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후각 저하, 인지 못해도 수년간 지속될 수 있어"

美 연구팀 "완치 2년 후에도 증상 지속…인지 못한 감염자 66%도 후각 저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앓은 후 후각이 무뎌진 사람은 물론 후각 변화를 인지하지 못한 사람들도 실제로는 후각이 손상됐을 수 있고 증상이 수년간 지속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뉴욕대(NYU) 랭곤헬스·그로스먼 의대 리오라 호르비츠 교수팀은 미의사협회 저널 JAMA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에서 성인 남녀 3천500여명을 대상으로 한 코로나19 바이러스와 후각저하(hyposmia) 간 연관성 연구에서 이런 결론을 얻었다고 4일 밝혔다.

 호로비츠 교수는 "코로나19 이후 후각 변화가 있다고 밝힌 참가자의 80%는 2년 후 후각 검사에서도 낮은 점수를 받았고, 이들 중 23%는 심각한 후각 손상 또는 상실 상태였다"며 "이는 코로나19를 앓은 사람들이 후각 약화 위험에 노출돼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후각저하는 코로나19 증상 중 하나로 널리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그러나 기존 후각저하 진단은 대부분 환자의 자가보고에 의존해 왔고 이런 주관적 평가는 신뢰도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문제의 심각성과 지속성을 추적하기도 어렵다고 말했다.

 이들은 코로나19의 장기 건강 영향을 밝히기 위한 다기관 분석 연구(RECOVER) 참가자 3천525명(평균 나이 47.6세)을 대상으로 코로나19 바이러스와 후각저하 간 연관성을 추적 분석했다.

 참가자들은 코로나19 감염 여부에 상관 없이 2021년 10월부터 2025년 6월까지 90일마다 증상에 관한 설문조사를 마쳤고, 후각식별검사(UPSIT)를 통해 40가지 냄새에 대한 실제 후각 기능도 검사했다.

 그 결과 코로나19를 앓은 후 후각에 변화가 있었다고 보고한 1천393명 가운데 1천111명(79.8%)이 후각식별검사에서 후각저하를 보였고, 이들 가운데 321명(23.0%)은 심한 후각 저하 또는 후각 상실 상태였다.

 또 코로나19 감염자 중 후각 변화나 상실을 인지하지 못한 1천563명 중에서도 1천31명(66.0%)이 후각저하증을 보였고, 이 중 128명(8.2%)은 심한 후각 저하 또는 후각 상실이었다.

 호르비츠 교수는 "이 결과는 의료진이 코로나19 이후 일상적 진료 과정에서 후각 검사를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며 "환자들은 즉각 알아차리지 못할 수 있지만 무뎌진 후각은 정신적·신체적 건강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19로 인한 후각 저하를 회복하는 방법에는 비타민A 보충제나 뇌의 후각 반응 재훈련 등이 있다"며 "코로나19가 뇌의 감각 및 인지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더 깊이 이해하는 게 치료법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 출처 : JAMA Network Open, Leora Horwitz et al., 'Olfactory Dysfunction After SARS-CoV-2 Infection in the RECOVER Adult Cohort', http://dx.doi.org/10.1001/jamanetworkopen.2025.33815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쯔쯔가무시증 옮기는 털진드기 활동↑…"야외서 긴옷 입으세요"
질병관리청은 쯔쯔가무시증을 옮기는 털진드기가 급증함에 따라 가을철 야외 활동을 할 때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쯔쯔가무시증은 쯔쯔가무시균을 보유한 털진드기 유충에 물려 발생하는데 물린 부위에 검은 딱지가 생기고 발열·근육통·반점상 발진·림프절종대 등이 나타난다.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최근 3년간 전체 환자의 73.2%가 가을철인 10월과 11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질병청은 털진드기가 평균기온 20℃ 미만에서 발생이 증가하기 시작해 10~15℃에서 왕성하게 활동하다가 10℃ 미만으로 떨어지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올해 43주차에 평균기온이 15.9℃로 떨어짐으로써 털진드기의 발생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했다고 설명했다. 질병청은 털진드기에 물리는 것을 막기 위해 ▲ 발목 이상 높이의 풀밭에 들어가지 말기 ▲ 풀밭에서는 30분 이상 앉거나 눕지 말기 ▲ 야외활동 시 긴 옷, 목이 긴 양말 착용하기 ▲ 진드기 기피제를 신발·양말·바지에 적절한 주기로 사용하기 등을 권고했다. 특히 털진드기 유충은 크기가 0.3mm 이하로 작아 맨눈으로 확인하기 어려우므로 외출 후 씻는 과정에서 몸에 벌레 물린 상처(검은 딱지 등)가 있는지 확인하고, 의심 증상이 있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스트레스 많으면 냉장고 사용↑"…사물인터넷으로 측정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전산학부 이의진 교수 연구팀이 가정 내 사물인터넷(IoT) 센서가 수집한 데이터를 활용해 개인의 정신건강 상태를 정밀 추적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고 2일 밝혔다. 최근 국내 1인 가구가 800만세대를 넘어서며 1인 가구의 고립감과 정신 건강 관리 문제가 사회적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기존 스마트폰이나 웨어러블 기반 정신건강 관리 방식은 사용자가 기기를 착용하지 않으면 데이터가 누락되는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별도의 조작 없이도 일상 활동을 지속해 측정하는 가정 내 IoT 센서에 주목했다. IoT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가전제품 등 생활 속 사물 사이의 정보를 센서와 통신기기로 서로 연결해 제어·관리하는 기술이다. 연구팀은 청년층 1인 가구 20세대를 대상으로 가전제품과 수면매트, 움직임 센서 등을 설치해 IoT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으로 4주간 실증 연구를 진행했다. 이를 스마트폰·웨어러블 데이터와 비교 분석한 결과, IoT 데이터를 함께 활용할 때 정신건강의 변화를 더 정확하게 포착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관찰 결과 수면 시간 감소는 우울·불안·스트레스 수준 증가와 밀접하게 연관된 것으로 나타났다. 실내 온도 상승도 불안·우울과 상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