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암 '흑색종' 발병에 관여하는 단백질 작용기전 밝혔다

가톨릭대 조용연 교수팀 "'STAT2 단백질' 안정성 조절이 원인"

 한국연구재단은 17일 가톨릭대학교 조용연 교수 연구팀이 흑색종 발병에 관여하는 'STAT2' 단백질의 작용기전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피부암의 한 종류인 흑색종은 다른 부위로 전이가 잘 돼 다른 피부암보다 사망률이 높다.

 자외선에 의한 유전자 손상이 원인으로 알려졌지만, 정확한 발병 기전은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STAT2'라는 단백질이 많아질수록 흑색종 세포주 증식 속도가 빨라진다는 사실을 찾아냈다.

 이어 유전자원 스크리닝을 통해 'FBXW7'이라는 단백질이 STAT2의 안정성을 조절한다는 것도 확인했다.

 자외선을 실제 흑색종 세포에 쪼인 결과 FBXW7이 줄어들면서 STAT2가 현격히 증가했다.

 그동안 FBXW7가 세포 내 분해할 단백질을 선별하는 역할을 한다고만 알려져 있었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 흑색종 발생 과정에 관여한다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졌다.

 연구팀은 실제 70여명의 피부암 조직에서 단백질 FBXW7이 감소하고 STAT2가 증가했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조용연 교수는 "흑색종 치료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미국립과학원회보 '피엔에이에스'(PNAS)에 이날 자로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의학연·경희의료원, 과민대장증후군 진단키트 개발
한국한의학연구원은 박기선 박사 연구팀은 최근 경희의료원 김진성·하나연 교수팀과 공동으로 과민대장증후군 진단키트 시제품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과민대장증후군(IBS)은 만성적이고 반복적인 복통, 설사 또는 변비가 나타나는 난치성 위장장애로, 방치할 경우 만성 장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적기 치료가 중요하다. 하지만 아직 과민대장증후군 진단을 위한 바이오마커(질병의 진행 정도를 진단하는 생물학적 지표)가 개발되지 않아 환자의 병력에 의존하거나 증상을 바탕으로 진단할 수밖에 없었다. 연구팀은 혈액 속 엑소좀을 바이오마커로 활용해 진단키트 시작품을 제작했다. 엑소좀은 체내 세포가 정보 교환을 위해 분비하는 ㎚(나노미터·10억분의 1m) 크기의 세포외소포로, 환자의 병리적 상태를 판단하는 지표가 된다. 정상군과 과민대장증후군 환자 각각 30명씩 혈중 엑소좀을 분리한 뒤 마이크로RNA(생물 유전자 발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RNA, 즉 리보핵산의 일종)를 분석, 14종의 마이크로RNA 가운데 만성 장 질환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은 6종을 바이오마커로 개발했다. 시제품 키트를 활용해 예후를 판단할 수 있고, 증상의 중증 정도를 정량적으로 비교할 수 있다고 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