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한국 '3천500억 달러 선불' 합의" 또 거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5일(현지시간) 한국이 미국과의 무역합의의 일환으로 대미 투자금 3천500억 달러(약 500조원)를 선불(up front) 지급하기로 했다고 거듭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연 기자회견에서 관세의 성과를 열거하면서 "일본과 한국 모두 서명했다. 한국은 3천500억 달러를 선불로, 일본은 6천500억 달러에 합의했다"고 말했다. 한국은 7월말 큰 틀에서 미국과 무역합의를 도출했으나 3천500억 달러의 대미 투자금 집행 방식 등을 둘러싼 이견 속에 아직 최종 서명은 하지 않은 단계다.
정부가 파견한 합동 대응팀이 최근 한국인을 대상으로 벌어진 납치와 감금 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캄보디아에 15일(현지시간) 도착했다. 김진아 외교부 2차관이 단장으로 이끄는 대응팀은 이날 오후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에서 남쪽으로 20㎞가량 떨어진 테초 국제공항으로 입국했다. 박성주 국가수사본부장을 비롯해 경찰청, 법무부, 국가정보원 등 관련 부처 관계자들도 함께 도착했다.
전문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251016002300104
■ 동남아 범죄단지 지배하는 中조직…납치·사기 배후에 '삼합회'
한국인 대상 범죄로 온라인 사기조직의 잔혹 행위가 드러나면서 캄보디아 '범죄단지'를 실질적으로 지배하는 것으로 알려진 중국계 조직에 관심이 쏠린다. 캄보디아 등 동남아시아 내 온라인 사기 범죄 대부분은 중국계 폭력조직과 연계돼 있으며, 삼합회(三合會)가 그 핵심으로 꼽힌다. 16일 유엔마약범죄사무소(UNODC), 미국 재무부, 미얀마 이라와디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삼합회는 캄보디아와 미얀마 등 동남아에서 벌어지는 납치, 인신매매, 감금, 고문, 사기 등에 깊숙이 관여하고 있다.
전문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251015155900009
■ 이스라엘 외무 "하마스 무장해제돼야…합의 2단계 이행에 협력"
기드온 사르 이스라엘 외무장관은 15일(현지시간)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를 향해 무장해제와 사망한 인질 시신 인도 등 휴전 합의 사항을 이행하라고 촉구했다. 사르 장관은 이날 연합뉴스 전화 인터뷰에서 "어제(14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하마스가 무장을 해제해야 한다고 분명히 했으며, 이 합의가 상호주의적이며 조건부라는 것도 분명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지난 10일 휴전이 발효된 이후 하마스가 억류 중인 이스라엘 인질 시신 28구 중 이날 오후까지 8구만 송환한 것을 두고 "그들이 시신 반환과 관련해 합의를 위반하고 있다는 사실이 명백하다"라고 지적했다.
전문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251015166800108
■ '세기의 이혼' 최태원-노소영 오늘 대법 선고…재산분할 결론은
최태원(65) SK그룹 회장과 노소영(64) 아트센터 나비 관장의 '세기의 이혼' 소송에 대한 대법원 최종 결론이 16일 나온다. 대법원 1부(주심 서경환 대법관)는 이날 오전 10시 최 회장과 노 관장 간 이혼소송 상고심 선고기일을 연다. 2심 판단의 문제점을 들어 파기하고 돌려보낼지, 항소심 결론이 인정될지가 초미의 관심사다. 최 회장이 2017년 7월 이혼 조정을 신청한 지 8년 3개월 만이자, 지난해 5월 2심이 "최 회장이 노 관장에게 위자료 20억원, 재산분할로 1조3천808억원을 지급하라"고 판결한 지 1년 5개월 만이다.
전문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251015179600004
■ 李정부 첫 국감 나흘째…'尹정부 감사·R&D예산 삭감' 충돌 전망
국회는 16일 이재명 정부 첫 국정감사 나흘째 일정에 돌입한다. 이날은 ▲ 법제사법 ▲ 정무 ▲ 기획재정 ▲ 교육 ▲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 ▲ 외교통일 ▲ 국방 ▲ 문화체육관광 ▲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 ▲ 국토교통 등 10개 상임위원회에서 국감이 진행된다. 여야는 이 가운데 법사위와 과방위에서 또다시 격돌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문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251015171900001
■ 백악관 "셧다운에 공무원 해고 만명 넘을듯"…법원은 제동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연방정부 셧다운(일시적 업무 정지)을 계기로 공무원 해고 조치에 나선 가운데, 러셀 보트 백악관 예산관리국장은 그 규모가 1만명이 넘을 것이라고 15일(현지시간) 말했다. 보트 국장은 이날 백악관에서 촬영된 '찰리 커크쇼'에 출연, "우리는 단순히 자금만이 아니라 관료 조직 자체를 닫을 수 있는 곳에서 매우 공격적으로 나가길 원한다"고 말했다고 AP와 블룸버그 통신 등은 보도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우선순위에 맞지 않는 부처에 대해 예산 삭감·집행 중단뿐 아니라 대규모 인력 감축과 조직 폐쇄도 단행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힌 것이다.
전문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251016005151071
■ 뉴욕증시, 뒤엉킨 재료에 극도의 변동성…혼조 마감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극도의 변동성을 보인 끝에 혼조로 마감했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 긴장이 여전히 누그러지지 않은 가운데 은행의 강력한 실적과 금리인하 기대감이 뒤엉키면서 혼란스러운 모습을 연출했다. 15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7.15포인트(0.04%) 밀린 46,253.31에 거래를 마감했다.
전문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251016008100009
■ "5년간 의식주 물가 연평균 4.6%↑…소비자물가보다 상승 빨라"
최근 5년간 의식주 물가가 전체 소비자물가보다 빠르게 오르면서 실제 물가와 체감물가 간 괴리가 커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는 16일 김상봉 한성대학교 교수에게 의뢰한 '민생물가 상승 요인 분석 및 대책'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2019∼2024년 소비자물가지수 중분류 항목 중 의식주와 관련되고, 상승률이 높은 항목을 중점적으로 분석했다.
전문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251015144500003
■ 전국 흐리고 비…아침 시간당 20㎜ 내리는 곳도
목요일인 16일은 전국이 대체로 흐리고 오전까지 비가 내리겠다. 서울·인천·경기 북부와 강원 영서 북부는 아침까지 빗방울이 떨어지겠고 전국 대부분 지역은 오전까지 비가 내리다가 그치겠지만, 경상권과 제주도는 오후까지, 강원 영동과 경북 동해안·북동 산지는 밤까지 비가 이어지겠다. 전남권과 경남권, 제주도는 아침까지 돌풍·천둥·번개를 동반한 시간당 20㎜ 안팎의 강한 비가 내리는 곳이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