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실 [연합]](http://www.hmj2k.com/data/photos/20250832/art_17545613982552_ddde26.jpg?iqs=0.6172458454415629)
의료계는 정부가 7일 사직 전공의 복귀 문을 열어준 것에 환영 입장을 밝히면서도 초과 정원 인정 등에 따른 수련병원들의 부담과 혼란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공의 복귀가 피부과, 성형외과, 안과 등 이른바 '비필수 인기과' 위주로 이뤄져 쏠림이 심화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왔다.
정부는 지난해 사직한 전공의들이 원래 근무하던 병원에 복귀할 경우 병원에서 자율적으로 정원을 결정하되 초과 정원이 발생하면 인정해주기로 방침을 정했다.
미필 전공의들이 복귀하면 최대한 수련 후에 입영할 수 있도록 배려해주고, 수련 중 입영하는 전공의에 대해선 원 병원 복귀를 보장해주기로 했다.
사직 전공의들의 자리를 최대한 보전해주기로 한 것인데, 경우에 따라 수련병원들이 필요한 인원보다 더 많은 인원을 뽑을 수도 있기 때문에 의료계에선 이에 따른 운영상의 혼란이나 인건비 부담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요구도 나왔다.
서울 시내 한 수련병원장 A씨는 "가르치던 제자들이니 다 받기야 하겠지만 전공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진료지원(PA) 간호사도 많이 늘린 상황에서 정원을 초과해서까지 전공의들을 모두 받는 게 아주 반갑지만은 않은 게 솔직한 심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상반기에 소수 전공의들이 복귀한 이후에도 현장에서 불협화음이 이미 나오고 있다"며 "늘어날 인건비도 부담이다.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울시의사회는 이날 성명을 내고 "복지부는 정원만 허용하고 채용은 수련병원이 결정하라는 식으로 병원과 학회, 전공의 개인에게 부담을 전가하고 있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김성근 의협 대변인은 이번 결정에 대해 "각 수련병원에 대한 지원책이 명시되지 못한 점은 아쉽지만, 다음 단계에서 잘 논의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번 하반기 모집을 통해 전공의들의 인기과나 수도권 쏠림이 더 심화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이미 지난해와 올해 상반기 수련을 새로 시작한 전공의나 중도 복귀한 사직 전공의들이 수도권, 비필수과에 상대적으로 더 많이 간 상황이다.
사직 전공의 B씨는 "지역, 필수과 전공의들일수록 상대적으로 복귀하지 않겠다는 강경한 분위기'라고 전했다.
병원장 A씨는 "초과 정원이 필요한 과는 피부과 등 인기과 위주일 것"이라며 "필수과 전공의들 상당수는 이미 수련을 그만둔 것 같다. 교수가 전화해도 안 받는 사람이 많다고 들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