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주말 늦잠 적정 시간은…"2시간 이내가 정신건강에 도움"

美 연구팀 "주말 보충 수면 너무 적거나 많아도 불안 등 증상 증가"

 평소 잠이 부족한 청소년들은 주말 늦잠으로 이를 보충하는 경우가 많다.

 주말에는 평일보다 얼마나 더 자는 게 좋을까? 주말 보충 수면(catch-up sleep) 시간은 2시간 이내가 적당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유진 오리건대 김소정 연구원(박사과정)은 12일 일리노이주 데리언에서 열린 미국수면의학회(AASM) 연례 회의(SLEEP 2025)에서 청소년 1천800여명을 대상으로 수면 시간과 불안 등 내면화 증상을 관찰한 연구에서 이런 연관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김 연구원은 주말에 평일보다 최대 2시간 더 잠을 잔 10대들이 주말에 더 오래 자지 않는 경우보다 불안, 우울 등 내면화 증상이 더 적었고, 주말 보충 수면 시간이 2시간을 넘으면 내면화 증상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미국수면의학회는 13~18세 청소년들에게 최적의 건강을 위해 규칙적으로 8~10시간 잠을 잘 것을 권고하고 있으나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데이터에 따르면 평일에 충분한 수면을 취하는 청소년은 23%에 불과하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청소년 1천877명(평균 나이 13.5세)을 대상으로 스마트워치 핏비트(Fitbit)로 평일과 주말 수면 시간을 측정하고, 아동·청소년의 정서·행동 문제를 평가하는 아동 행동평가척도(CBL)를 이용해 내면화 증상을 평가했다.

 참가자들을 평일과 주말에 수면 시간 차이가 없는 그룹과 주말 보충 수면 시간이 0~2시간인 그룹, 보충 수면이 2시간이 넘는 그룹으로 나눠 비교했다.

 그 결과 보충 수면 시간이 0~2시간인 경우 보충 수면이 없는 그룹과 비교해 불안·우울 등 내면화 증상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보충 수면 시간이 2시간 이상이면 수면 시간이 길어질수록 내면화 증상도 소폭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김 연구원은 "이 결과는 주말에 평일보다 덜 자거나 상당히 오래 더 자는 것 모두 더 높은 불안 증상과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며 "반면에 2시간 미만의 주말 보충 수면은 불안 증상 감소와 관련이 있어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주중에 수면이 제한되는 10대들에게 도움이 되는 주말 보충 수면량을 규명하는 게 중요하다"며 "평일과 주말 간 수면 시간 변동이 너무 적거나 너무 많으면 피로감이나 신체적 또는 정신적 증상 해소에 오히려 방해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 출처 : SLEEP 2025, Sojeong Kim et al.. '0263 The Sweet Spot of Weekend Catch-Up Sleep: A Protective Factor Against Depressive Symptoms?',https://doi.org/10.1093/sleep/zsaf090.0263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전국 혈액원·적십자병원 노조 오는 24일 18년만에 파업 예고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 대한적십자사 본부지부가 18년 만에 파업 투쟁을 예고했다. 적십자 노조는 1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올해 임금협상 결렬 후 진행한 쟁의행위 찬반투표에서 85%가 파업에 찬성했다며, 24일 보건의료노조 산별 총파업에 맞춰 26개 사업장에서 동시 파업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적십자사는 전국에 15개 혈액원과 7개 적십자병원 등을 운영 중으로, 노조가 파업에 참여하면 2007년 산별 총파업 동참 이후 18년 만이 된다. 5월부터 사측과 임금·단체협약 협상을 진행해온 적십자 노조는 ▲ 총액 인건비제도 폐지 ▲ 혈액사업장 노동조건 개선 ▲ 적십자병원 경영 정상화 등을 요구하고 있다. 노조는 "혈액사업장 노동자들은 환자의 생명을 지키기 위한 혈액 공급을 한시도 멈출 수 없어 하루 10시간 이상, 밤 11시를 넘겨야 마치는 장시간 노동을 감내해야 한다"며 "헌혈의 집 또한 연간 350일 이상, 평일 20시까지 의무 운영되면서 직원들의 저녁과 주말이 모두 사라졌다"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올해 사측은 임금 인상이 불가능하다는 주장만 되풀이하고 있다"며 "낡은 공공기관 총액 인건비제도 탓에 공무원 임금 인상률조차 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술 때문에 생기는 간 손상 원리, 분자 수준서 처음 밝혔다
국내 연구진이 음주로 인해 간염이 유발되는 원리를 최초로 분자 수준에서 밝혀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의과학대학원 정원일 교수와 서울대 보라매병원 김원 교수 공동 연구팀은 술을 마셔서 생기는 간 손상과 알코올성 지방간염(ASH)의 발생 구조를 분자 수준에서 규명했다고 18일 밝혔다. 연구팀은 과도한 음주 시 간의 말초정맥 주변 간세포에서 '소포성 글루탐산(아미노산의 일종) 수송체'의 발현이 증가하면서 글루탐산이 간세포 내 소포에 축적됨을 확인했다. 글루탐산은 신체 조직에서 세포 간 신호전달, 단백질 합성, 에너지 대사 등에 관여한다. 지나치게 많으면 신경세포가 과흥분돼 세포의 손상과 사멸을 일으킬 수 있는데, 연구팀은 폭음으로 알코올 유입이 계속되면 간세포 내 칼슘 농도 변화에 따라 글루탐산이 급격히 분비되는 것을 확인했다. 이때 분비된 글루탐산은 간에 있는 대식세포(면역세포)인 '쿠퍼세포'의 글루탐산 수용체를 자극해 활성산소 생성을 유도하고, 이는 곧 간세포 사멸과 염증 반응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형성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기존 연구를 통해 장에서 유래한 독소가 쿠퍼세포를 자극해 염증 반응을 유도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으나, 간세포가 직접적으로 쿠퍼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