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면증 [게티이미지뱅크 제공]](http://www.hmj2k.com/data/photos/20251041/art_17602180944928_85ece6.jpg?iqs=0.4151950083812638)
우리나라 수면장애 환자가 5년새 약 26% 증가해 지난해 130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남인순 의원실이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비기질성 수면장애(질병분류코드 F51) 또는 수면장애(G47)로 건강보험 급여 진료를 받은 환자 수는 130만8천383명이었다.
최하위권은 10세 미만 남성(1천826명)과 10세 미만 여성(1천154명)이었다.
한편 수면장애 환자는 2020년 103만7천396명→2021년 109만9천768명→2022년 116만4천519명→2023년 124만1천732명으로 5년간 계속 늘었다.
서울대병원과 서울아산병원 등에 따르면 수면장애란 불면증·수면 관련 호흡장애·과다수면증·일주기 리듬 수면장애 등 수면과 관련된 여러 질환을 통칭하는 말이다.
인구의 약 20% 이상이 경험하며 환자가 늘어나는 원인으로는 스트레스 증가, 고령화, 수면 주기 변화 등이 지목되고 있다.
수면장애를 적절하게 치료하지 않으면 이미 앓고 있는 내과적, 신경과적, 정신과적 질환이 악화하거나 회복이 지연될 수 있고 심근경색증, 뇌졸중 등의 심각한 병을 초래할 수 있다.
국내 연구에 따르면 수면장애 환자 수와 함께 수면제 처방도 늘어나는 추세다.
최근 서울대병원 연구팀에 따르면 지난 2010년부터 2022년까지 불면증 치료에 사용되는 4가지 약물(벤조디아제핀·비벤조디아제핀·저용량 항우울제·저용량 항정신병약물)의 처방 건수는 약 1천50만건에서 4천240만건으로 4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성별로는 여성에서, 연령대별로는 70대 이상에서 처방이 많았으며 증가 폭은 20대 젊은 성인층에서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남인순 의원은 "수면장애로 병원을 찾는 환자가 매년 증가하고, 50∼70대 중장년층에 집중돼 있는 만큼 이에 대한 분석과 맞춤형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