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8일 조간)

▲ 경향신문 = '윤석열 사병' 거부했다고 간부 해임, 경호처의 적반하장

집값 치솟고 갭투자 꿈틀, '강남 토허제' 푼 오세훈 책임져야

세수펑크에 '약자 지원' 줄줄이 감소, 그런데도 감세경쟁

이재용 회장의 "사즉생" 각오, 삼성 도약 기폭제 되길

복귀 거부 전공의·의대생, 서울의대 교수들 비판 명심해야

▲ 동아일보 = 이재용 "죽느냐, 사느냐 직면"… 제2의 '프랑크푸르트 선언' 되길

美 "관세 뒤 새 양자 무역협정"… 이젠 한미 FTA까지 흔드나

연금특위 구성 신경전… 겨우 합의된 모수개혁도 허사 될라

▲ 서울신문 = '민감국가'에도 "네 탓"… 이런 안보불감 정치 본 적이 없다

들쑤셔진 서울 집값… '조기 대선용 정책' 동티 아닌가

삼성 "저력 잃었다" 뼈아픈 자성… 韓 경제회생 발판으로

▲ 세계일보 = 韓·美 FTA 재협상 시사, 정교한 대응으로 국익 지켜야

'민감국가' 대응 시급한데 "네 탓" 공방만 하는 한심한 여야

여야 연금개혁 다시 신경전, 20일 본회의가 마지노선

▲ 아시아투데이 = 美, 민감국가·FTA 압박…한덕수부터 복귀시켜야

민주당, '일당독재' 획책 위헌 법안까지 발의하나

▲ 조선일보 = 尹 대통령, 李 대표가 직접 "승복" 선언해야

"내가 알던 제자 맞나" 서울대 의대 교수들 고언

연금 개혁 이어 '정년 연장'도 국회가 해법 찾아야

▲ 중앙일보 = 집값 불안 불쏘시개 된 서울시 토지거래허가 해제

의대생 수업거부 종용 행위 단호하게 대처해야

▲ 한겨레 = 윤 대통령, '헌재 결정 승복할 것' 직접 밝혀야

김성훈 차장의 '내란 증거인멸' 언제까지 놔둘 건가

서울시 강남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성급했다

▲ 한국일보 = 양자 협상으로 새 무역 질서 겁박… 한미FTA 비상 걸렸다

한국 건너뛴 미 국방장관의 인·태 순방… 안보 패싱 심각하다

5년 뒤 경제활동인구 감소… 노동력 위기 대책 서둘러야

▲ 글로벌이코노믹 = 노사정 머리 맞대야 좋은 일자리 나온다

美 재정지출 축소, 성공한 사례 없다

▲ 대한경제 = 삼성과 현대차, 손잡고 수소산업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만들라

'지역주택조합' 장점 살리면 주택공급 한 축 된다

▲ 디지털타임스 = "전세 10년 보장" 5일만에 철회 李… 국민을 졸로 보나

부동산 `평지풍파` 일으킨 吳… `즉흥 정책`이 부른 참사다

▲ 매일경제 = MZ세대 "노인연령 상향해야"… 초고령사회 시대적 요구

"삼성다운 저력 잃었다"는 자성

탄핵심판 끝나면 꼬인 한미관계부터 풀어야

▲ 브릿지경제 = 지정 재개한 마을기업, 제도적 지원에 더 힘쓰길

▲ 서울경제 = 美 "양자협정 기준 재설정" …윈윈 패키지 제시해 국익 지켜야

5년 뒤 경제활동인구 감소, 여야 미래 성장 비전 놓고 경쟁하라

여야의정協, 컨트롤타워 역할해 의대생 복귀 매듭지을 때다

▲ 이데일리 = 사교육비 4년 연속 사상 최대… 부작용 이대로 둘 건가

새 무역질서 짜는 트럼프, 한미 FTA 재개정에 대비해야

▲ 이투데이 = '사즉생' 각오, 삼성에만 필요한가

▲ 전자신문 = 이재용 '사즉생'은 '기술즉생'이다

▲ 파이낸셜뉴스 = 홈플러스 '채권 사기 판매' 의혹 엄중 조사해야

민감국가 지정 이어 FTA 재개정까지 시사한 美

▲ 한국경제 = 여야, '네 탓' 공방 벌일수록 美 불신 더 깊어진다

진정한 밸류업은 투자라는 한은의 지적

한미 FTA 전면 개정 위기 … 韓 총리부터 당장 복귀시켜야

▲ 경북신문 = 인용 vs 기각… 이르면 금주 결판낼 듯

▲ 경북일보 = 철강산업 위기, 정부 뒷북 대응이 불렀다

▲ 대경일보 = 미정부의 한국에 대한 민감 국가 지정

아이 사라지는 경북, 미래는 암울하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대한약사회 "성분명 처방, 국민 부담 줄여…'밥그릇 싸움' 아냐"
대한약사회는 성분명 처방에 대해 "국민의 합리적 선택권을 보장하고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는 제도"라며 도입을 촉구했다. 권영희 대한약사회 회장은 지난 30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성분명 처방 한국형 모델 도입 정책토론회'에서 이렇게 말했다. 이날 토론회는 대한약사회와 의약품정책연구소가 주관했고 더불어민주당 남인순·서영석·김윤·장종태 의원, 조국혁신당 김선민 의원이 주최했다. 성분명 처방이란 특정 의약품의 상품명이 아니라 약물의 성분명으로 처방하는 방식이다. 성분명 처방이 이뤄지면 다수의 복제약이 출시된 원본 의약품의 경우 약국에서 성분이 같은 어떤 약을 지어도 무방해진다. 권 회장은 "성분명 처방은 약사 사회에서 의약분업 이후 계속 도입 필요성을 요구해온 사안"이라며 "2007년 정부 주도의 시범사업이 진행되고 일부 긍정적인 효과가 확인됐지만 사회적 합의 문제 등으로 인해 제도적 확산으로 이어지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19 팬데믹과 지속적인 의약품 품절사태를 경험하면서 현재 의약품 사용과 처방 구조 등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몸소 체험할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한약사회가 성분명 처방 도입에 대한 기대 효과 분석, 적용 대상 의약품 선정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