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암센터, 폐암 환자 위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개소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상 414개로 확대…전체 병상의 77%

 국립암센터가 폐암센터 내 두 개 병동에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도입했다.

 이로써 국립암센터의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상은 기존 328개에서 414개로 늘었다.

 이는 전체 병상(536개)의 77%에 해당한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은 보호자나 간병인의 도움 없이 전문 간호 인력이 입원 환자의 간호와 일상 돌봄을 전담하는 곳이다.

 이번 병상 확대로 폐암 환자들은 전문적이고 집중적인 간호를 24시간 지속해서 제공받을 수 있게 됐다.

 양한광 국립암센터 원장은 "폐암센터의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개소를 통해 폐암 환자가 24시간 간호받으며 더 안전하게 치료에 집중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항암제 병용요법 보험적용에 암환자 숨통…희귀질환자 접근성은
다음 달부터 암 환자들이 기존 건강보험 적용 항암제와 비급여 항암 신약을 함께 사용하더라도 기존 약에 대한 건강보험 혜택을 계속 받을 수 있다. 정부는 이러한 내용의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 사항(약제) 일부 개정 고시안'을 지난 18일 행정 예고했다. 한국환자단체연합회는 이번 개정안을 '급여기준 개선의 첫걸음'이라고 논평했으며, 글로벌 제약사 모임인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KRPIA)도 환영 의사를 표했다. 다만 이들 환자단체와 제약업계 모두 이번 개정안을 환영하면서도 국내 환자들의 낮은 치료 접근성을 언급하며 약가 제도 및 건강보험 급여체계 개편 논의가 환자 중심으로 진전되기를 바란다고 평가한 점은 주목할만한 부분이다. 두 제도 모두 정부의 재정 안정성이 환자 치료 기회 보장보다 우선시되고 있다는 지적을 오랫동안 받아왔다. 대부분 고가인 혁신 신약 및 병용 위주로 변화하는 항암 치료법이 해외에서는 이미 도입됐지만 국내 환자들은 비교적 뒤늦게 급여 혜택을 받게 됐다. 지난 달 17일 국회에서 열린 '병용요법의 암 환자 접근성 개선을 위한 정책 토론회'에서 서동철 중앙대 약학대학 명예교수는 "제약업계의 항암 치료 파이프라인(개발 중인 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