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가 심방세동 환자 위험 낮출 수 있다"

美 연구팀 "무작위 임상시험…하루 커피 한 잔 심방세동 위험 39% 감소"

 커피가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같은 심장질환이 있는 사람들에게 해롭다는 통념과 달리 심방세동 환자에게 안전할 뿐 아니라 오히려 심방세동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임상시험 결과가 나왔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UCSF) 그레고리 M. 마커스 교수팀은 11일 미국의사협회저널(JAMA)에서 커피를 마시는 심방세동 환자 200명을 대상으로 한 무작위 임상시험 결과 커피 섭취 그룹이 중단 그룹보다 심방세동 재발 위험이 39%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마커스 교수는 "카페인은 이뇨 작용을 하기 때문에 혈압을 낮추고 결과적으로 심방세동 위험을 줄일 수 있다"며 "커피에는 항염 작용을 하는 여러 성분이 들어 있어서 긍정적인 효과를 낼 수 있다"고 말했다.

 커피는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는 카페인 함유 음료로 부정맥을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심방세동 유발 요인으로 지목돼 의사들도 심방세동 증상 완화를 위해 커피 섭취를 줄이라고 권고해 왔다.

 연구팀은 심방세동 위험 요인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지만 커피가 심방세동에 유익한지, 해로운지, 또는 영향이 없는지 대한 논쟁은 계속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 연구에서 심방세동이 있거나 병력이 있는 커피 섭취자 200명(평균 연령 69세)을 대상으로 '커피를 끊으면 심방세동을 피할 수 있을까'(DECAF)라는 무작위 임상시험을 미국·캐나다·호주 내 5개 병원에서 6개월간 진행했다.

 참가자들은 모두 심장 리듬을 정상화하기 위한 전기 충격 치료를 받을 예정인 환자들로, 커피를 하루 한 잔 이상 마시는 그룹과 6개월간 커피 및 다른 카페인 음료를 완전히 끊는 그룹에 100명씩 무작위로 배정됐다.

 기준 시점에서 두 그룹의 커피 섭취량은 모두 주당 평균 7잔이었고, 추적 기간 커피 섭취량은 커피 섭취 그룹 7잔, 커피 중단 그룹 0잔이었다.

 추적 기간에 심방세동과 심방수축이 규칙적이지만 대단히 빠른 부정맥 상태인 심방조동(atrial flutter)의 재발률을 관찰한 결과 커피 섭취 그룹이 47%, 커피 중단 그룹이 64%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는 다른 요인 영향을 고려할 경우, 커피 섭취 그룹의 심방세동 재발 위험이 중단 그룹보다 39% 낮은 것이라며 이런 이점은 심방세동 재발만 기준으로 분석했을 때도 비슷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연구는 심방세동 환자를 대상으로 커피 섭취의 영향을 평가한 첫 무작위 임상시험이라며 커피의 항염 효과 외에도 커피 대신 건강에 좋지 않은 음료를 덜 마시는 게 위험 감소로 이어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했다.

 논문 제1 저자인 크리스토퍼 웡 박사는 "의사들은 그동안 심방세동 환자에게 커피 섭취를 줄이라고 조언해 왔지만 이 연구는 커피가 단지 안전할 뿐 아니라 오히려 보호 효과가 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 출처 : JAMA, Gregory M. Marcus et al., 'Caffeinated Coffee Consumption or Abstinence to Reduce Atrial Fibrillation, a Randomized Clinical Trial', https://jamanetwork.com/journals/jama/fullarticle/10.1001/jama.2025.21056?guestAccessKey=2fa669ab-04ec-4cb4-8b16-dc3e1724236f&utm_source=for_the_media&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ftm_links&utm_content=tfl&utm_term=110925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초음파로 뇌졸중 쥐의 뇌 노폐물 제거…치매 등 치료 기대"
뇌 외부에서 저강도 초음파 자극을 가하는 방법으로 인위적 뇌출혈을 통해 뇌졸중을 일으킨 생쥐 모델의 뇌 속에 쌓인 노폐물을 제거하는 실험이 성공을 거뒀다. 미국 스탠퍼드대 의대 라그 아이란 교수팀은 11일 과학 저널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Nature Biotechnology)에서 저강도 초음파 치료가 출혈성 뇌졸중을 모방한 쥐의 뉘에서 신경독성 노폐물 제거를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치료법이 인간 대상 임상시험에서도 유사한 긍정적 결과가 확인된다면, 수술이나 약물 없이도 출혈성 뇌졸중과 나아가 알츠하이머병 및 다른 외상성 뇌손상을 치료할 수 있는 안 전하고 간단한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혈액세포나 다른 찌꺼기 같은 노폐물이 뇌 속에 축적되면 염증을 유발하고 신경세포를 훼손할 수 있다. 이런 노폐물 제거 능력이 손상되면 뇌졸중, 두부 외상, 그리고 치매 같은 질환 위험을 높일 수 있다. 연구팀은 출혈성 뇌졸중의 외과적 치료는 증상을 개선할 수 있지만 전문 뇌졸중 센터에 신속히 환자를 이송하고 뇌수술을 해야하는 어려움이 있으며, 약물 치료법도 연구되고 있지만 현재까지 승인된 치료제는 없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 연구에서 두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