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오염·사회 불평등·정치 불안정도 노화 가속 요인"

아일랜드 연구팀 "환경·정치·사회 요인 노출에 따라 노화속도 달라져"

 대기오염 같은 물리적 환경과 사회적 불평등, 정치적 불안정 등 같은 노출 요인(exposome)이 사람들의 신체적·인지적 노화 속도를 가속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아일랜드 더블린 트리니티칼리지 글로벌 뇌 건강 연구소(GBHI) 아구스틴 이바녜스 교수팀은 16일 의학 저널 네이처 메디신(Nature Medicine)에서 세계 40개국 16만여명을 대상으로 다양한 노출 요인이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이런 결론을 얻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전 연구에서 엑스포좀이 나이보다 건강한 노화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밝혀졌지만 엑스포좀이 다양한 인구 집단과 지역에서 노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밝혀내는 것은 여전히 어려운 과제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 연구에서 유럽과 라틴아메리카, 아시아, 아프리카 등 40개국을 대표하는 코호트를 사용해 다양한 인구집단에서 엑스포좀 요인이 건강한 노화와 가속화된 노화(accelerated ageing)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했다.

 가속화된 노화는 건강, 인지기능, 신체능력, 질병 위험 등을 기반으로 측정된 생물학적 나이(biological age)와 실제 나이(chronological age)의 차이(BBAG)가 0보다 커서 노화가 실제 나이보다 더 빠른 경우를 말한다.

연구 대상 40개국 및 국가별 참가자 수

 분석 결과 '가속화된 노화'를 겪는 사람들은 노화가 느린 '건강한 노화'에 비해 일상적인 일을 수행하는 신체 능력이 감소할 가능성이 8배 높았고, 인지 저하 가능성은 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속화된 노화는 이집트와 남아프리카공화국 같은 저소득 국가에서 가장 두드러진 반면,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등 유럽 국가들은 생물학적 나이가 실제 나이보다 젊은 건강한 노화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중국·인도·이스라엘 등 연구에 포함된 아시아 4개국은 유럽보다는 노화가 빠르지만, 아프리카나 라틴아메리카보다는 가속화된 노화 정도가 낮았다.

 연구팀은 국가 수준의 엑스포좀 영향 분석 결과 대기질 같은 물리적 환경과 사회경제적 평등 및 성평등 같은 사회적 요인, 정치적 대표성과 참정권, 민주 선거 같은 정치적 요인이 노화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어 세계적으로 치매와 가속화된 노화가 증가하고 있다면서 조절할 수 있는 위험 요인을 줄이고, 보호 요인을 강화하며, 불평등을 해소하는 것이 전 세계 인구 수준의 공중 보건에 매우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바녜스 교수는 "생물학적 연령은 우리가 살아가는 세계를 반영한다"며 "이 연구 결과는 대기오염과 정치적 불안정, 불평등 등이 사회에 영향을 주지만 동시에 우리 건강을 형성하기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 출처 : Nature Medicine, Agustin Ibanez et al., 'The exposome of healthy and accelerated aging across 40 countries',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91-025-03808-2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비대면 진료, 초진 제한하고 의사에 거부권 줘야"
대한의사협회 산하 의료정책연구원은 비대면 진료를 제도화하는 경우 진료 형태·대상 질환·지역 등을 법으로 제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연구원은 지난 4일 발간한 이슈 브리핑 '환자의 안전과 의료 전문성 확보를 위한 비대면 진료 제도화 선결 조건: 의료의 본질을 지키는 길'에서 "비대면 진료는 안전성을 담보하는 방향으로 이뤄져야 한다"며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 정부는 지난해 의정 갈등으로 의료 공백이 커지자 한시적으로 비대면 진료를 전면 허용한 바 있다.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지난달 취임하면서 "환자의 안전성과 편의성 모두를 보장하는 방향으로 비대면 진료 제도화를 추진하겠다"고 예고한 상태다. 이미 국회에는 비대면 진료의 근거를 법제화하고 구체적 허용 범위 등을 규정하는 의료법 개정안(더불어민주당 전진숙 의원 대표 발의) 등이 발의돼 있다. 연구원은 전 의원이 낸 개정안에 대해 "예외적 초진 허용 대상자 범위가 크게 확대됐고 대상 질환의 제한이 없다"면서 "비대면 진료에서는 초진 환자에 대한 오진 위험성이 크다"고 했다. 그러면서 ▲ 재진 원칙·초진 예외, 주기적 대면 진료 필수 ▲ 화상 원칙·전화 예외 ▲ 만성 질환 대상 ▲ 대면 전환 현실성을 고려한 지역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임신 중 염증이 태반 통해 아이에게 과도한 알레르기 일으킨다
임신 중 엄마 몸에서 발생한 염증이 아이의 과도한 알레르기 반응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과학과 이흥규 교수 연구팀이 임신 중에 발생한 염증이 태반을 통해 태아의 스트레스 반응 조절 시스템에 영향을 줘 아이의 알레르기 반응이 더 강해질 수 있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5일 밝혔다. 연구팀은 면역계에서 염증 반응을 유도하는 대표적인 물질로 알려진 독소 성분인 'LPS'(리포폴리사카라이드)를 임신 중인 생쥐에게 주입했다. 그러자 태반 조직에서 몸속 염증 지표인 '종양괴사인자 알파'(TNF-α)가 증가했고, 이에 따라 호중구(선천 면역의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세포)가 활성화되며 태반에 손상을 일으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손상은 태아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결과를 가져왔고, 이에 따라 스트레스 호르몬인 글루코코르티코이드가 과다 분비되면서 태아의 면역 체계에 중요한 변화를 유도했다. 이는 태아의 T세포(면역세포)를 더 오래 살아남게 하고, 기억 능력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기억 T세포는 출생 후 항원에 반복적으로 노출될 때 과도한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켰다. 실제 집먼지진드기 '알

메디칼산업

더보기
셀트리온 유플라이마, 유럽 점유율 24%로 상승…1위 등극 눈앞
셀트리온온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유플라이마'(성분명 아달리무맙)가 1분기 유럽에서 24%의 점유율(아이큐비아 기준)로 전분기보다 3%포인트 오른 처방 실적을 기록했다고 4일 밝혔다. 1위 제품과는 점유율 차이가 1%포인트로 좁혀졌다고 회사가 전했다. 유럽 주요 5개국(EU5) 중 하나인 이탈리아에서는 전 분기 대비 5%포인트 오른 52%의 점유율로 절반을 웃돌았으며 영국도 5%포인트 상승한 33% 점유율을 기록해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핀란드에서는 47%의 점유율을 기록 중이며, 포르투갈 21%, 네덜란드 20% 등 유럽 각지에서 후발주자의 한계를 넘어선 점유율을 기록했다. 유플라이마는 아달리무맙 바이오시밀러 경쟁 제품들이 다수 출시된 2018년 3분기보다 3년 늦은 2021년 3분기에 출시됐지만 유럽 직판 체제의 성공이 이번 성과의 원동력이 됐다고 셀트리온이 설명했다. 주요 제품들과 적응증이 동일해 이미 구축한 의료진 네트워크를 활용할 수 있는 점도 처방 확대에 기여했다고 회사가 강조했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유플라이마가 경쟁 제품보다 3년이나 늦게 출시됐음에도 처방 선두 그룹에 올라섰다는 사실은 셀트리온의 직판 역량이 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