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귀질환 진단 사업결과 의심환자 30% 양성 판정…'조기 발견'

양성판정 환자 80%는 소아청소년…이 중 78%는 본인부담금 경감 혜택도
19일부터 올해 진단지원사업 돌입…대상 질환 1천248개→1천314개

 지난해 희귀질환 진단 지원 사업을 통해 의심 환자 30%가 조기에 양성 판정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이들 가운데 80%가량은 건강보험 지원 덕에 본인 부담이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질병관리청은 이런 내용의 2024년 희귀질환 진단지원 사업 결과를 최근 공개했다.

 희귀질환의 80% 이상은 유전질환으로 조기 진단이 중요하지만, 질환이 다양하고 사례가 희소해 진단을 위해 병원을 전전하는 '진단 방랑'을 경험하고 있다.

 질병청에 따르면 증상 발현일로부터 희귀질환 진단일까지 우리나라는 평균 7.4년, 미국은 7.6년, 유럽은 5∼30년의 기간이 소요된다.

지난해 연령군별 양성 건수

 지난해 질병청 진단사업 결과, 희귀질환 의심 환자 410명이 진단 검사를 지원받아 129명(31.5%)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양성 판정을 받은 환자의 대부분은 소아·청소년(80.6%)이었다.

 검체 채취부터 결과 도출까지 검사 소요 시간은 평균 28일이었다.

 양성 판정을 받은 환자 129명 중 101명(78%)은 건강보험 산정특례 적용 대상으로, 본인 부담금 경감 혜택을 받았다.

 소득과 재산 기준에 따라 희귀질환자 의료비도 지원받았다.

 질병청에 따르면 지난해 진단 지원 사업 만족도 조사 결과, 환자·가족은 만족했다(매우 만족+만족)는 답이 98%에 달했고, 의료진 역시 97%로 만족했다.

 질병청은 19일부터 올해 말까지 2025년도 희귀질환 진단 지원 사업에 나선다.

 진단 지원 대상 질환은 종전 1천248개에서 올해 1천314개로 확대한다.

 대상자도 지난해(410명)의 약 두 배인 800여명으로 늘린다. 이에 따라 사업 예산도 5억원에서 9억원으로 확충했다.

 진단 검사 의뢰 지역·기관도 확대했다.

 기존에는 비수도권(23개) 의료기관이 중심이었다면, 올해는 수도권 일부 지역도 포함해 총 34개 의료기관(비수도권 25개·수도권 9개)을 통해 진단 접근성을 키운다.

 또 유전성 희귀질환이 확인되면 가족 검사(부모·형제 총 3인 내외)를 추가 지원해 보인자(유전 인자는 가지고 있으나 드러나지 않은 사람) 등 고위험군을 선제 관리한다.

 치료비 지원이 더 필요하고, 조기 진단이 필수적인 척수성근위축증(SMA) 의심 환자에게는 선별 검사와 확진 검사도 지원한다. 척수성근위축증은 척수와 뇌간의 운동신경세포 손상으로 근육이 점차 위축되는 신경근육계 유전질환이다.

 희귀질환 진단 지원 사업의 참여 방법은 질병청의 '희귀질환 헬프라인'(helpline.kdca.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앞으로도 진단검사 지원 대상과 범위 등을 늘려 환자와 가족분들이 실질적인 도움을 받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희귀질환자 진단지원 사업 업무 체계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유전자가위 동시에 켜고 끈다…이중모드 크리스퍼 가위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주영 교수와 한국화학연구원 노명현 박사 공동 연구팀은 대장균(박테리아의 일종)에서 원하는 유전자를 동시에 켜고 끌 수 있는 '이중모드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가위'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유전자 가위는 인간·동식물 세포의 특정 염기서열을 찾아내 해당 부위 데옥시리보핵산(DNA)을 절단함으로써 유전체를 교정하는 기술이다. 대표적으로 '크리스퍼 카스9 유전자가위'(CRISPR-Cas9)가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 절단 효소인 카스9(Cas9) 단백질과 교정할 유전자 부위를 찾아주는 '가이드 리보핵산(RNA)'이 결합해 유전체를 편집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다만 '끄기'(억제) 기능에 특화돼 유전자 발현을 막는 데는 뛰어나지만, 유전자를 켜 활성화하는 기능은 제한적이다. 그나마 사람·식물·동물 등 다세포 생물의 기본 단위인 진핵세포에서는 켜는 것이 가능하지만, 박테리아에게서는 유전자 켜기가 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박테리아는 구조가 단순하고 빠르게 증식하면서도 다양한 유용 물질을 생산할 수 있어, 합성생물학(미생물을 살아있는 공장처럼 만들어 의약품과 화학물질 등을 생산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의 기반이 된다. 합성생물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