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핵환자 줄었지만 외국인 비중은 늘었다

외국인 환자 절반, 중국 국적·청년층 집중
김미애 "입국 단계 결핵 검진 강화해야"

 최근 국내에서 결핵환자가 줄어들고 있지만 외국인 결핵환자 비중은 증가세를 보였다.

 외국인 결핵환자 중에서는 중국인 환자가 수년째 절반 수준을 차지했고 젊은 층도 많아 관리 필요성이 제기된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미애 의원이 최근 질병관리청 등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내 결핵 신규환자 중 외국인 환자 비중은 2019년 5.3%에서 작년 6.0%로 증가했다. 

 외국인 국적별로는 중국 국적 환자가 가장 많았다.

 올해 1~8월 중국 국적 환자는 307명으로 외국인 환자 721명 중 42.6%를 차지했다.

 중국 국적 환자는 2019년 789명(49.4%), 2020년 644명(48.9%), 2021년 584명(47.0%), 2022년 543명(50.7%), 2023년 512명(46.3%), 2024년 501명(46.5%)으로 절반 안팎을 유지했다. 작년 기준으로 베트남(10.0%), 태국(7.2%), 인도네시아(6.1%), 네팔(5.0%) 등이 뒤를 이었다.

 성별로는 외국인 환자 중 남성이 약 60% 수준으로 내국인 환자와 비슷했지만, 연령대별로는 외국인 환자의 44.3%가 20~30대 청년층으로 파악돼 70세 이상 고령층이 절반을 넘은 내국인 환자와 차이를 보였다.

 지역별로는 경기 34.5%(372명), 서울 21.8%(235명), 인천 6.6%(71명) 등 외국인 환자의 63% 가까이가 수도권에 집중됐다.

 외국인 결핵환자가 수도권에 집중되고 이동이 활발한 젊은 층 비중이 높은 만큼 외국인 환자에 대한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미애 의원은 "결핵 전체 발생은 줄고 있지만 외국인 환자 비중은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중국 국적 환자가 절반을 차지하는 심각한 상황"이라며 "입국 단계부터 결핵 검진을 강화하고, 청년층과 수도권 중심의 맞춤형 관리 대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신생아에 치명적인 장 천공 조기에 찾는 AI 모델 개발"
인공지능(AI) 기술로 엑스레이(X-ray) 영상을 분석해 신생아의 장 천공 여부를 판별하는 모델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이 병원 영상의학과 윤희망·융합의학과 김남국·신생아과 이병섭 교수팀은 최근 AI로 신생아의 장 천공 여부를 판단하는 판독 모델을 개발했다. 신생아 장 천공은 괴사성 장염 등으로 장에 구멍이 생겨 생명까지 위협하는 치명적인 질환이다. 그러나 신생아 중환자실 특성상 영상의학과 전문의가 즉시 판독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오진이나 진단 지연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컸다. 또 천공 진단을 위해 엑스레이 검사로 복강 내 공기가 차 있는지 확인하는데, 통상 영상에서 장 천공 여부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아 정확한 판독이 쉽지 않았다. 기존에 AI 판독 모델이 있었으나 이는 성인 데이터를 기준으로 개발됐기 때문에 신생아에게 적용하기 어렵다는 한계도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신생아 엑스레이 영상을 이용해 장 천공 여부를 분류하면서 복강 내 공기가 차 있는 영역까지 함께 학습해서 표시해 주는 학습 모델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1995년 1월∼2018년 8월 서울아산병원 소아 엑스레이 영상 약 260만건을 수집했고, 최종적으로 장 천공 영상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