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장질환용제 '고덱스', 약가 인하 딛고 3년 만에 처방액 최고

상반기 407억9천만원 기록…간 기능 개선제 10년 연속 1위

 올 상반기 셀트리온제약의 주력 제품인 간장질환용제 '고덱스' 처방액이 3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7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고덱스의 상반기 처방액은 유비스트 기준 407억9천만원으로 작년 동기 355억5천만원보다 14.7%(52억4천만원) 급증했다.

 고덱스 처방액은 2022년 상반기 416억5천만원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같은 해 하반기에는 두차례 약가 인하 여파로 408억6천만원으로 줄었고 작년 상반기 350억원대까지 떨어졌다.

 2022년 371원이던 고덱스 약가가 같은 해 9월 356원, 11월 312원으로 총 15.9% 인하된 점을 고려하면 상반기 처방량이 2022년 상반기 수준을 웃돈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작년 CSO(영업대행업체) 계약 종료 이후 종근당과 고덱스·딜라트렌 코프로모션 계약을 체결하고 맞트레이드 형식으로 공동 판매한 점이 시너지 효과를 나타낸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고덱스는 오로트산카르니틴(Carnitine orotate)이 주성분으로 이루어진 간 기능 보조제로, 간세포 손상의 간접 지표인 트렌스아미나제(SGPT)가 상승한 간 질환 환자에게 주로 처방된다.

 오로트산카르니틴은 간 내 미트콘드리아 기능을 개선하고 지방, 당대사에 관여해 간질환 환자의 지방간 예방, 인슐린 저항성 개선 등 도움을 줄 수 있다.

 고덱스는 처방 증가 덕에 작년 한 해 30.44%이던 간장질환용제 시장 내 점유율이 올 상반기 31.18%로 높아졌다.

 고덱스는 2016년 점유율 28%를 기록하며 대웅제약 우루사를 제치고 점유율 1위로 올라선 이후 10년째 1위를 유지하고 있다.

 상반기 우루사 처방액은 330억1천만원으로 작년 반기 평균(316억2천만원)보다 늘었고 점유율은 25%대를 유지했다.

 다만 우루사의 경우 일반 약 매출을 포함하면 올해 1천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고덱스가 약가 인하 이전 수준을 회복한 만큼 당분간 고덱스, 우루사 2강 체제가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질병청, 먹는 코로나 치료제 약국 재고 점검…"개선 모색"
코로나19 먹는 치료제 중 하나인 '팍스로비드' 수급이 원활하지 않다는 지적이 제기되자 질병관리청이 관계기관 간 협의를 통해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질병청은 임숙영 차장이 6일 서울시 소재 조제약국과 호흡기 클리닉을 방문해 현장 운영 실태를 점검하고 현장 의견을 들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팍스로비드는 코로나19 중증 환자 또는 중증으로 진행될 위험이 높은 경증 환자에게 처방되는 먹는 치료제다. 질병청이 제약사로부터 구매해 약국 등에 공급하다가 지난 6월부터 약국 및 의료기관이 제약사로부터 구매해 사용하는 시중 유통체제로 전면 전환됐다. 환자 본인 부담금은 한 팩(30정)에 4만7천원 수준으로 크지 않지만, 건강보험공단이 부담하는 비용까지 합산하면 약값이 100만원에 육박하는 고가의 약이다. 현행 체제에선 약국이 먼저 제약사에 약값을 지불한 뒤 재고로 보유하고 있다가 실제로 약이 판매되면 환자와 공단에 약값을 청구해서 받아야 한다. 약이 팔리지 않으면 제약사에 반품할 수 있기는 하지만 워낙 약값이 비싼 탓에 애초에 물량을 많이 구비해두는 약국이 적은 것으로 질병청은 보고 있다. 이 경우 환자가 조금만 늘어도 금방 재고가 동날 수 있다. 이에 대한의사협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