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컴퓨터 '마하' 암 유전자 지도 완성에 기여

38개 암 유형 관련 유전자 2천658개 분석에 도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자체 개발한 슈퍼컴퓨터 '마하'(MAHA)가 인간의 암 유전자 지도를 완성하기 위한 국제 공동연구에 기여했다고 19일 밝혔다.

 ETRI에 따르면 마하는 인간 유전체를 연구하는 세계 최고 권위의 '암 유전체 분석'(PCAWG) 프로젝트에 참여해 유전체 분석에 공헌한 기관 중 하나로 이름을 올렸다.

 마하 개발에 참여한 최완, 우영춘, 전승협, 김형환 연구원도 공로자로 등재됐다.

 PCAWG는 미국이 지원하는 '암 유전체 아틀라스'(TCGA)와 '국제 암 유전체 컨소시엄'(ICGC)의 주도로 10여 년 전에 출범했다.

 10여 년에 걸친 연구 끝에 38개 유형의 암과 관련된 2천658개 유전체를 전수 분석하는데 성공했으며, 이 프로젝트에는 세계 각국의 과학자와 임상의 등 1천300여 명이 참여했다.

 연구 결과는 23건의 논문으로 작성돼 지난 6일 네이처, 사이언스 등 저널에 일제히 실렸다.

 ETRI가 2011년 개발한 마하는 2013년 11월 미국 시카고대학 슈퍼컴센터, 스페인 바르셀로나 슈퍼컴센터 등 7개 기관과 함께 ICGC로부터 유전체 분석 데이터센터에 선정돼 암 유전체 분석을 지원해 왔다.

 최완 책임연구원은 "국내 연구진이 개발한 슈퍼컴퓨터가 유전체 분석 국제 공동연구의 인프라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뜻깊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빅5' 대부분 한 자릿수 지원"…전공의 모집기간 이틀 연장
정부가 오는 3월 수련에 들어갈 레지던트 모집 마감을 17일에서 19일로 이틀 연장했다. 수련·입영 특례에도 전공의들의 복귀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자 가능한 범위에서 모집 기간을 연장하는 수를 둔 것으로 풀이된다. 17일 의료계와 보건복지부 등에 따르면 애초 이날 오후 5시 마감할 예정이었던 전국 221개 수련병원(126개 기관에서 통합 모집)의 레지던트 1년차와 상급 연차(2∼4년차) 모집 마감 기한이 19일로 변경됐다. 복지부는 이날 각 수련병원에 전공의 모집 일정을 연장한다고 안내하는 공문을 발송했다. 일부 병원의 요청에 따른 연장으로, 각 병원은 오는 19일까지 원서를 접수할 수 있게 됐다. 마감 시각은 구체적으로 표기하지 않았다. 복지부 관계자는 "면접 등 후속 절차를 연기하지 않는 범위에서 제출 기한을 주말까지 연장해달라는 수련병원장들의 요청에 따라 19일까지 제출할 수 있도록 조치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수련병원들도 모집 마감 기한을 19일로 변경·공고했다. 정부는 이번 모집에서 사직한 전공의가 1년 이내에 동일 과목·동일 연차로 복귀할 수 없는 제한 규정을 적용하지 않는 수련 특례를 적용했고, 복귀를 원하는 전공의의 경우 수련을 모두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