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바이오, 코스닥 진입 활성화…"상장규제 개선 필요"

GC지놈 등 기술특례 상장…"법차손 규정 개정 동반돼야"

  제약·바이오 기업이 잇달아 코스닥 시장 상장을 추진하고 있다.

 연구개발(R&D) 자금을 확보하는 동시에 기업 가치를 높여 업계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부터 제약·바이오 기업 최소 3곳이 코스닥 시장에 상장됐다.

 이번 주에는 임상 유전체 전문기업 GC지놈이 코스닥에 진입했다.

 이 회사는 2013년 GC녹십자 자회사로 설립돼 300종 이상의 유전자 검사 서비스를 900개 이상 병의원에 제공하고 있다.

 지난달에는 줄기세포를 3차원 배양해 인체 장기를 재현하는 오가노이드사이언스와 항체·약물접합체(ADC) 플랫폼 기업 인투셀이 코스닥 시장에 입성했다.

 인투셀의 경우 코스닥 상장 첫날 주가가 공모가의 2배의 근접한 수준에서 장을 마치기도 했다.

하반기 코스닥 상장이 예정된 기업도 적지 않다.

 리보핵산(RNA) 기반 유전자치료제 개발기업 알지노믹스는 올해 하반기 코스닥 상장예비심사를 청구할 계획이다.

 식물 세포 기반 바이오 소재 전문기업 지에프씨생명과학도 코스닥 상장을 앞두고 있다. 

 이 회사는 천연 바이오 소재 생산부터 테스트까지 원스톱 설루션을 제공한다.

 의료 인공지능(AI) 기업도 코스닥 입성에 주력하고 있다.

 뇌 질환 진단·치료 AI 전문기업 뉴로핏은 한국거래소로부터 코스닥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 승인을 받았다.

 현재 상장된 의료 AI 기업은 루닛, 제이엘케이, 뷰노, 코어라인소프트 등이다.

 우리나라 제약·바이오 기업은 기술특례 상장 제도를 통해 코스닥 시장에 진입하는 경우가 많다.

 기술특례 상장 제도는 우수한 기술력 등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이 상장할 수 있도록 상장 기준을 낮춰주는 제도로 2005년 도입됐다.

 기업이 보유한 기술이 유망하다고 판단될 경우 재무제표상 적자라도 상장 기회가 제공된다.

 GC지놈도 기술특례 상장으로 코스닥에 입성했다. 알테오젠의 경우 2005∼2024년 기술특례로 상장한 기업 248곳 가운데 시가총액이 가장 많이 늘어난 기업이라고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는 집계했다.

 다만 신약 개발까지 많은 시간과 비용이 필요한 업계 특성상 상장폐지되는 바이오 기업도 적지 않다.

 올해는 파킨슨병 치료제 등 신약 개발을 추진하던 셀리버리에 이어 이중항체 개발사 파멥신 등의 상장폐지가 결정됐다.

 업계 관계자는 "제약·바이오 기업의 코스닥 상장 활성화는 업계 경쟁력 강화 측면에서 긍정적인 현상"이라면서도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법차손) 등 상장규제 개선을 비롯한 규제 해소가 동반돼야 한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창립 80주년' 제약바이오협회 "AI 신약 역량 지원할 것"
노연홍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은 "업계의 AI 기반 신약 개발 역량 강화를 지원하고 거대한 변화의 흐름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노 회장은 지난 24일 서울 방배동 협회 회관에서 열린 창립 80주년 기념식에서 이렇게 말했다. 협회는 1945년 조선약품공업협회로 출범했다. 이날 기념식에서는 기념사업 공헌자 및 신약개발, 산학협력, 출판물 발간 등에 기여한 유공자들에 대한 감사패 및 공로패 수여식이 진행됐다. 조욱제 홍보편찬위원장은 김승호 제13대 회장에게 산업계와 협회의 발자취를 담은 '한국제약바이오협회 80년사'를 헌정했다. '제약바이오 비전 2030 선포식'에서는 이관순 미래비전위원장이 비전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추진전략과 과제를 발표했다. 협회는 이번 비전 선포를 통해 'K-제약바이오 강국'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로드맵을 제시했다. 노 회장은 "1945년 10월 광복의 혼란 속에서 국민 건강을 지키고자 첫걸음을 내디뎠던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80년의 역사를 맞이했다"고 소회를 전했다. 이어 "AI를 비롯한 첨단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제약바이오산업의 패러다임을 근본적으로 바꾸고 있다"며 "이는 우리 모두에게 새로운 도전이자 기회의 문"이라고 했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