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환자에 면역항암제 효과 있을까' 치료반응 예측 AI모델 개발

암세포 사진 분석해 면역항암제 치료 효과 내는 유전자 변이 파악
연세대 의대 정재호 교수 "면역항암제 치료 효과에 대한 근거 제시"

 환자에 따라 효과가 달라질 수 있는 면역항암제의 치료 반응을 예측 가능한 인공지능(AI) 모델이 나왔다.

 연세대 의대 외과학교실 정재호 교수(연세암병원 위장관외과)는 미국 메이요 클리닉, 밴더빌트대학교 메디컬센터 연구진과 함께 환자의 암세포를 분석해 면역항암제 투여 시 효과를 볼 수 있을지를 사전에 확인하는 AI 모델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기존에는 환자의 MSI-H 보유 여부를 판별하려면 세포 조직을 염색한 뒤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면역조직화학염색 방법 등을 사용했지만, 암세포 내에서 MSI-H가 눈에 잘 띄지 않는 특정 부위에만 있으면 찾아낼 수가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이 개발한 AI 모델은 암세포 사진을 수천 개의 작은 사진으로 잘게 나누고, 이후 모든 사진을 분석해 영역별로 MSI-H가 있을 확률을 계산해서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

 특히 암세포 내 MSI-H가 정확히 어디에 있는지, 얼마나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제시해 의사에게 면역항암제 사용 여부에 대한 객관적인 판단 근거를 제시해준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AI 모델이 스스로 도출한 예측에 대한 신뢰도도 같이 제공한다.

 연구 과정에서 AI 모델로 기존 검사 결과를 뒤집은 사례도 나왔다.

 연구팀이 AI 모델의 임상적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는 시험에 참가한 위암 및 대장암 환자 일부는 기존 검사법에선 면역항암제 사용이 무의미하다고 판정받았지만, AI 모델에서는 MSI-H가 발견돼 면역항암제 치료를 받게 됐다. 해당 환자들에게서 면역항암제가 치료 효과를 낸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정 교수는 "환자의 암세포를 얼마나 정확하게 분석하느냐에 따라 치료법이 달라질 수 있다"며 "이번에 개발한 AI 모델은 면역항암제의 치료 효과에 대한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의사의 처방을 도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npj 디지털 메디신'(npj digital medicine) 최신호에 게재됐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오랜만에 만난 부모님 '이 증상' 보인다면…"서둘러 병원 방문"
명절에 오랜만에 만난 부모님이 평소와 다르게 이상 증세를 보인다면 가벼운 것이라도 놓치지 말고 병원에 방문해 보는 것이 좋다. 갑자기 표정이 어색해지거나 말이 어눌해지는 경우, 기침이나 다리 부종 같은 흔한 증상도 심각한 질환의 신호가 될 수 있다. 골든타임이 특히 중요한 질환으로는 뇌혈관질환이 있다.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뇌졸중은 뇌의 일부분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뇌 조직이 손상되는 질환이다. 혈관이 막혀 뇌가 손상되면 뇌경색이고 결국 혈관이 터지면 뇌출혈이다. 둘을 합쳐서 뇌졸중이라고 한다. 뇌졸중은 55세 이후로 발병률이 높아지는데, 연령이 10세 증가할 때마다 뇌졸중 발생률은 약 2배씩 늘어난다. 고령자일수록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이유다. 또한 급성 뇌경색의 경우 발병 직후 최대 3시간 안에 막힌 혈관을 뚫어 줘야 뇌 손상률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고령자의 뇌졸중 증상을 미리 식별해 조기에 치료를 받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김범준 교수는 "대한뇌졸중학회에서는 국민들이 뇌졸중 의심 증상을 조기에 감별할 수 있도록 '이웃손발시선'이라는 식별법을 개발해 홍보하고 있다"며 이를 소개했다. 이웃손발시선 식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