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일반의 개원 줄이어…83%가 "피부과 진료하겠다"

1∼7월 일반의 개설 의원 176곳…작년보다 36% 늘어
70%가 수도권 집중…"필수의료 공백 해소 대책 필요"

 일반의들의 개원이 계속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올해 동네의원을 개설한 일반의들의 83%는 '피부과'를 진료과목으로 신고한 것으로 집계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전진숙 의원실이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들어 7월까지 일반의가 신규 개설한 의원급 의료기관은 모두 176곳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129곳)보다 36.4% 늘었다.

 일반의 개원은 지난해 2월 의정 갈등이 불거진 후 증가하는 추세다.

 일반의 개설 의원은 2022년 193곳, 2023년 178곳에서 지난해 285곳으로 크게 늘었다.

 지난해 의대 증원에 반발해 사직한 전공의 중의 일부가 수련을 포기한 채 일반의로 개원했을 것이라는 추정이 나온다.

 올해 하반기 전공의 모집을 통해 전공의 상당수가 복귀하면서 전공의 수가 사직 사태 전의 76.2% 수준을 회복했지만, 복귀하지 않은 전공의 중 일부는 개원가에 남아있을 가능성도 있다.

[전진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제공]

 전문과목이 없는 일반의의 경우 의원을 개설할 때 확보하고 있는 시설, 장비 등에 따라 진료과목을 신고한다. 신고하는 진료과목의 개수 제한은 없다.

 올해 일반의 개원 의원 176곳은 1곳당 2.4개씩 총 421과목을 신고했는데, 이 가운데 피부과 신고가 146건으로 가장 많았다.

 전체 176곳의 83%가 진료과목에 피부과를 포함시킨 셈이다.

 이어 성형외과 49건, 가정의학과 42건, 내과 33건, 정형외과 30건 등의 순이었다.

 이번 전공의 복귀도 피부과, 성형외과 등 소위 '인기과'에서 더 활발히 이뤄진 가운데 일반의 개원도 피부과 쏠림이 이어진 것이다.

 미용 시술 등 비급여 항목이 많은 피부과는 상대적으로 고수익이 가능한 데다 사법 리스크 등도 적어 일반의뿐 아니라 타과 전문의도 자신의 전공을 표시한 전문의원 대신 일반의원을 개설해 피부과 진료를 보는 경우도 늘고 있다.

 한편 올해 일반의가 개설한 의원 10곳 중 7곳은 수도권에 몰려 있다.

 서울 72곳(40.9%), 경기 39곳(22.2%), 인천에 12곳(6.8%)이 문을 열었다.

 특히 서울 강남구(28곳)와 서초구(10곳)에 전체의 21.6%가 몰렸다.

 전진숙 의원은 "전공의 복귀가 인기과목에 집중되는 등 양극화가 심화하고 있는데 신규 개설된 일반의 의원도 인기과목 쏠림이 나타나고 있다"며 "필수의료 공백이 없도록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대웅제약 펙수클루, 중국 품목허가 획득…내년 하반기 발매
대웅제약은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펙수클루'(성분명 펙수프라잔)가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으로부터 품목 허가를 받았다고 6일 밝혔다. 적응증은 역류성식도염의 치료다. 펙수클루는 대웅제약이 2022년 출시한 P-CAB(칼륨 경쟁적 위산분비 억제제) 계열의 3세대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IMS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의 항궤양제 시장 규모는 지난해 기준 약 3조원으로 세계 최대 수준이고, 최근 서구화된 식습관의 변화 등으로 위식도역류질환 환자가 빠르게 늘고 있다고 회사는 밝혔다. 대웅제약은 내년 하반기 펙수클루를 발매해 중국 현지의 특성과 수요를 반영한 진출 전략을 펼쳐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펙수클루는 지난해 기준 출시 3년 만에 국내외에서 연매출 1천억원을 넘어섰다. 현재 인도와 멕시코, 칠레, 에콰도르, 필리핀 등 6개국에 출시됐다. 현재 총 30여개국에 진출했으며, 2027년까지 100개국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회사는 밝혔다. 박성수 대웅제약 대표는 "이번 중국 품목 허가는 펙수클루가 글로벌 블록버스터 의약품으로 도약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세계 최대 항궤양제 시장인 중국에서 펙수클루가 환자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