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초 후 두통·고열 등 나타나면 진드기 감염병 의심해야

야외활동 시 긴 소매·바지 권장…물리지 않는 게 최선

 추석을 앞두고 벌초를 다녀온 뒤 갑작스럽게 두통이나 고열이 발생했다면 진드기 매개 감염병을 의심해야 한다.

 두통과 고열에 더해 몸에 검은 딱지까지 포착됐다면 감기·몸살로 오인하지 말고 신속하게 병원을 찾는 게 좋다.

 27일 질병관리청과 의료계에 따르면 이달부터 11월까지는 털진드기 유충이 활발히 활동하면서 쯔쯔가무시증과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같은 진드기 매개 감염병이 기승을 부리는 시기다.

 실제 최근 3년간 쯔쯔가무시증과 SFTS 환자의 74.3%는 가을철(9~11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한 것으로 보고된다.

 감염되면 보통 10일 이내에 두통, 발열, 발진, 오한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검은 딱지처럼 보이는 '가피'가 생기는 게 특징이다.

 사람에 따라 잠복기가 짧게는 6일, 길게는 18일에 달하기도 하므로 야외활동을 한 적이 있다면  진드기 매개 감염병의 가능성을 배제하지 말고 벌레에게 물린 흔적이 있는지 살피는 게 좋다.

 쯔쯔가무시증은 항생제 치료 효과가 좋은 편이지만 치료 시기를 놓치면 뇌수막염, 폐렴, 신부전과 같은 중증 합병증으로 악화할 수도 있다.

 배지윤 이대서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쯔쯔가무시증은 감염 초기에 치료받으면 회복과 완치가 가능하지만, 증상을 단순한 감기몸살로 착각해 치료 시기가 늦어지는 경우가 있다"며 "농작업 및 야외활동 후 털진드기에 물린 자국이 발견되거나 열흘 안에 발열, 발진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SFTS는 바이러스를 보유한 작은소피참진드기에게 물려 발생한다. 진드기에게 물린 후 5∼14일이 지나 고열, 구토 등 증상이 나타난다.

 백신과 치료제가 없으며 치명률이 18.5%로 높아 감염되지 않도록 예방수칙을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은 무엇보다 진드기에게 물리지 않는 게 최선이다.

 야외활동을 할 때는 반드시 긴 소매와 긴 바지, 양말을 착용해 피부 노출을 최소화하고 진드기 기피제를 뿌리는 것도 좋다.

 외출 후 집으로 돌아온 뒤에는 곧바로 샤워해 피부에 진드기가 붙어있지는 않은 지 확인하고, 착용했던 작업복이나 속옷, 양말 등을 즉시 세탁해야 한다.

 유행 시기에는 갑작스러운 발열이 나타나면 반드시 진드기 물린 자국이 있는지 확인하는 습관이 필요하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필수의약품 공급망 강화…민관 협력 네트워크 출범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국정과제인 '국가필수의약품 공급 안정화·지원'을 이행하기 위해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와 '필수의약품 공공생산·유통 네트워크'를 구성했다고 26일 밝혔다. 국정과제 32-4는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등 차세대 백신 플랫폼 기술 개발, 국가필수의약품·의료기기 공급 안정화 및 지원, 국산 원료 의약품 인센티브 확대 등 필수의약품 공급 안정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필수의약품 공공생산·유통 네트워크는 필수의약품 제조가 개시되는 단계부터 유통에 이르는 공급망 단계를 포괄해 지원한다. 향후 주문생산 제도를 활성화하기 위한 대상 선정 및 행정적·기술적 지원 사항을 체계적으로 논의하고, 제약사에 필요한 인센티브를 제도에 반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부, 제약 분야 협회 및 국가필수의약품 주문생산·유통 참여 업체 등이 참여하고 있다. 식약처와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는 해당 네트워크 개시를 기념해 열린 간담회에서 필수의약품 주문생산 사업 현황과 향후 네트워크 운영 방향을 논의했다. 업계는 주문생산 사업에 참여하면서 느낀 애로사항을 공유하고, 향후 주문생산 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도개선과 지원 필요 사항을 건의했다. 식약처는 "필수의약품 공공생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