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세대·밀레니얼, 부모 세대보다 암 걸릴 확률 높아"

美암학회 대규모 연구…밀레니얼, 신장암, 췌장암, 소장암 발병 위험 2∼3배
비만·해로운 식단·수면부족·발암물질 노출 등 원인 추정

 X세대와 밀레니얼세대는 그 이전 세대보다 암에 걸릴 위험이 더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WP)가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 암학회(American Cancer Society)는 사람에게 흔하게 발견되는 암 34종 가운데 17종의 발병률이 젊은 세대에서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을 대규모 연구를 통해 확인하고 해당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을 이날 국제학술지 랜싯 퍼블릭 헬스(Lancet Public Health)에 발표했다.

 논문에 따르면 밀레니얼세대(1980년대 초반∼1990년대 중반 출생)는 베이비붐세대(1950년대 중반∼1960년대 초반 출생)보다 신장암, 췌장암, 소장암의 발병 위험이 2∼3배 더 높았다.

 또 밀레니얼세대 여성은 베이비붐세대 여성보다 간암과 담관암 발병 위험이 더 높았다.

 유방암과 담낭암 및 기타 담관 관련 암, 자궁암의 발병률은 거의 모든 연령대에서 증가했는데, 젊은 세대에서는 더 빠르게 증가했다.

 암에 걸릴 위험은 커진 데 비해 젊은 세대에서 암으로 사망할 위험은 안정화되거나 감소했다. 다만 담낭암, 대장암, 고환암, 자궁암의 사망률은 높아졌고, 젊은 여성의 간암 사망률도 높아졌다.

 이 논문의 1저자인 아메딘 제말은 현 추세가 지속될 경우 "지난 수십년간 암 사망률을 낮추기 위해 이룬 진전이 중단되거나 역전될 수도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젊은 세대를 위한 암 예방 계획과 암 조기 발견을 위한 선별 검사 개발의 필요성을 보여주는 이번 연구는 2000년부터 2019년까지 34개 유형의 암으로 진단받은 2천350만명 이상의 환자 데이터를 분석한 것이다.

 젊은 세대에서 암 발병률이 증가하는 이유에 대한 명확한 설명은 아직 없다.

 연구자들은 비만 증가, 포화 지방·붉은색 육류·초가공 식품·항생제 사용 등 건강에 해로운 식단으로 인한 미생물 군집의 변화, 수면 부족, 앉아서 보내는 생활 방식, 오염 물질 및 발암성 화학물질 노출 등 환경적 요인을 포함한 몇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다고 추정했다.

 미국 텍사스대 MD 앤더슨 암센터의 부센터장인 어니스트 호크 박사는 "젊은 사람이나 50세 미만은 암 발병 인구에서 소수이지만 암이 점점 더 젊은 연령대에서 생긴다는 점이 걱정된다.

 이러한 발병률 증가는 인구 고령화 속에서 매우 심각한 우려를 낳는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암 검진이 보통 대장암·자궁경부암·유방암·폐암에 국한돼 시행되는 것과, 젊은 사람들은 연령조건 미달 등의 이유로 검진을 받지 않는 점을 문제로 지적했다.

 뉴욕 메모리얼 슬론 케터링 암센터 소속 안드레이 세르첵 박사는 "문제는 환자가 갈수록 젊어지고 있고, 우리가 언제나 좋은 선별 검사를 처음부터 할 수 없는 데다 그렇게 많은 인구를 선별검사할 수도 없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미국 연구진이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2019∼2021년 미국 내 대장암 검진 대상자인 45∼49세 1천900만명 가운데, 검사를 받은 사람은 400만명에 불과했다.

 캘리포니아대 데이비스 캠퍼스 암센터 소속 라쉬미 베르마 박사는 젊은 사람들은 증상이 나타나도 암이 아닐 것이라고 생각해 무시하는 경우도 많다고 지적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홍잠 추출물이 면역 세포 증식 촉진…암세포 진행 억제 효과"
농촌진흥청과 한림대학교 연구팀은 백옥잠(하얀 고치를 짓는 누에 품종)으로 만든 홍잠이 선천 면역 세포 증식을 촉진해 암세포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를 14일 공개했다. 홍잠은 완전히 자라 몸속에 견사 단백질이 가득 찬 누에를 수증기로 쪄 동결건조 후 가공해 만든다. 아미노산, 오메가3, 지방산, 폴리페놀 등 다양한 유용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건강식품으로 주목받는다. 연구진은 홍잠과 홍잠 추출물 모두에서 대식세포(선천 면역을 담당하는 주요 세포)와 자연살해세포(암세포나 바이러스 감염 세포 등 비정상 세포를 스스로 감지하고 죽이는 선천 면역 세포) 증식을 촉진하고, 암세포를 인식해 제거하는 면역 작용을 증진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에 따르면 홍잠 추출물은 자연살해세포(NK92) 증식을 7% 촉진했다. 또 뇌종양, 혈액암, 췌장암 세포를 제거하는 능력도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뇌종양 암세포(교모세포종)를 제거하는 능력은 3배 이상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면역력이 낮아진 실험 쥐에게 홍잠을 먹인 결과 면역에 관여하는 비장의 B 림프구 기능이 촉진돼 혈액 내 면역 단백질량이 1.5배 늘었다. T 림프구와 자연살해세포도 증식시켜 암세포를

메디칼산업

더보기
제약·바이오, 코스닥 진입 활성화…"상장규제 개선 필요"
제약·바이오 기업이 잇달아 코스닥 시장 상장을 추진하고 있다. 연구개발(R&D) 자금을 확보하는 동시에 기업 가치를 높여 업계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부터 제약·바이오 기업 최소 3곳이 코스닥 시장에 상장됐다. 이번 주에는 임상 유전체 전문기업 GC지놈이 코스닥에 진입했다. 이 회사는 2013년 GC녹십자 자회사로 설립돼 300종 이상의 유전자 검사 서비스를 900개 이상 병의원에 제공하고 있다. 지난달에는 줄기세포를 3차원 배양해 인체 장기를 재현하는 오가노이드사이언스와 항체·약물접합체(ADC) 플랫폼 기업 인투셀이 코스닥 시장에 입성했다. 인투셀의 경우 코스닥 상장 첫날 주가가 공모가의 2배의 근접한 수준에서 장을 마치기도 했다. 하반기 코스닥 상장이 예정된 기업도 적지 않다. 리보핵산(RNA) 기반 유전자치료제 개발기업 알지노믹스는 올해 하반기 코스닥 상장예비심사를 청구할 계획이다. 식물 세포 기반 바이오 소재 전문기업 지에프씨생명과학도 코스닥 상장을 앞두고 있다. 이 회사는 천연 바이오 소재 생산부터 테스트까지 원스톱 설루션을 제공한다. 의료 인공지능(AI) 기업도 코스닥 입성에 주력하고 있다. 뇌 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