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체중·비만 아동, 성인기 만성 폐쇄성 폐질환 위험 급증"

덴마크 연구팀 "6~15세 때 비만한 사람, 40세 이후 COPD 위험 40~65% 높아"

 과체중이거나 비만인 어린이는 어른이 된 후 만성 폐쇄성 폐 질환(COPD)에 걸릴 위험이 크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만한 여자 어린이는 성인기 COPD 위험이 정상 체중인 경우보다 65%나 높았다.

 유럽비만연구협회(EASO)는 덴마크 코펜하겐 대학병원 제니퍼 린 베이커 교수팀이 6~15세 어린이 27만여 명의 체질량지수(BMI)와 이들의 40세 이후 COPD 발병 연관성을 추적 분석한 연구에서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5월 11~14일 스페인 말라가에서 열리는 EASO의 유럽 비만 학회(ECO 2025)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만약 급성으로 악화해 입원 치료를 받게 되면 평균 3.3년 뒤 50%가 사망하고, 7.7년 뒤에는 75%가 사망한다는 분석이 있을 정도로 치명적이며, 세계보건기구(WHO) 통계에서 전 세계 사망 원인 4위에 올라와 있다.

 연구팀은 이전 연구에서 성인에서 지방과 비알레르기성 천식, 폐 기능 사이에 연관성이 제시됐지만 COPD와의 연관성은 밝혀지지 않았다며 이 연구에서 어린 시절 BMI 추세와 COPD가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했다고 말했다.

 이들은 1930~1982년 태어난 덴마크 남아 13만9천254명과 여아 13만7천493명이 6~15세에 2~12회 측정한 체중과 키 데이터를 분석, BMI에 따라 평균 이하, 평균, 평균 이상, 과체중, 비만 등 5개 그룹으로 나눴다.

 이어 1977~2022년 국가 의료 등록부에서 이들을 추적해 40세 이후 COPD 진단 여부를 확인하고, 통계 모델을 통해 BMI에 따른 여성과 남성의 COPD 위험비(HR)를 추정했다.

 추적 관찰 기간에 COPD 진단을 받은 사람은 여성이 1만8천227명, 남성은 1만5천789명이었다.

 분석 결과 여성의 경우 비만인 그룹은 BMI가 평균인 그룹에 비해 COPD 위험이 65% 높았고, 과체중인 그룹과 BMI가 평균 이상인 그룹도 COPD 위험이 각각 26%와 10%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비만 그룹의 COPD 위험이 평균 BMI 그룹보다 40% 높은 것으로 분석됐고, 과체중 그룹과 BMI가 평균 이상인 그룹도 각각 COPD 위험이 16%, 7% 높았다.

 하지만 어린 시절 BMI가 평균 이하인 여성 그룹은 평균 BMI 그룹보다 COPD 위험이 9%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BMI가 평균 이하인 그룹과 평균인 그룹 사이에 COPD 위험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연구팀은 "이 연구 결과는 어린 시절 BMI가 평균 이상이거나 과체중, 비만일 경우 성인이 된 다음 COPD 위험이 높아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며 "이는 어렸을 때 과체중·비만이 COPD 발병 위험을 나타내는 지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4개 보훈병원, '포괄 2차 종합병원' 선정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은 보건복지부로부터 '포괄 2차 종합병원' 지원사업 대상 병원에 중앙·부산·광주·대구보훈병원이 공식 지정됐다고 1일 밝혔다. 이 사업은 지역의 필수 의료를 책임지는 종합병원의 기능을 강화하는 것으로, 정부는 필수 의료 기능 강화 지원과 기능 혁신에 대한 성과평가를 통해 성과지원금 등 재정적 지원을 추진할 계획이다. 사업 주요 내용은 ▲ 적정진료 ▲ 진료 효과성 강화 ▲ 지역의료 문제 해결 ▲ 진료 협력 강화의 4대 기능 혁신 추진이다. 이를 통해 지역 주민이 수도권 상급종합병원에 가지 않더라도 안심하고 진료받는 여건을 조성한다. 이번 선정은 보건복지부가 구성한 평가 자문단의 심사를 통해 이뤄졌으며, 4개 보훈병원은 ▲ 급성기병원 의료기관 인증 ▲ 지역응급의료기관 지정 ▲ 350개 이상의 수술 및 시술 항목 보유 등 모든 선정 기준을 충족해 서울, 부산, 광주, 대구 지역의 필수 의료를 담당할 종합병원으로 인정받게 됐다. 각 지역 보훈병원은 이달부터 포괄 진료 역량 강화를 위한 행정·재정적 지원을 받게 된다. 이번 지정을 계기로 지역거점 공공의료기관으로서 필수 의료 제공 기능 강화, 응급의료 및 중증질환 치료를 포함한 예방·재활·만성질환 관리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