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에 낮잠 1시간 반 넘으면 뇌졸중 위험 25% 높아

중국 화중과기대 연구진, 미 신경학회 저널에 논문

 중년이나 노년의 성인이 낮잠을 너무 오래 자면 나중에 뇌졸중을 일으킬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보통 사람보다 낮잠과 밤잠을 모두 오래 자면, 뇌졸중 위험이 거의 두 배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국 후베이성(湖北省) 우한시 소재 화중과기대(華中科技大) 연구진이 중국인 3만1천750명(평균 62세)을 평균 6년간 추적 관찰한 분석 결과다.

 관련 논문은 11일(현지시간) 미국 신경학회(ANN)가 발행하는 저널 '신경학(Neurology)' 온라인판에 실렸다.

 미국 신경학회는 3만6천여 명의 회원을 가진, 세계 최대 규모의 신경학자 및 신경과학 전문가 단체다.

 AAN이 온라인(www.eurekalert.org)에 공개한 보도자료 등에 따르면 연구진은 한 중국 기업의 퇴직자들로 코호트(실험군)를 구성했다.

 그리고 밤잠과 낮잠을 각각 얼마나 오래 자는지, 수면의 질은 어떤지 등을 조사한 뒤 고혈압, 당뇨병, 흡연 등 다른 위험 요인을 반영해 향후 뇌졸중 발병 위험을 비교 분석했다.

 조사를 시작할 땐 뇌졸중 등 특별한 건강 문제가 없었는데, 전체 피험자의 4.9%인 1천557명은 조사가 진행되는 동안 실제로 뇌졸중을 일으켰다고 한다.

 분석 결과, 가장 위험한 그룹은 낮잠과 밤잠을 모두 정상보다 오래 자는 사람들이었다.

 이 그룹에 속한 피험자에게 뇌졸중이 생길 가능성은 수면 시간과 패턴이 보통인 사람보다 무려 85% 높았다.

 또한 규칙적으로 하루 90분 이상 낮잠을 자는 사람은, 낮잠 시간이 30분 미만인 사람보다 뇌졸중 위험이 25% 높았다.

 중국에선 낮잠을 자는 게 흔한 일이지만, 90분 이상 낮잠을 잔다는 응답자는 전체의 8%에 그쳤다.

 밤잠을 하루 9시간 넘게 잔다는 응답자는 전체의 24%였다. 이런 피험자는 7~8시간 자는 사람보다 뇌졸중 가능성이 23% 높았다.

 그러나 낮잠을 전혀 자지 않거나 30분 내지 1시간 자는 사람은, 낮잠을 30분 이하로 자는 사람보다 뇌졸중 위험이 높지 않았다.

 또한 밤잠을 자는 시간이, 7시간 미만이거나 8~9시간인 사람은, 7~8시간 자는 사람보다 역시 뇌졸중 위험이 크지 않았다.

 잠의 질도 중요해, 숙면하지 못하는 사람은 숙면하는 사람보다 뇌졸중 위험이 29% 높았다.

 한편 낮잠과 밤잠을 많이 자는 사람은, 뇌졸중 위험 요인인 혈중 콜레스테롤과 허리둘레 수치가 안 좋은 쪽으로 변한다는 보고는 이전에도 나왔다.

 이와 관련해 낮잠과 밤잠을 많이 잔다는 건 전반적으로 비활동적인 라이프스타일을 암시하는 것일 수 있다고 연구진은 말한다.

 논문의 저자인 이 대학의 장 샤오민 박사는 "밤잠과 낮잠을 보통 수준으로 깊게 자는 게 특히 중년과 노년층에 중요하다"라면서 "하지만 이번 연구는 수면 시간과 뇌졸중 위험 사이의 연관성을 보여준 것일 뿐 인과관계를 입증된 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협 회장 "성분명 처방·한의사 엑스레이 허용시 총력 투쟁"
법정 의사단체인 대한의사협회(의협)는 정부의 성분명 처방, 한의사 엑스레이(X-ray) 허용, 검체 검사제도 개편 등을 '악법'으로 규정하고 정부가 이를 허용할 경우 총력 투쟁에 나서기로 했다. 범의료계 국민건강보호 대책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는 김택우 의협회장은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연 전국 의사 대표자 궐기대회 대회사에서 이렇게 밝혔다. 김 회장은 "성분명 처방 강행은 곧 의약 분업의 원칙을 파기하는 것"이라며 "한의사에게 엑스레이 사용을 허용하는 것은 면허 체계의 근본을 훼손하는 의료 악법이고, 검체 검사 보상체계 개편도 개악"이라고 비판했다. 보건복지부는 과도한 할인 관행을 개선하고자 검체 검사 보상체계를 개편한다는 방침이다. 검체 검사 위탁 비중이 높은 동네의원들 입장에선 수입 감소로 이어질 수 있는 개편이라 개원가를 중심으로 특히 반발하고 있다. 김 회장은 "이 세 가지 악법은 국회와 정부의 정책 폭주에서 나온 처참한 결과물"이라며 "국회와 정부가 의료계 대표자들의 외침을 외면한다면 14만 의사 회원의 울분을 모아 강력한 총력 투쟁에 들어가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궐기대회에 참석한 의사들은 "환자 안전 위협하는 성분명 처방 규탄한다", "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