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바이오, 코스닥 진입 활성화…"상장규제 개선 필요"

GC지놈 등 기술특례 상장…"법차손 규정 개정 동반돼야"

  제약·바이오 기업이 잇달아 코스닥 시장 상장을 추진하고 있다.

 연구개발(R&D) 자금을 확보하는 동시에 기업 가치를 높여 업계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부터 제약·바이오 기업 최소 3곳이 코스닥 시장에 상장됐다.

 이번 주에는 임상 유전체 전문기업 GC지놈이 코스닥에 진입했다.

 이 회사는 2013년 GC녹십자 자회사로 설립돼 300종 이상의 유전자 검사 서비스를 900개 이상 병의원에 제공하고 있다.

 지난달에는 줄기세포를 3차원 배양해 인체 장기를 재현하는 오가노이드사이언스와 항체·약물접합체(ADC) 플랫폼 기업 인투셀이 코스닥 시장에 입성했다.

 인투셀의 경우 코스닥 상장 첫날 주가가 공모가의 2배의 근접한 수준에서 장을 마치기도 했다.

하반기 코스닥 상장이 예정된 기업도 적지 않다.

 리보핵산(RNA) 기반 유전자치료제 개발기업 알지노믹스는 올해 하반기 코스닥 상장예비심사를 청구할 계획이다.

 식물 세포 기반 바이오 소재 전문기업 지에프씨생명과학도 코스닥 상장을 앞두고 있다. 

 이 회사는 천연 바이오 소재 생산부터 테스트까지 원스톱 설루션을 제공한다.

 의료 인공지능(AI) 기업도 코스닥 입성에 주력하고 있다.

 뇌 질환 진단·치료 AI 전문기업 뉴로핏은 한국거래소로부터 코스닥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 승인을 받았다.

 현재 상장된 의료 AI 기업은 루닛, 제이엘케이, 뷰노, 코어라인소프트 등이다.

 우리나라 제약·바이오 기업은 기술특례 상장 제도를 통해 코스닥 시장에 진입하는 경우가 많다.

 기술특례 상장 제도는 우수한 기술력 등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이 상장할 수 있도록 상장 기준을 낮춰주는 제도로 2005년 도입됐다.

 기업이 보유한 기술이 유망하다고 판단될 경우 재무제표상 적자라도 상장 기회가 제공된다.

 GC지놈도 기술특례 상장으로 코스닥에 입성했다. 알테오젠의 경우 2005∼2024년 기술특례로 상장한 기업 248곳 가운데 시가총액이 가장 많이 늘어난 기업이라고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는 집계했다.

 다만 신약 개발까지 많은 시간과 비용이 필요한 업계 특성상 상장폐지되는 바이오 기업도 적지 않다.

 올해는 파킨슨병 치료제 등 신약 개발을 추진하던 셀리버리에 이어 이중항체 개발사 파멥신 등의 상장폐지가 결정됐다.

 업계 관계자는 "제약·바이오 기업의 코스닥 상장 활성화는 업계 경쟁력 강화 측면에서 긍정적인 현상"이라면서도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법차손) 등 상장규제 개선을 비롯한 규제 해소가 동반돼야 한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혹사의 정당화는 끝났다" 전공의노조 출범…3천명 가입
병원에서 전문의가 되고자 수련하는 전공의들이 "혹사의 정당화는 끝났다"며 전국 단위의 노동조합을 설립하고 14일 공식 출범했다. 전국전공의노동조합은 이날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 회관 지하 1층 대강당에서 발대식을 열고 "혹사의 대를 끊고 무너지는 의료를 바로잡고자 노조를 설립했다"며 출범을 선언했다. 전공의노조는 출범 선언문에서 "전공의들이 사명감으로 버텨온 현실은 근로기준법은 물론, 전공의 특별법조차 무시하는 근로환경과 교육권의 박탈이었다"며 "(전공의들이) 교육권과 인권이 박탈된 채 값싼 노동력으로 소모되는 것이 정당하냐"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전공의에 대한 혹사와 인권 박탈을 대가로 유지되는 의료는 더 이상 유지될 수 없다"며 "우리는 더 이상 침묵 속에서 병원의 소모품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전공의의 정당한 권리와 인간다운 삶을 지키기 위해 싸울 것"이라며 "환자의 안전과 국민의 건강을 최우선의 가치로 삼고, 대한민국 의료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사회와 책임을 나누겠다"고 했다. 이어 "전국의 전공의들이 서로 연결되고 사회와 연대하며 건강한 의료를 향해 나아가겠다"고 덧붙였다. 중앙대병원 전공의인 유청준 초대 노조위원장은 취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타이레놀 CEO, 美보건장관에 로비…"자폐증 원인으로 언급 말라"
유명 해열진통제 타이레놀의 제조사가 미국 보건복지부 장관을 상대로 자폐증 발병 원인으로 타이레놀을 언급하지 말아달라는 로비를 벌였다고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타이레놀 제조사 켄뷰의 임시 최고경영자(CEO)인 커크 페리는 최근 로버트 케네디 보건복지부 장관과 비공개 회동을 하고 '타이레놀과 자폐증 사이에는 명확한 연관성이 없다'고 설득했다. 페리 CEO는 기존의 연구 결과 임신부의 열을 내리는 데 있어 타이레놀의 주성분인 아세트아미노펜을 대체할 수 있는 안전한 약물은 거의 없다고 주장했다. 의학계와 미 식품의약국(FDA)은 임신 중 특정 시기에 이부프로펜이나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등 아세트아미노펜 대체 약물을 복용하면 선천적 기형을 유발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두 사람의 만남은 WSJ이 지난 5일 케네디 장관이 조만간 임신부의 타이레놀 복용이 태아의 자폐증과 잠재적으로 연관될 수 있다는 내용을 담은 보고서를 발표할 계획이라고 보도한 이후 급하게 추진됐다. 이 보도가 나오자 켄뷰의 주가는 장중 9% 하락했고, 회사 경영진은 정부 보고 내용에 촉각을 곤두세운 것으로 전해졌다. 켄뷰는 성명에서 "우리는 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