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산병원 33년만에 간이식 9천건 성공…"단일기관 세계최다"

40대 환자에 혈액형 다른 20대 조카 간 일부 '생체 이식'…"10년 생존율 89%"

 

 서울아산병원이 단일 의료기관으로서는 세계 최초로 간 이식 수술 시행 9천건을 달성했다.

 16일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이 병원 장기이식센터는 지난달 30일 수술방 4곳을 열고 11시간에 걸쳐 8천999번째와 9천번째 간 이식 수술을 동시에 진행했다. 두 건 모두 살아있는 사람의 간을 이식하는 '생체 이식'이었다.

 이 중 9천번째 수술은 알코올성 간경화를 앓아 온 윤모(43)씨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이로써 서울아산병원은 1992년 뇌사자 간 이식 수술 이후 32년만 8개월 만에 '간 이식 9천례 실시'를 기록했다.

  이 중 생체 간 이식은 7천502건이며 뇌사자 간 이식은 1천498건이다.

 병원 측은 "생체 이식은 뇌사자 이식에 비해 수술이 까다롭고 합병증 발생 위험도 더 크다"며 "서 울아산병원 간 이식술의 85%는 생체 이식인데 전체 이식의 1년 생존율은 98%, 3년 생존율은 90%, 10년 생존율은 89%로 간 이식 역사가 긴 해외 의료기관과 비교해도 더 우수한 수치"라고 설명했다.

 병원은 단일 의료기관으로서 간 이식 9천 건 달성은 세계 최초라고 밝혔다.

 병원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간 이식 누적 건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알려진 미국 메이요 클리닉은 1985년 이후 1만900건을 달성했다.

 다만 이는 미네소타, 플로리다, 애리조나의 3개 지점 실적을 합친 수치로 개별 기관은 9천건을 넘기지 못했다.

 그 외 미국 피츠버그대 메디컬센터가 1981년 이후 8천건가량의 간 이식술을, 미국 캘리포니아대 샌프란시스코 병원이 1998년 이후 4천건가량을 시행했다.

 서울아산병원은 1998년 간에 새로운 중간 정맥을 만들어 피가 잘 배출되도록 하는 '변형 우엽 간 이식'을 세계 최초로 개발해 생체 이식 성공률을 높이고, 2000년에는 2대1 생체 간 이식을 고안하는 등 이 분야의 지평을 넓혀 왔다.

 이런 노하우를 몽골과 베트남 등에 전수해 해당 국가가 독자적으로 간 이식술을 시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도 했다.

 9천번째 수술을 집도한 이승규 간이식·간담도외과 교수는 "수술실, 중환자실, 병동의 여러 과의 수많은 의료진이 원팀으로 움직인 덕"이라며 "환자 장기 생존과 삶의 질을 보장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올해 첫 비브리오패혈증 발생…"어패류 섭취·바닷물 접촉 주의"
올해 첫 비브리오패혈증 환자가 발생해 방역당국이 고위험군 등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15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70대 A씨가 지난 1일부터 설사, 복통, 소화불량, 다리 부종 등으로 충남 소재 병원에 입원해 치료받다가 10일 비브리오패혈증 진단을 받았다. A씨는 비브리오패혈증 고위험군인 간 질환자라고 질병청은 전했다. 비브리오패혈증은 비브리오패혈균 감염에 의한 급성 패혈증으로, 제3급 법정 감염병이다. 비브리오패혈균은 주로 해수, 갯벌, 어패류 등에 서식하며, 해수 온도가 1도 이상일 때 증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로 오염된 해산물을 날로 먹거나 상처 난 피부가 오염된 바닷물에 닿아 인체에 감염된다. 사람 간 전파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 우리나라에선 통상 매년 5∼6월께 첫 환자가 나와 8∼9월에 많이 발생한다. 지난해엔 49명이 감염돼 21명이 숨지는 등 매년 두 자릿수의 감염자와 사망자가 나온다. 비브리오패혈증에 걸리면 급성 발열, 오한, 혈압 저하, 복통,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증상 시작 후 24시간 이내에 다리 쪽에 발진, 부종, 출혈성 물집 등이 생긴다. 만성 간 질환, 당뇨병, 알코올 의존증 등 기저질환을 가지고 있는 사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