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천개 비급여진료 정보 한눈에…건보공단 비급여 정보 포털 개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10일 1천여 개 비급여 진료 항목에 대한 정보를 한곳에서 파악할 수 있는 '비급여 정보 포털'(nhis.or.kr/nbinfo/index.do)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비급여 진료는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아 환자가 비용을 모두 부담한다. 급여항목과 달리 가격이나 진료기준이 정해져 있지 않아 환자의 의료 선택에 있어 정확한 정보 파악이 중요하다.

 이번에 구축된 비급여 정보 포털엔 도수치료, 체외충격파치료, 치과 임플란트 등 1천여 비급여 항목과 관련 질환 91개, 재평가 결과 54개에 대한 정보가 담겼다.

 제공되는 정보는 정부가 2023년부터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비급여 보고제도 등을 통해 수집된 정보로, 매년 보고제도 항목 확대를 통해 포털 제공 정보도 넓혀나갈 계획이다.

 정기석 공단 이사장은 "비급여 진료 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함으로써 국민이 필요한 비급여 진료를 적정 비용으로, 안전하고 합리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 마련…폐암 등 진료지침도 개발
정부가 한의학을 기반으로 지역 내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한의원 등 일차의료를 지원할 근거를 마련한다. 또 폐암 등 5개 질환 한의 표준 임상 진료지침을 개발하고, 한의학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외 대학에 한의약 전공을 개설한다. 보건복지부는 22일 올해 1차 한의약육성발전심의위원회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심의했다. 복지부는 한의약 육성법에 따라 한의약 육성 발전 종합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매년 시행계획을 수립한다. 제4차 종합계획(2021∼2025년)상 마지막인 올해 시행계획에는 건강·복지 증진,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세부과제가 담겼다. 복지부는 올해 시행계획에 따라 지역의 장기요양센터, 주간보호센터 등과 함께 한의학 기반의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또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도 만든다. 복지부는 거동이 불편해 병원에 가기 어려운 환자를 대상으로 일차의료 한의 방문진료 수가(의료서비스 대가) 시범사업을 벌이고 있는데, 이 사업을 점검해 지원 규모 등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작년 12월 현재 시범사업 참여 의료기관은 총 2천639곳이다. 또 첩약 건강보험 적용 2단계 시범사업의 중간 평가, 의·한 협진 5단계 시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