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주요 신문 톱뉴스](27일 조간)

▲ 경향신문 = 이 대통령, '김정은·조선업' 엮어 트럼프와 신뢰 구축

▲ 국민일보 = 트럼프 움직인 실용외교… 안보·통상 안정화 첫걸음

▲ 서울신문 = 李 "안미경중 못 한다"… 미국 우선 외교

▲ 세계일보 = 트럼프 "김정은 만나고 싶다" 李 "APEC서 추진"

▲ 아시아투데이 = '피스메이커' 띄운 李 대화전략 통했다

▲ 일간투데이 = 휴간

▲ 조선일보 = '한미동맹 시험대' 첫 허들은 넘었다

▲ 중앙일보 = 북·미회담 띄우자 트럼프 받았다

▲ 한겨레 = 트럼프 띄운 이 대통령, '민감한 청구서' 늦췄다

▲ 한국일보 = 북미대화 띄워 '한반도 평화' 불씨 살렸다

▲ 글로벌이코노믹 = 삼성·SK·엔비디아 반도체동맹 성사 '촉각'

▲ 대한경제 = 李·트럼프 "산업·통상·안보 新동맹 시대 열자"

▲ 디지털타임스 = 한미 '제조업 르네상스' 신호탄 쐈다

▲ 매일경제 = 경제도 美우선 … 脫 안미경중

▲ 브릿지경제 = 노란봉투법 쇼크… 37조 M&A 올스톱 우려

▲ 서울경제 = "한미는 최적 파트너"…新제조동맹 닻 올렸다

▲ 아시아타임즈 = '韓 실용외교' 안보 넘어 경제동맹 확장

▲ 아주경제 = 李대통령 "김정은 만나달라"… 트럼프 "올해 기대"

▲ 에너지경제 = 재계, '통 큰 투자'로 경제외교 힘 보탰다

▲ 이데일리 = 李 "안미경중 이젠 끝…한미, 함께 경제 르네상스"

▲ 이투데이 = 'MASGA' 띄운 韓·美… 제조업 동맹 새 장 열었다

▲ 전자신문 = 李, 안보·통상 새 이정표 세웠다 트럼프 "완전한 美 지원 받을 것"

▲ 파이낸셜뉴스 = 李 "한미 제조업 르네상스"… 1500억弗 대미 투자

▲ 한국경제 = 李 "안미경중, 더는 할 수 없다 … 국방비 늘릴 것"

▲ 전국매일신문 = 李대통령, 對美 실용외교 시험대 '통과' … "성공적 회담"

▲ 경기신문 = SNS로 불붙은 불신, 백악관 회담서 오해 풀고 신뢰 다져

▲ 경기일보 = 한미 정상회담 경기북부 '웃고' 수출기업 '울고'

▲ 경인일보 = 李 대통령 "한미 방위태세 철통같이 유지"

▲ 기호일보 = 韓 국방비 증액 공식 선언… 한미동맹 현대화에 초점

▲ 신아일보 = 마주앉은 한미 정상… '피스메이커' 전략 통했다

▲ 인천일보 = 제3연륙교 통행료, 인천시민 순차적 무료화

▲ 일간경기 = 제3연륙교, 인천시민 통행료 무료화

▲ 중부일보 = '피스메이커 전략' 통했다

▲ 현대일보 = 제3연륙교 통행료 2천원…"인천시민 내년 3월부터 무료"

▲ 강원도민일보 = 한반도 새길 '트럼프 피스메이커' 띄웠다

▲ 강원일보 = 李-트럼프 '어게인 2018' 신호탄

▲ 경남도민신문 = 한국조선 경제협력 열쇄…마스가 본격 가동

▲ 경남도민일보 = 한·미 제조업 동맹 강화, 경남 경제에도 훈풍

▲ 경남매일 = 한미 조선·방산·원전 협력, 경남 제조업 르네상스

▲ 경남신문 = 욕지도 해상풍력 어민 찬반 엇갈려

▲ 경남일보 = 서부경남 중환자 최고 시설 혜택 받나

▲ 경북매일 = 경주서 '남·북·미 정상회담' 성사될까

▲ 경북신문 = 한미정상, 김정은 초청 논의…APEC서 남북미 3자회담 '꿈틀'

▲ 경북일보 = 경주 APEC, '세계평화의 장' 기대감 커진다

▲ 경상일보 = "사연댐 수문 설치 앞당긴다"

▲ 국제신문 = BIFF 서른살 잔치 영화계 ★들 온다

▲ 대경일보 = 트럼프 "경주 APEC 갈 수 있다" … 판문점 만남 재현되나

▲ 대구신문 = 트럼프 "곧 방한"…경주 APEC 참석 힘 실어

▲ 대구일보 = 북핵·동맹·경제 협력 한미관계 새 길 열었다

▲ 매일신문 = 李 "경주서 김정은 만나자" 트럼프 "슬기로운 제안"

▲ 부산일보 = "북미 대화 재개" 뜻 모은 한미 정상

▲ 영남일보 = 트럼프, 경주APEC 온다… "올해 김정은 만나고 싶어"

▲ 울산매일 = 김성환 환경부 장관 "올해 안에 운문댐 물 공급안 결정"

▲ 울산신문 = 울산 하늘에 전국 최초 UAM 띄운다

▲ 울산제일일보 = "사연댐 수문 설치 최대한 앞당기겠다"

▲ 광남일보 = 이재명-트럼프, 한반도 평화 '공감'…조선·제조업 '협력'

▲ 광주매일신문 = '국익·실용외교' 李대통령, 첫 韓美정상회담 '성공적'

▲ 광주일보 = 이 대통령 "김정은 만나달라" 트럼프 "올해 만나고 싶다"

▲ 남도일보 = 총체적 로드맵 없이 장밋빛 청사진만 남발

▲ 전남매일 = 이 대통령 "김정은 만나달라" …트럼프 "올해 만나고 싶다"

▲ 전라일보 = 전북 학생 수 급감 연쇄 폐교 불가피

▲ 전북도민일보 = 전북특별법 개정안 '다시 국회의 시간'

▲ 전북일보 = '이전기관 정착' 상설기구 제도화 절실

▲ 금강일보 = 대전지하철 '토큰형 승차권' 19년 만에 역사 뒤안길로

▲ 대전일보 = 2차 소비쿠폰 배포 시한 째깍 지자체 재원 확보 방안 골머리

▲ 동양일보 = 국힘 새 대표 충남 보령 출신 장동혁 선출

▲ 중도일보 = 헌정사 첫 與野 충청대표 시대… 지역현안 탄력받나

▲ 중부매일 = 실용외교 첫 무대 성공적 … '진짜 청구서'는 남았다

▲ 충남일보 = 경제성장에도 '낡은 기준' 고수… 사업 추진 걸핏하면 스톱

▲ 충북일보 = 충북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 연루자 전원 피의자 신분 전환

▲ 충청매일 = 김영환 지사, 피의자 신분 전환

▲ 충청신문 = 충청 당대표 시대 개막…與 정청래 이어 野 장동혁 선출

▲ 충청일보 = 충청 출신 여야 당대표 '기대반 우려반'

▲ 충청타임즈 = 경리직원 "회삿돈 500만원 인출해 윤 회장 줬다"

▲ 삼다일보 = 이번엔 음료 컵·캔 '테러 수준' 투기

▲ 제민일보 = UAM 국비지원 상용화 성큼 해외 기체인증·안전성 관건

▲ 제주매일 = 내년 제주형 기초자치단체 설치 물 건너가나 '후폭풍'

▲ 제주일보 = 제주지역 금융시장 차갑다

▲ 한라일보 = 상수원보호구역 대거 해제 검토 '논란'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지역의료 최후 보루 국립대병원 존립위기…'수술'없인 미래 없다
지역 필수의료의 붕괴가 현실화하는 가운데 '최후의 보루'로 여겨지는 국립대학병원이 인력 유출, 시설 노후화, 환자 감소의 삼중고에 시달리며 존립 자체를 위협받고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최근 보건복지부의 의뢰로 수행한 '국립대학병원 혁신방안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국립대병원의 현실은 암담하다. 가장 시급한 문제는 의료 인력의 붕괴다. 지방 국립대병원의 병상당 의사 수는 0.36명으로, 서울 '빅5' 병원의 0.60명과 비교하면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의사 한 명이 감당해야 할 환자 수가 훨씬 많다는 의미다. 낮은 급여와 열악한 근무 환경은 의료진의 이탈을 부추기고 있으며, 특히 간호 인력은 2년 내 퇴사율이 50%를 훌쩍 넘어 숙련된 인력을 확보하는 것조차 버거운 실정이다. 낡은 시설과 장비는 환자들의 발길을 돌리게 만드는 또 다른 핵심 원인이다. 유방암 진단의 기본 장비인 맘모그래피의 경우 국립대병원의 장비 노후화율은 37.1%에 달하지만, 빅5 병원은 4.3%에 그쳤다. 최신 의료 서비스를 기대하기 어려운 환경은 환자들의 수도권 '원정 진료'를 가속화하고, 이는 다시 병원의 수입 감소와 임상 경험 축소로 이어져 의료의 질을 떨어뜨리는 악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화학물질·미세먼지에서 살아남기
◇ 미세플라스틱의 습격 지난 2018년 8월부터 커피전문점 매장 내에서 일회용 컵 사용을 금지하고 이를 어기면 과태료를 부과하는 정부 정책이 시행됐다. 조금 불편해지기는 했지만, 필자는 굉장히 잘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이 정책을 통해 차가운 음료의 테이크아웃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사용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환경문제에서 뜨거운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것이 미세플라스틱이다. 미세플라스틱은 말 그대로 아주 작은, 미세한 플라스틱을 말한다. 미세함의 기준에 대해서는 공통된 정의가 없으나 대개는 직경 5밀리미터 이하로 규정한다. 미세플라스틱이 어느 날 갑자기 나타난 것은 아니다. 지금 우리 주변에도 무수히 많은 미세플라스틱이 있다.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하는 치약, 세정제, 화장품 등 각종 제품 속에 이미 상당량의 미세플라스틱이 들어 있다. 그러면 미세플라스틱이 왜 갑자기 주목받게 된 것일까? 그것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바다로 흘러 들어간 미세플라스틱이 해양 생태계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속속 드러나고 있기 때문이다. 독자 여러분 중에서도 미세플라스틱의 위험성을 다룬 다큐멘터리나 바지락, 굴 등 조개류 섭취를 통해 한 사람이 매년 212개의 미세플라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