 맞춤 대응 필요" … 올바른 방향이다

▲ 경북신문 = 2025 수능 경북 1등… 경주고 출신 현역 의대생

▲ 경북일보 = 영일만항, 동해 가스전 탐사 주력항만 돼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무엇을, 어떻게 먹을까
◇ 음식을 둘러싼 거짓 정보 건강하게 먹고 사는 데 언론매체가 미친 부정적 영향은 몸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심어준 것뿐만이 아니다. 특히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는 문제가 심각하다. 일례로 필자가 의과대학에 다니던 1960년대에는 사카린이 발암물질이라고 해서 판매를 금지했다. 대신 설탕을 소비하게 했다. 그런데 20∼30년 정도 지난 후에 사카린처럼 좋은 감미료가 없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설탕, 올리고당 등 다른 감미료에 비해 열량이 획기적으로 적은데 단맛은 강하고 인체에 거의 해가 없다는 것이다. 그러면 왜 1960년대에는 사카린을 발암물질이라고 했을까? 실험하면서 동물에게 사람이 먹는 것보다 훨씬 많은 양의 사카린을 주입한 것이다. 그러면 당연히 부정적인 결과가 나올 수밖에 없다. 이때 이 연구를 수행하는 비용을 댄 곳이 어디일까? 바로 설탕 회사다.. 이처럼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전문가의 연구 결과라고 해서 무조건 믿어서는 안 된다. 무슨 목적을 가지고 그 연구를 했는지, 누가 돈을 댔는지 등을 꼼꼼하게 따져봐야 한다. 하지만 그게 쉬운 일은 아니다. 전문가도 어지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무엇이 믿을 수 있는 정보인지 판단하기 어렵다. 그러니 비전문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