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 부모의 자녀, 우울증 가능성 2-3배 높아"

 우울증 부모를 둔 10대 자녀는 다른 아이들보다 우울증을 겪을 가능성이 2~3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울증이 있는 부모의 자녀는 다른 아이들에 비해 뇌의 구조에 차이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컬럼비아대학 의대 정신의학과의 데이비드 팔리아치오 임상 신경생물학 교수 연구팀은 우울증 부모를 둔 아이는 쾌락(pleasure)을 담당하는 뇌 부위인 우측 조가비핵(right putamen)의 크기가 작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헬스데이 뉴스가 14일 보도했다.

 부모 중 우울증 환자가 있어 자신도 우울증이 나타날 위험이 높은 아이들을 포함, 7천여 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진행한 뇌 조영 비교 분석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연구팀은 말했다.

 뇌의 우측 조가비핵은 보상, 동기, 쾌감을 담당하는 부위로 이 부위의 용적이 작으면 쾌감을 느끼는 기능 저하로 우울증, 약물 남용, 정신질환, 자살 행동으로 이어질 위험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따라서 우측 조가비핵이 작다는 것은 폭넓은 정신장애가 발생할 수 있는 초진단적 위험요인(transdiagnostic risk factor)일 수 있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연구팀은 앞으로 10년에 걸쳐 우측 조가비핵이 작은 아이들이 우울증 또는 다른 정신장애가 나타나는지를 지켜볼 계획이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 소아·청소년 정신의학학회 저널(Journal of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온라인판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야간 근무자 심혈관질환 위험, 낮에만 식사하면 낮출 수 있어"
심혈관 질환(CVD)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꼽히는 야간 교대 근무를 하는 사람도 밤에는 먹지 않고 낮에만 식사하면 야간 근무에 따른 심혈관 질환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임상시험 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 의대 브리검 여성병원 프랭크 시어 교수팀은 10일 과학 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에서 젊고 건강한 20명을 대상으로 야간 교대 근무를 모방하고 식사 시간을 통제하면서 심혈관 질환 위험 지표 등을 측정하는 임상시험을 실시,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야간 근무자도 낮에만 식사하면 교대 근무 관련 심혈관 질환 위험을 피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는 교대 근무와 관련된 심혈관 건강에서 식사 시간이 수면 시간보다 더 큰 위험 요소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교대 근무는 많은 연구에서 관상동맥 심장질환(CHD) 위험을 높이는 등 심혈관 질환 위험 요인으로 확인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위험 증가는 생활방식이나 사회경제적 지위 등의 차이로는 완전히 설명되지 않고 있다. 시어 교수는 야간 근무나 시차 등 일주기 불일치가 심혈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책은 아직 확립되지 않았다며 이 연구에서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