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립선암 생존자 괴롭히는 야간뇨…침술 치료가 효과적"

美 연구팀 "침술-일반치료 비교 임상…침술 효과·지속성 확인"

 전립선암 치료를 마친 환자의 절반 이상이 겪는 야간뇨(nocturia)에 침술이 기존의 일반적 치료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임상시험 결과가 나왔다.

 미국 뉴욕 슬론 케터링 암 센터 케빈 리우 박사팀은 31일 미국의사협회 저널 JAMA 종양학(JAMA Oncology)에서 전립선암 생존자 중 야간뇨가 있는 60명을 침술 치료군과 대조군(일반적 치료)으로 나눠 10주간 치료 효과를 비교한 파일럿 임상시험에서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야간뇨는 밤에 한 번 이상 소변을 보기 위해 잠에서 깨는 것으로, 전립선암 생존자의 절반 이상이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이 연구에서 2022년 9월~2024년 3월 등록된 전립선암 치료 완료 환자 중 과거 한 달간 매일 밤 두 번 이상 야간뇨를 경험한 60명을 치료군과 대조군으로 무작위로 나눠 대조 임상시험을 했다.

 치료군은 신장 및 방광 관련 혈 자리 등에 침술과 2~10㎐ 전기자극을 20~30분간 적용하는 표준화 침술 치료를 매주 1회씩 총 10회 받았고, 대조군은 야간뇨에 대한 일반적인 치료를 받았다.

 치료 효과는 시작 시점과 10주, 14주에 국제 전립선 증상 점수(IPSS, 총점 35점) 중 야간뇨 항목을 평가하는 방식으로 비교했다.

 그 결과 치료 10주에 치료군은 야간뇨 횟수가 평균 1.08회 준 반면 대조군은 0.05회 감소에 그쳐 거의 변화가 없었다.

 치료 종료 한 달 후인 14주에 치료군은 야간뇨 횟수가 0.8회 감소한 상태가 유지된 반면 대조군은 여전히 0.05회 감소에 그쳤다.

 IPSS 점수에서는 10주에 치료군이 3.64점 감소하고 14주에 3.11점 감소 상태가 유지됐으나, 대조군은 10주에 0.12점 감소했다가 14주에는 0.29점이 증가해 오히려 증상이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임상시험 결과 침 치료는 기존 치료보다 야간뇨 증상을 유의미하게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그 효과는 데스모프레신, 알파 차단제, 항무스카린제 등 기존 약물 치료와 비슷하거나 뛰어났고 부작용 발생률은 더 낮았다고 밝혔다.

 이어 이 연구는 전립선암 생존자의 야간뇨에 대한 침술 치료 효과를 평가한 첫 파일럿 시험이라며 이 결과는 침 치료가 방광 기능과 배뇨에 관여하는 뇌간 부위를 조절한다는 전임상 연구 결과의 생물학적 타당성을 뒷받침한다고 덧붙였다.

 ◆ 출처 : JAMA Oncology, Kevin T. Liou et al., 'Acupuncture for Nocturia in Survivors of Prostate Cancer : The NOCTURNAL Randomized Clinical Trial', https://jamanetwork.com/journals/jamaoncology/fullarticle/10.1001/jamaoncol.2025.1199?guestAccessKey=76314b83-8573-4cfc-b733-28ac49d80ea1&utm_source=For_The_Media&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ftm_links&utm_content=tfl&utm_term=052925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음주가 체중 감량에 도움?…"과장·거짓 건강정보 주의"
최근 온라인을 중심으로 "술을 마시면 살이 빠진다"는 등의 잘못된 건강 정보 게시물이 확산하고 있다며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이 올바른 정보 선택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개발원에 따르면 최근 "미국 하버드대 연구 결과 적당한 음주가 체중 감량에 도움이 된다"는 내용의 게시물이 온라인상에서 많은 공감을 얻으며 재생산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하버드대의 권위를 차용해 연구 결과를 과장한 정보라는 것이 개발원의 설명이다. 게시물에서 언급한 연구는 하버드대에서 수행한 것이 아니라 일본 성인 5만7천여 명을 대상으로 음주 습관 변화에 따른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 변화를 분석한 것이다. 연구 결과 음주 후에 이른바 '좋은 콜레스테롤'인 고밀도 지질단백질(HDL) 수치는 증가하고, '나쁜 콜레스테롤'인 저밀도 지질단백질(LDL) 수치는 감소하는 경향이 확인됐다. 다만 보고서에서 체중 감소는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았으며, 연구자들은 과도한 음주가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체중 감량이 HDL 수치를 높인다는 연구 결과는 다수 있지만, 반대로 HDL 수치 증가가 체중 감량으로 이어진다는 주장은 과학적 근거가 희박하다고 개발원은 설명했다. 오히려 알코올 1g은

메디칼산업

더보기
희귀질환자 눈물닦는다…신약 고속도로 열고 의료비부담 낮춰
수억 원에 달하는 약값과 기약 없는 기다림에 지쳐있던 희귀·난치질환 환자들에게 희망의 빛이 비치고 있다. 정부가 환자들의 오랜 염원에 응답하며 신약의 건강보험 적용 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고, 의료비 부담을 대폭 완화하는 국가책임 강화 방안의 청사진을 공개했다. 이는 단순히 비용을 지원하는 차원을 넘어, 환자들이 적시에 최상의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길을 열어준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 신약 등재 기간 90일 단축…'고속도로' 열린다 보건복지부와 국정기획위원회에 따르면 이재명 정부는 희귀중증 질환자의 치료비 부담 완화를 국정과제로 추진하는데, 여기서 가장 주목할 만한 변화는 신약의 신속한 건강보험 등재를 위한 '고속도로'가 깔린다는 점이다.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평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약가 협상으로 이어지는 단계별 절차는 환자들에게 너무나 긴 시간이었다. 정부는 이 세 가지 절차를 동시에 진행하는 '허가-평가-협상 연계 시범사업'을 본사업으로 단계적으로 전환해 신약이 환자에게 도달하는 시간을 최대 90일까지 단축할 계획이다. 생사의 갈림길에서 하루가 급한 환자들에게 이는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소중한 시간이다. ◇ 소득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