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으로 암 잡는다'…롯데바이오·라쿠텐 전략 동맹

알루미녹스 플랫폼, 한국 도입 준비 본격화
글로벌 임상·CDMO 확대 협력 추진

 롯데바이오로직스가 레이저로 암세포를 괴사시키는 차세대 암 치료법 '광면역치료 기술 플랫폼'을 국내에 도입하기 위해 일본 라쿠텐그룹 계열사와 손을 맞잡았다.

 라쿠텐그룹 미국 자회사 라쿠텐메디컬의 미나미 마에다 사장은 9일 오전 일본 요코하마 '바이오재팬 2025' 행사장 인근에서 진행한 한국 언론 대상 간담회에서 "한국에서 알루미녹스(Alluminox·광면역치료 기술 플랫폼) 시스템을 도입하려고 준비 중"이라며 한국 파트너사인 롯데바이오로직스와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라쿠텐메디컬은 9일 오후 롯데바이오로직스와 전략적 제휴를 위한 사업협력의향서(LOI)를 체결했다.

 라쿠텐메디컬과 롯데바이오로직스는 2021년부터 일본 내 두경부암 환자 등 치료에 활용되는 알루미녹스가 한국과 글로벌 임상실험에서 승인받을 수 있도록 협력한다.

 알루미녹스는 광면역치료 기술 플랫폼으로, 암 종양에 특수 약물을 주입하고 특정 파장의 빛을 쬐어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파괴하는 새로운 암 치료법이다.

 빛에 반응하는 광 감수성 물질(IR700)과 특정 종양 세포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성분(결합체)으로 구성된 약물을 투여하고서 약 24시간 뒤 690㎚(나노미터) 파장의 적색광을 조사하면 IR700이 활성화되고 생화학·물리학적 과정을 거쳐 종양 세포를 선택적으로 괴사 또는 제거할 수 있다.

광면역치료 기술 플랫폼 알루미녹스 작용기전

 미나미 사장은 "인두암 치료의 경우 식도에 영향을 미쳐 환자가 목소리를 잃을 수 있지만 우리 기술을 통해서는 목소리 유지가 가능하다"며 "IR700을 통해 알루미녹스를 암세포에만 선택적으로 쏘기 때문에 주변 조직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알루미녹스는 2020년 9월 일본에서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으로 승인받아 2021년 1월부터 일본 전역 암센터에서 사용되고 있다.

 현재 일본 내 약 180개 병원에서 1천명 이상 암 환자에게 적용되고 있으며 미국과 일본 등 다수 국가에서 후속 파이프라인(개발중인 제품)이 진행 중이다.

 미나미 사장은 "미국에서 임상 3상을 진행 중이며 일본 승인이 반영되는 대만, 사우디아라비아에서도 내년에 도입될 예정"이라며 "한국은 파트너사와 공동 개발하거나 라이선스를 공유해 개발하는 식으로 진행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와 관련, 롯데바이오로직스는 9일 미국에 본사를 둔 다국적 바이오텍과 LOI를 체결했다면서도 고객사와 관련된 구체적인 사항은 확인해줄 수 없다고 했다.

 다만, 양사가 이번 협약을 통해 단일클론항체(mAb) 및 항체-약물접합체(ADC) 제조 협력 체계에 초점을 맞춰 장기 파트너십을 공동 추진한다며 일본과 미국에서의 CDMO(위탁개발·생산) 사업 확대 및 인지도 확대에 적극 나설 계획이라고 전했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이번 협력의 일환으로 미국 시러큐스바이오캠퍼스의 기술력에 기반한 생산 서비스도 제공할 예정이다.

 롯데바이오로직스 관계자는 "이번 협약은 일본 시장에서 강한 존재감을 가진 파트너와의 의미 있는 첫 성과"라며 "당사의 품질, 투명성, 장기 협업에 대한 약속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고 말했다.

롯데바이오로직스 신유열 글로벌전략실장(사진 왼쪽부터)과 제임스 박 대표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