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증시일정](1일)

[오늘의 증시일정](1일)
    ◇ 추가 및 변경상장
    ▲ 주식회사 레이[228670](주식전환 1만1천866주 1만6천854원)
    ▲ (주)디모아[016670](유상증자 137만2천212주 5천830원)
    ▲ 휴림로봇(주)[090710](유상증자 3천500만주 0원)
    ▲ (주)에코앤드림[101360](유상증자 340만4천256주 0원, 유상증자 340만4천256주 0원, 유상증자 340만4천256주 3만1천450원)
    ▲ (주)디딤이앤에프[217620](유상증자 1천192만8천주 503원)
    ▲ (주)젠큐릭스[229000](유상증자 80만주 2천500원)
    ▲ (주)커넥트웨이브[119860](주식소각)
    ▲ 에이치엘비글로벌(주)[003580](CB전환 2만4천166주 6천207원)
    ▲ 케이지모빌리티(주)[003620](CB전환 39만6천825주 5천40원)

 

 

[코스피·코스닥 전 거래일(31일) 주요공시]
    ▲ 임태중 상상인증권[001290] 대표, 임기 8개월 남기고 사임
    ▲ 일동제약[249420], 2분기 영업익 49억원…주력 제품 호조에 흑자전환
    ▲ 보령 2분기 영업익 201억원…고혈압약 '카나브' 고성장
    ▲ 애경산업[018250], 2분기 영업이익 5.4% 증가…"화장품 호조"
    ▲ 인트로메딕[150840], 10억원 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 파트론[091700] 2분기 영업이익 143억원…작년 동기 대비 69.9%↑
    ▲ SK바이오사이언스[302440] 2분기 영업손실 199억원…적자 축소
    ▲ 아이센스[099190] 2분기 영업이익 20억원…작년 동기 대비 48.7%↓
    ▲ SK아이이테크놀로지[361610] 2분기 영업손실 587억원…적자 전환
    ▲ 삼성물산[028260] 2분기 영업이익 9천4억원…작년 동기 대비 16.6%↑
    ▲ 'IT 불황' 버틴 전자부품업계, 고부가 제품 업고 실적 순항
    ▲ BNK금융지주[138930] 2분기 영업이익 2천943억원…작년 동기 대비 5.5%↑
    ▲ 부산은행 2분기 영업이익 1천457억원…작년 동기 대비 3.9%↓
    ▲ 경남은행 2분기 영업이익 1천240억원…작년 동기 대비 31.2%↑
    ▲ BNK투자증권 2분기 영업손실 94억원…적자 확대
    ▲ 삼성전기[009150] 2분기 영업이익 2천81억원…작년 동기 대비 1.5%↑
    ▲ HK이노엔[195940], 2분기 영업익 243억원…작년 동기 대비 59%↑
    ▲ 투자 미루고 캐파 축소…배터리소재업계, 실적 한파에 속도 조절
    ▲ 제일기획[030000] 2분기 영업이익 882억원…작년 동기 대비 4.2%↑
    ▲ 삼성전자 "HBM 매출 50% 증가…HBM3E 8단 제품 3분기 본격 공급"
    ▲ 삼성전자[005930] 보통주·우선주 361원 분기배당…총 2조4천500억 규모
    ▲ 삼성 모바일 2분기 실적, 신제품 효과 둔화에 1분기보다 감소
    ▲ 에이피알[278470], 주식분할 결정…주당가격 500원→100원으로
    ▲ 삼성전자[005930] 실적 '일등공신' 복귀한 반도체…"HBM3E 공급 관건"
    ▲ SOOP[067160] 2분기 영업이익 333억원…작년 동기 대비 41%↑
    ▲ 삼성전자[005930] 2분기 영업익 10.4조…반도체 영업익 6.4조
    ▲ LS증권[078020] "대우건설[047040], 2분기 부진…해외 수주 성과 확인 필요"
    ▲ 키움증권[039490] 2분기 영업이익 3천123억원…작년 동기 대비 72.7%↑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100조 돌파 건강보험 진료비…급증 주범은 '고령화'아닌 '공급'
2022년 사상 처음으로 100조 원을 돌파한 건강보험 진료비. 가파른 고령화와 맞물려 재정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진료비 급증의 핵심 원인이 단순히 인구 고령화나 소득 증가뿐만 아니라, 의료기관과 병상수 같은 '공급 요인'에 있다는 심층 분석 결과가 나왔다. 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연구원의 '건강보험 진료비 영역별 지출 요인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0년부터 2022년까지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총진료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인은 가입자 수, 고령화율과 더불어 '요양기관 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환자의 수요 증가와 함께 의료 서비스의 공급 자체가 비용 증가를 견인하는 강력한 동력임을 시사한다. 특히 이번 연구는 진료 형태를 입원과 외래로 나누어 지출 증가의 구조를 세밀하게 들여다봤다. 분석 결과, 입원 진료비의 경우 인구 천 명당 병상수가 1% 증가할 때 진료비가 약 0.21%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나, 병상 공급이 비용 증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병상은 일단 만들어지면 이내 채워지게 된다"는 의료 경제학의 법칙을 실증적으로 보여주는 결과다. 반면, 외래 진료비는 공급 요인의 영향력이 더욱 컸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타고난 무릎 모양으로 부상에 더 취약한 청소년 선별 가능"
청소년들이 운동하다가 무릎이 다쳤을 때 전방십자인대가 파열될지, 경골극(脛骨棘)이 골절될지는 타고난 무릎 모양에 따라 달라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 소아정형외과 신창호 교수와 미국 필라델피아 어린이병원 및 경골극 연구팀은 2009년 3월∼2023년 4월 내원한 18세 미만 환자 159명을 연구해 이런 결론을 도출했다. 연구팀은 이들을 각 53명씩 전방십자인대 파열군, 경골극 골절군, 정상군으로 나누고, 3차원 영상을 바탕으로 14개 해부학적 지표를 분석했다. 그 결과, 무릎이 손상된 두 비교군은 정상군보다 경골(정강뼈) 바깥쪽 관절면 경사가 유의미하게 가팔랐다. 또 이 부위의 경사가 가파를수록 전방십자인대 파열과 경골극 골절 위험이 각각 1.42배, 1.33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전방십자인대 파열이나 경골극 골절 모두 도약 후 착지할 때, 혹은 급정지하거나 급히 방향을 전 환할 때 발생한다. 전방십자인대 파열은 말 그대로 인대가 '뚝' 하는 소리를 내며 찢어지는 부상이다. 경골극 골절은 전방십자인대가 인대에 붙은 무릎뼈(경골극)를 잡아당겨 떨어져 나가는 부상이다. 경골 바깥쪽 관절면 경사가 심할수록 무릎에 무게가 실릴 때 대퇴골(허벅지뼈)이 바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