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 빼는 약' 위고비 제조사도 줄여야 산다…"9천명 감원"

 위고비로 유명한 덴마크 제약사 노보노디스크가 급성장한 비만 치료제 시장에서 흔들린 입지를 되찾기 위해 대규모 구조조정에 나섰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노보노디스크는 약 9천개의 일자리를 감축할 예정이라고 10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번 감원 규모는 전 세계 임직원 7만8천400명의 약 11%에 해당하며 이 가운데 약 5천개의 일자리는 덴마크에서 줄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WSJ은 전했다.

 2021년 GLP-1(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 계열 비만 치료제인 위고비를 출시한 노보노디스크는 살 빼는 약 열풍 속에 급성장했다.

 노보노디스크는 지난 몇 년간 위고비, 오젬픽 등 비만 치료제에 대한 급증하는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수천 명의 인력을 충원하고 생산 능력을 확충했지만, 그 과정에서 조직이 비대해지고 비용도 늘어났다.

 여기에 비만 치료제 시장의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복제약이 쏟아지면서 노보노디스크의 위상이 흔들리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노보노디스크는 비만 치료제 시장에서 우위를 점했지만, 최근 복제약 확산과 경쟁사 일라이 릴리의 공세로 시장 점유율을 잃고 있다.

 지난 7월 말에는 연간 실적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면서 하루에 주가가 최대 30% 급락하면서 시가총액 약 930억 달러(약 129조원)가 증발하기도 했다.

 마이크 도우스트다르 신임 최고경영자(CEO)는 "특히 비만 (치료제) 시장은 경쟁이 치열해지고 소비자 중심으로 변하면서 진화하고 있다"며 "우리 회사도 진화해야 한다"고 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암세포 파괴 대신 정상으로 되돌린다…국립암센터 新치료법 제시
암세포를 다시 정상 세포에 가까운 상태로 되돌릴 수 있는 시스템생물학 기반의 '분자 복귀 스위치' 기술이 세계 최초로 개발됐다. 국립암센터는 신동관 생물정보연구과 교수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조광현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이 이러한 원리의 암세포 재프로그래밍 치료법 'REVERT'를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암센터에 따르면 화학요법이나 방사선 치료와 같은 기존 암 치료법은 암세포 사멸에 초점을 맞춰왔지만, 이번에 개발된 치료법은 유전자를 조절해 암세포를 정상 세포로 되돌리는 원리로서 학계의 숙원이었던 접근법이다. 연구진은 정상 세포가 암세포로 바뀌는 경계점을 구분해내기 위해 단일 세포의 유전자 데이터를 분석했다. 이후 분석한 자료를 토대로 암세포 전환 시점에서 유전자들이 어떻게 서로 연결되고 영향을 주는지 지도를 만들고 가설을 입증하기 위해 가상 실험을 반복했다. 그 결과 세포 성장과 분열을 조절하는 유전자 중 YY1과 MYC라는 유전자가 암세포 전환의 '핵심 스위치'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두 유전자의 전사인자(DNA와 결합해 유전자 발현을 촉진·억제하는 단백질)가 상호 관계에 있어 서로 반응하며 정상 세포와 암세포 상태 사이의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