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실명 원인 1위 '황반변성' 치료 약물 전달 방식 개선 가능"

  노인 실명 원인 1위의 안질환인 노인성 황반변성(AMD: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은 망막의 중심부에 있는 시신경 조직인 황반에 비정상적인 신생 혈관이 자라면서 황반이 손상돼 시야의 중심부를 보는 시력인 중심시(central vision)를 잃는 병이다.

 황반변성은 완치 방법은 없고 항체 주사 또는 레이저 수술로 진행을 지연시키는 방법이 있을 뿐이며 방치하면 실명으로 이어진다.

 대표적인 치료법은 혈관내피성장인자 억제제(anti-VEGF)를 주기적으로 주사해 신생혈관 형성을 억제하는 것이다.

 미국 캘리포니아 공대(Caltech: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연구팀이 이 주사제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다고 미국과학진흥협회(AAAS) 과학 뉴스 사이트 유레크얼러트(EurekAlert)가 25일 보도했다.

 혈관내피성장인자 억제제를 안구 내에 주사할 때 열을 가해 주면 약물이 더 많이 망막에 전달될 수 있다고 황징린(Jinglin Huang) 연구원은 밝혔다.

 약물을 안구 내에 주사하면 수정체 뒤쪽의 안구 내강을 메우고 있는 투명한 젤리 같은 조직인 유리체(vitreous)와 잘 섞이지 않기 때문에 약물 전달이 쉽지 않지만 열을 가해주면 순환구조가 개선돼 효과적인 약물 전달이 가능하다고 그는 설명했다.

 그렇다고 주사 방법이 바뀌는 것은 아니며 약물 주사 때 열만 가해주면 되기 때문에 그 이외의 별다른 조치는 필요 없다고 그는 강조했다.

 특히 약물은 반감기(half life)가 있어 약효 지속시간이 제한되는 만큼 이 방법을 쓰면 약물 전달이 개선돼 약물 투여량을 줄일 수도 있다고 그는 덧붙였다.

 이 연구결과는 시애틀에서 열린 미국 물리학회 유체역학 연례학술 회의에서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의학연·경희의료원, 과민대장증후군 진단키트 개발
한국한의학연구원은 박기선 박사 연구팀은 최근 경희의료원 김진성·하나연 교수팀과 공동으로 과민대장증후군 진단키트 시제품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과민대장증후군(IBS)은 만성적이고 반복적인 복통, 설사 또는 변비가 나타나는 난치성 위장장애로, 방치할 경우 만성 장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적기 치료가 중요하다. 하지만 아직 과민대장증후군 진단을 위한 바이오마커(질병의 진행 정도를 진단하는 생물학적 지표)가 개발되지 않아 환자의 병력에 의존하거나 증상을 바탕으로 진단할 수밖에 없었다. 연구팀은 혈액 속 엑소좀을 바이오마커로 활용해 진단키트 시작품을 제작했다. 엑소좀은 체내 세포가 정보 교환을 위해 분비하는 ㎚(나노미터·10억분의 1m) 크기의 세포외소포로, 환자의 병리적 상태를 판단하는 지표가 된다. 정상군과 과민대장증후군 환자 각각 30명씩 혈중 엑소좀을 분리한 뒤 마이크로RNA(생물 유전자 발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RNA, 즉 리보핵산의 일종)를 분석, 14종의 마이크로RNA 가운데 만성 장 질환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은 6종을 바이오마커로 개발했다. 시제품 키트를 활용해 예후를 판단할 수 있고, 증상의 중증 정도를 정량적으로 비교할 수 있다고 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