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건강보험 약품비 약 26조원…지출 1위 고지혈증 치료제

진료비 증가율의 두배 수준…'간보 적용' 암·희귀질환 약품비 10% 안팎 늘어

 고가의 암과 희귀질환 치료제도 건강보험이 확대 적용되면서 2023년 약제비 지출이 전년보다 8.5% 늘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23년 급여의약품 지출현황을 분석한 결과 총약품비는 26조1천966억원으로 집계됐다고 17일 밝혔다.

 같은 해 전체 진료비는 110조8천29억원으로 전년보다 4.7% 늘어났는데, 약품비 증가율(8.5%)이 이의 2배 가까이 되는 것이다.

 진료비 중 약품비가 차지하는 비중도 23.6%로 전년보다 0.8%포인트 늘었다.

 정부가 국민건강보험종합계획에 따라 약제비 부담이 큰 암과 희귀질환 치료제의 건강보험 적용을 확대한 것도 약품비 지출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2023년 기준 암과 희귀난치질환자 치료에 사용한 급여 약품비는 각각 8천402억원, 2조5천492억원으로 전년보다 10.8%, 9.7%씩 증가했다.

 연령대별로는 60대 환자의 약품비가 약 6조6천억원(25.2%)으로 가장 많았고, 70대(19.7%), 50대(16.9%), 80대(11.7%) 순이었다. 60대 이상 환자의 약품비가 자치하는 비중은 58.1%였다.

연도별 진료비 및 약품비 지출 추이(억 원, %)

 요양기관 종별로는 약국의 청구액이 약 18조원(68.9%)으로 가장 많았고, 상급종합병원(14.3%), 종합병원(8.5%), 의원(4.2%)이 뒤를 이었다.

 효능군별로는 고지혈증 치료제인 동맥경화용제 지출 규모가 2조8천490억원으로 가장 컸고, 항악성종양제(2조7천336억원), 혈압강하제(2조원), 소화성궤양용제(1조3천904억원), 당뇨병용제(1조3천667억원) 등의 순이었다.

 고지혈증 치료제는 서구화된 식습관 등의 영향으로 최근 들어 매해 지출 1순위를 차지하고 있다.

 성분군별로는 동맥경화용제에 해당하는 고지혈증 치료제 에제티미브, 로수바스타틴 복합제 지출액이 6천58억원으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뇌기능 개선제인 콜린 알포세레이트(5천630억원), 고지혈증약 아토르바스타틴(5천587억원), 항혈전제 클로피도그렐(4천179억원), 고지혈증약 로수바스타틴(3천377억원) 순으로 지출 규모가 컸다.

 건보공단은 "고가 항암제와 유전자 치료제 등 신약의 급여 등재, 인구 고령화에 따른 만성질환 증가 등으로 약품비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며 "보장성은 높이되 불필요하게 처방되는 의약품에 대한 분석을 확대해 관리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부산대 연구팀 "산모 환경호르몬 노출, 자손 후각 발달 악영향"
부산대학교 연구진이 '환경호르몬'으로 알려진 내분비계 교란물질에 산모가 임신기 및 수유기에 노출되면 자손의 정상적인 후각 신경 발달을 방해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부산대는 분자생물학과 정의만 교수 연구팀이 임신 중 초기 신경 발달 시기의 내분비계 교란물질 노출이 후각 신경 및 후각 신경의 기원인 뇌실하 영역에서 세포사멸을 일으키는 것을 발견하고 그로 인해 냄새 탐지 능력이 감소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4일 밝혔다. '내분비계 교란물질'은 체내 호르몬의 정상 기능을 교란할 수 있는 화학물질이다. 이 물질은 우리가 흔히 접하는 화장품, 캔, 플라스틱, 페인트, 의약품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데, 인간에게 무분별하게 노출되면서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돼 왔다. 정 교수팀은 알킬페놀 계열의 내분비계 교란물질인 옥틸페놀이 마우스의 후각 신경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 내분비계 교란물질이 후각 신경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음을 규명했다. 이번 연구는 뇌 발달이 활발히 진행되는 임신기부터 수유기까지 어미 마우스에 옥틸페놀을 투여해 자손 마우스가 옥틸페놀에 노출되도록 했으며, 이를 성체가 될 때까지 사육하며 영향을 분석했다. 정 교수는 "이번 연구를

메디칼산업

더보기