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돌봄[연합]](http://www.hmj2k.com/data/photos/20250730/art_17535676463549_5c2ccb.jpg?iqs=0.11874655628217978)
노인 인구 증가로 의료와 돌봄 수요도 빠르게 늘면서 2072년에는 건강보험 보험료율이 지금의 3.5배, 노인장기요양보험 보험료율은 15배까지 가파르게 상승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서울대 산학협력단은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가 발주한 '초고령사회 대응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보고서에서 인구 구조 변화에 따른 건강보험 진료비 등을 추계해 이 같은 전망을 내놨다.

구체적으로 현재 7.09%인 건보료율은 고령인구 비중이 30%를 넘어서는 2035년엔 10.04%, 고령인구가 40%를 넘어서는 2050년에는 15.81%로 상승하고, 2072년에는 25.09%로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늘어나는 진료비를 감당하기 위해선 2028년 이후 현재 건보료율 법정 상한(8%) 이상으로 인상해야 하며, 2072년엔 월 소득의 4분의 1(직장인은 회사가 절반 부담)을 건보료로 내야 한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급격한 고령화에 따른 의료 가격 상승과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저성장 지속으로 인한 임금 상승률 하락 가능성까지 고려하면 이 같은 전망도 "실제 보험료율을 과소 추정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본인 부담금을 제외하고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부담하는 요양급여비도 2023년 83조원에서 2035년 167조원, 2050년엔 352조원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의료뿐 아니라 돌봄 수요도 늘면서 노인장기요양보험 보험료 부담은 더 급격하게 늘어난다.
현재 장기요양보험료율은 건보료율(7.09%)의 12.95%, 즉 월소득의 0.91% 수준인데 이것이 2035년엔 1.95%, 2050년 5.84%, 2072년 13.97%로 빠르게 상승할 것으로 추정된다.
건강보험보다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 고령화 영향이 더 큰 것은 고령인구 증가로 장기요양 등급자 수가 빠르게 늘기 때문이라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2023년 장기요양 등급자 수는 65세 이상 인구 대비 7.14% 수준인 100만 명인데, 2035년엔 171만명(8.8%), 2050년 304만 명(13.7%), 2072년 326만 명(16.4%)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결국 눈덩이처럼 불어날 의료·돌봄 수요에 맞춰 건강보험 재정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다.
연구진은 "건강보험과 장기요양보험의 지속가능성이 확보되지 못하면 사회보장제도의 역할이 취약해지면서 초고령사회 노인의 삶의 질 저하로 이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지출 효율화를 위한 제도 개선, 노인연령 기준 상향, 돌봄서비스 공급 확대, 돌봄 관련 인력 확충과 기술 혁신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