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의료원연합 "인력 이탈 심각…공공의대·지역의사제 필요"

김영완 회장, 복지위 국정감사서 지방의료원 현장 애로사항 토로

  지방의료원연합회가 지역 공공의료 현장의 인력 부족이 심각한 수준이라며 공공의대와 지역의사제 도입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놨다.

 김영완 지방의료원연합회 회장(서산의료원장)은 최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박희승 의원으로부터 '공공의대를 설립해 인력을 안정적으로 배출하면 지방의료원의 어려움을 상당히 덜 수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의를 받고 이같이 밝혔다.

 지방의료원연합회는 지역에서 공공의료를 담당하는 지방의료원 35개 연합이다.

 그는 "인력 이탈 문제가 매우 심각한데, 특히 의사 인력의 수도권 및 대형병원 쏠림 현상이 날로 심화하고 있다"며 "정부에서 공공임상교수제, 시니어의사제 등으로 인력을 지원하고 있지만 전체를 커버하기에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라고 토로했다.

 김 회장은 지방의료원이 당면한 문제로 의료인력 이탈 외에도 열악한 재정 환경을 꼽으며 충분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올해 6월 말 기준 지방의료원 중 29개가 적자고, 그 규모가 484억원에 이른다. 병상 가동률도 62.5%에 불과해 코로나19 이전으로 회복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김 회장은 "올해 연말까지 추계해보면 그보다 더 많은 약 1천500억여원의 적자가 예상된다"며 "지금도 일부 의료원은 임금체불 등이 발생하고 있는데, 이로 인해 의료인력과 직원들의 이탈이 더 심각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어 "지방의료원이 다시 본연의 기능을 발휘하고 든든한 뿌리를 내릴 수 있도록 정부와 국회의 관심과 배려가 절실하다"며 "전국의 지방의료원은 공공의료의 최일선에서 지역의 건강 안전망을  굳건히 유지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복부대동맥류 환자, 10여년새 3배로…"스텐트시술 생존율 높여"
대표적 노인성 혈관 질환인 복부 대동맥류(AAA) 환자가 최근 10여년 사이 3배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동경희대병원 혈관외과 조성신 교수팀이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 자료와 통계청 사망원인 자료를 분석한 결과, 복부 대동맥류 환자는 2010년 4천148명에서 2022년 1만3천169명으로 약 3.2배로 늘어났다고 25일 밝혔다. 복부 대동맥류는 배 속의 가장 큰 혈관인 대동맥 일부가 약해져 풍선처럼 부풀어 오르는 질환이다. 대동맥이 파열되면 대량 출혈로 생명을 잃을 수 있어 '조용한 시한폭탄'으로 불린다. 주요 원인은 혈관 벽을 약하게 하는 흡연, 고혈압, 고지혈증, 동맥경화 등이다. 특히 고령의 남성에서 다수 발생하고,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도 위험하다. 복부 대동맥류는 대부분 증상이 없지만, 복부나 등, 허리에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 복부에 쿵쿵 뛰는 듯한 박동감을 느끼는 것도 대표적인 의심 신호다. 그러나 이런 증상은 대부분 대동맥이 파열하기 직전이거나 이미 진행된 상태에서 나타나기 때문에 증상만으로는 조기 진단을 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정기 검진으로 미리 발견해야 한다는 게 병원 측의 설명이다. 복부 대동맥류를 근본적으로 치료하려면 인공 혈관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