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바이오 업체들이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다양한 맞춤형 제품 패키지와 다양한 이벤트를 선보이고 있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종근당제약은 오는 18일까지 구매 금액별 할인쿠폰을 증정하는 '가정의 달 선물대전'을 진행한다. 5만원 이상 구매시 5% 할인되는 쿠폰과 10만원 이상 구매 시 1만원이나 10% 할인되는 쿠폰으로 구성됐다. 카카오톡 계정 친구 추가하기를 할 경우 3만원 이상 구매시 3천원 할인되는 쿠폰도 준다. '발효홍삼 컴파운드K 플러스'나 '관절엔 자관원 MSM' 등 프리미엄 제품을 4박스 구매하면 68~69% 할인된 가격에 제공하고 젤세라 블랙마카 부스터 맥스 1박스를 증정하는 할인 행사도 한다. 한미사이언스는 19일까지 '한미 선물 페스타'를 통해 루테인지아잔틴 파워, 초임계 알티지 오메가3, 원데이 멀티비타민미네랄 맥스 등 주요 건강기능식품을 최대 76% 할인된 가격에 제공한다. 프로바이오틱스 기업 쎌바이오텍은 11일까지 '듀오락 가정의 달 선물 대전'을 진행한다. 듀오락 대표 제품을 최대 66% 할인하며, 신규 회원에게는 1만 원 할인 쿠폰을 제공한다. 구매 금액별로 락토클리어 제품 및 호호당 소창 보자기, 휴대용 실내화 등을 증정하는 혜택
미국에서 뱀에 200번 물린 남성의 피를 이용해 만능 해독제를 개발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2일(현지시간) 영국 BBC 방송에 따르면 전직 트럭 정비사였던 팀 프리드(57) 씨는 뱀독에 대한 면역력을 키우기 위해 18년간 코브라, 블랙맘바, 타이판 등 치명적인 독사에게 200차례 이상 일부러 물렸다. 또 700회 이상 뱀독을 추출해 몸에 스스로 주입하기도 했다. 초기에는 코브라 두마리에게 잇따라 물려 혼수상태에 빠지기도 했지만 치료제 개발에 도움이 되겠다는 일념으로 이런 '실험'을 계속했으며 길고 고통스러운 과정을 유튜브에도 기록했다.프리드 씨의 사연을 알게 된 미국 생명공학회사 센티백스의 최고경영자(CEO) 제이컵 글랜빌 박사는 곧바로 그에게 연락을 취했다. 글랜빌 박사는 특히 여러 종류의 뱀독에 효과가 있는 '광범위 중화항체'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뱀의 독은 종마다 달라 해독제도 모두 달라져야 하지만, 모든 뱀독에 공통으로 존재하는 부분을 표적으로 삼는다면 광범위하게 쓰일 수 있는 해독제를 개발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글랜빌의 연구팀은 프리드 씨의 혈액에서 항체를 추출했고, 동물 실험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독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오는 7일 서울 코엑스에서 2025 춘계 바이오헬스정책연구 포럼을 연다. '바이오헬스 혁신과 안보를 위한 대응과 과제'를 주제로 열리는 포럼에서는 공공병원 건립 추진 사례를 통한 정책 시사점, 의료기관 재무제표로 본 병원 경영 실태, 원격 중환자실 협력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언 등을 다룬다.
제약·바이오 기업이 임상을 중단하거나 빅파마(대형 제약사)에 이전한 기술을 반환받는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 이는 신약 개발 등에 있어 악재이지만 한편으로는 차세대 파이프라인에 자원을 집중하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1일 업계에 따르면 오름테라퓨틱은 인간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2(HER2) 양성 전이성 유방암 및 기타 HER2 과발현 악성종양 치료제 'ORM-5029'의 미국 임상 1상을 자진 중단했다. 임상 중단 배경으로는 치료제의 안전성 문제가 지목됐다. 오름테라퓨틱은 "ORM-5029의 1상 임상에서 도출된 임상적 안전성, 약물동태학, 약력학 자료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했다"며 "임상 중단은 환자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한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LG화학은 통풍 치료제 'LC350189'의 글로벌 임상 3상을 자진 중단했다. 해당 치료제는 지난해 임상에서 위약 대비 우월성 등이 확인된 바 있다. LG화학은 임상 중단 이유에 대해 "미국 시장 조사 결과 투자 비용 회수 등 경제성 측면에서의 불확실성이 커졌다"고 전했다. 펩트론도 연골무형성증 치료제 후보물질 'PND3174'의 제1a상 임상시험계획을 자진 취하했다. 이 회사는 해당 임상에서 P
C&C신약연구소는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암 분야 세계 최대 규모 학술대회 '2025년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5)'에서 급성골수성백혈병(AML) 치료제로 개발 중인 STAT5/STAT3 이중 억제제 후보물질 CNC-01(임시 코드명)의 비임상 연구 결과를 포스터 발표했다. CNC-01은 STAT5 및 STAT3 단백질을 선택적이고 직접적으로 동시에 억제하는 경구용 저분자 화합물로, 기존 AML 치료제의 내성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작용기전을 가진 혁신 신약(First-in-Class) 후보물질이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CNC-01은 FLT3-TKD(F691L) 돌연변이 및 골수 미세환경을 모사한 다양한 내성 모델에서 기존 표준 표적치료제인 FLT3 억제제 대비 우수한 종양 성장 억제 효과를 보였다. 기존 AML 표준치료제로 사용 중인 BCL-2 억제제에 반응하지 않는 AML 동물모델에서도 CNC-01 단독 투여만으로 강력한 종양 억제 효과를 나타냈으며, BCL-2 억제제와의 병용 투여 시 치료 효과가 더욱 향상됐다. 특히, 단독 및 병용 시험 모두 완전관해(CR) 및 부분관해(PR)에 해당하는 종양 반응이 관찰됐다. 생존 기간 분석 결과에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6월 16∼19일 미국 보스턴 컨벤션 전시 센터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규모의 제약바이오 전시·콘퍼런스인 '2025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에 참가한다. 진흥원은 우리나라 제약바이오 기업의 세계 진출을 지원하고자 유관기관 공동 홍보관인 '코리아 바이오헬스 허브' 부스를 열고, 기업 투자자 설명회(IR)와 세미나 등을 연다. 진흥원은 앞서 2022년 6월 미국 보스턴 공유 사무공간인 CIC(Cambridge Innovation Center) 내에 'C&D(Connect & Development) 인큐베이션 오피스'를 열고 현지 정착을 원하는 기업을 지원해왔다. 올해 현재 총 30개 기업이 입주한 상태다.
동아에스티는 지난 25~30일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5)에서 HK이노엔과 공동연구 중인 표피 성장인자 수용체(EGFR) 표적 단백질 분해제 'SC2073' 비임상 결과를 포스터 발표했다. 이 신약후보 물질은 EGFR 내성 돌연변이를 가진 비소세포폐암 환자 대상 신약으로 돌연변이 EGFR만 선택적으로 분해하고 1일 1회 경구투여 방식으로 개발하고 있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제약바이오기업 HK이노엔(HK inno.N)은 지난 25일부터 30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5'에 참석해 두 건의 항암신약 물질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발표는 차세대 경구용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HPK1 저해제(IN-122517)와 동아ST와 공동 개발 중인 비소세포폐암 표적치료제 EGFR(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변이 선택적 분해제(IN-207039, SC2073)에 대한 연구결과다. EGFR 분해제는 HK이노엔과 공동개발 중이다. IN-122517은 T세포를 비롯한 면역체계를 활성화해 항암 작용을 유도하는 물질로, 내년 임상시험계획(IND) 신청을 목표로 개발 중이다. HK이노엔은 학회에서 대장암 동종이식모델(syngeneic models)을 대상으로 한 시험에서 IN-122517이 항체면역항암제(anti-PD-1) 단독요법 대비 높은 항암 효능을 보였으며, 병용투여 시 종양이 완전관해에 이르렀고 투여 중단 후에도 지속적인 면역 기억반응을 나타냈다고 발표했다. IN-207039(SC2073)는 정상 EGFR은 분해하지 않고 EGFR 변이 단백질만 선택적으로 분해하는 차별화된 기전으로,
항암면역치료제 전문기업 박셀바이오는 서울 송파구 문정동에 100평 규모의 연구개발(R&D) 허브를 설치해 가동에 들어갔다고 30일 밝혔다. R&D 허브에서는 난치성질환 치료제 개발 연구 등이 진행된다. 특히 이중항체 기술을 세포치료제 기술에 접목해 면역항암제의 종양 표적률을 더욱 높이는 기술 융합이 시도될 예정이다. 주사제형을 경구 제형 등으로 전환해 환자 편의성을 높인 혁신 의약품 개발도 진행된다.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신약 개발도 추진된다. 박셀바이오는 AI 기술로 췌장암 등 치료와 관련해 확보한 10종의 화합물 후보물질과 최적화 기술을 활용해 신약 개발을 진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