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에 부담 주는 암치료…운동하면 심장병 위험 낮춘다

삼성서울병원 연구…운동 않는 집단보다 심근경색·심부전 위험 11∼20%↓

 암 진단 후 규칙적인 운동을 지속하거나 시작하면 심근경색과 같은 심장질환 위험이 20%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암을 치료할 때 쓰는 약이나 방사선 등은 심장에 큰 부담을 주기 때문에 암 환자는 심장질환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데, 운동이 심장질환 위험을 상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삼성서울병원 암환자삶의질연구소 신동욱 교수 연구팀(1저자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정원영 박사 및 암치유센터 조인영 교수, 공동 교신저자 숭실대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 한경도 교수)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토대로 2010∼2016년 암을 진단받은 26만9천943명을 분석해 이러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팀은 이들을 암 진단 전후 규칙적으로 운동한 집단(2만7천186명), 운동을 시작한 집단(4만4천852명), 운동을 중단한 집단(3만649명), 암 진단 전후 모두 운동하지 않은 집단(16만7천256명)으로 나눠 비교했다.

 암 진단 전후 규칙적으로 운동한 집단은 아예 운동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심근경색 위험은 20%, 심부전 위험은 16% 감소했다.

 암 진단 후 새로 운동을 시작하는 것도 긍정적이었다. 아예 안 하는 경우에 비해 심근경색 위험은 11%, 심부전 위험은 13% 줄었다.

 암 진단 후 운동을 중단했더라도 이전에 규칙적으로 운동했다면 이 역시 심장질환 위험을 낮췄다.

 심근경색과 심부전 위험은 각각 20%와 6% 낮았다. 앞서 운동을 열심히 한 덕분에 심장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연구팀은 해석했다.

 연구팀은 규칙적인 운동이 암 환자의 심장질환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걸 보여준다며, 암 진단 후에도 의료진의 도움을 받아 운동하는 게 좋다고 권고했다.

 연구 결과는 미국심장학회에서 발간하는 국제학술지 '심장종양학(JACC: Cardio-Oncology)'에 게재됐다.

[표] 암 진단 전후 운동 여부에 따른 심혈관질환 발병 위험

 

구 분 비활동 유지 운동→비활동 비활동→운동 운동 유지
대상 16만7천256명
(62%)
3만649명
(11.4%)
4만4천852명
(16.6%)
2만7천186명 (10.1%)
심근경색 기준 20% 감소 11% 감소 20% 감소
심부전 6% 감소 13% 감소 16% 감소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질병청, 먹는 코로나 치료제 약국 재고 점검…"개선 모색"
코로나19 먹는 치료제 중 하나인 '팍스로비드' 수급이 원활하지 않다는 지적이 제기되자 질병관리청이 관계기관 간 협의를 통해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질병청은 임숙영 차장이 6일 서울시 소재 조제약국과 호흡기 클리닉을 방문해 현장 운영 실태를 점검하고 현장 의견을 들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팍스로비드는 코로나19 중증 환자 또는 중증으로 진행될 위험이 높은 경증 환자에게 처방되는 먹는 치료제다. 질병청이 제약사로부터 구매해 약국 등에 공급하다가 지난 6월부터 약국 및 의료기관이 제약사로부터 구매해 사용하는 시중 유통체제로 전면 전환됐다. 환자 본인 부담금은 한 팩(30정)에 4만7천원 수준으로 크지 않지만, 건강보험공단이 부담하는 비용까지 합산하면 약값이 100만원에 육박하는 고가의 약이다. 현행 체제에선 약국이 먼저 제약사에 약값을 지불한 뒤 재고로 보유하고 있다가 실제로 약이 판매되면 환자와 공단에 약값을 청구해서 받아야 한다. 약이 팔리지 않으면 제약사에 반품할 수 있기는 하지만 워낙 약값이 비싼 탓에 애초에 물량을 많이 구비해두는 약국이 적은 것으로 질병청은 보고 있다. 이 경우 환자가 조금만 늘어도 금방 재고가 동날 수 있다. 이에 대한의사협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